목차
1. 머리말
2. 미국적 가치와 갈등
3. 미국의 현대정치
4. 미국의 경제
5. 미국의 사회
6. 맺음말
2. 미국적 가치와 갈등
3. 미국의 현대정치
4. 미국의 경제
5. 미국의 사회
6. 맺음말
본문내용
따라 이들의 삶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4). 사회문제
현제 미국사회는 인구증가, 문화적 차이, 안정된 정책의 부제에 따른 많은 사회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그 첫째가 앞에서 살펴본 빈부 격차 문제이고 에이즈(AIDS)는 미국사회의 또다른 어두운 면이다. 에이즈 감염자는 2002년 현재까지 90만 명에 육박하고 있고 에이즈로 사망한 수도 50만 명에 달한다. 여기에도 인종별 차이가 있어 백인이 36만, 흑인이 34만, 히스패닉계가 16만 명이고, 아시아계와 아메리카인디언계가 소수를 차지하고 있다. 백인과 흑인이 거의 동수를 이루고 있다는 것은 인구비례로 볼 때 백인보다 흑인과 히스패닉계가 감염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염 경로를 보면 남성 동성 간의 성행위가 가장 많고 다음이 마약 사용의 경우이다.
범죄건수는 1991년 최고수치를 기록한 이후 주기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범죄와 관련하여 유려되는 것은 비율적으로 보면 범죄자의 상당수가 소수인종에 치우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전국의 형무소에 수감된 죄수는 200만 명을 초과하고 있는데 수용자 중 흑인의 비율이 가장 높다. 1997년에는 주 형무소의 수요자 중 46.5퍼센트, 연방형무소의 수용자 중 37.9퍼센트에 이르고 있다.
범죄와 관련해서 항상 문제가 되는 마약의 사용도 우려할 정도에 있다. 마약 사용과 보건에 관한 전국적 조사에 의하면 대마초를 제외한 불법 마약의 사용은 2002년 12세 이상 국민의 29퍼센트 즉 7,030만 명이, 대마초를 포함할 경우 46퍼센트, 즉 1억 800만 명이 살아 있는 동안 최소한 한번은 마약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특히 청소년의 수치도 무시 못할 정도인데 최근 20년간 고등학교 최종학년 학생을 상대로 한 조사에 의하면 대마초의 사용은 전 학생 수의 50퍼센트를 약간 밑돌 정도이며 흡연과 음주는 80퍼센트를 육박하고 있다.
미국사회의 또 하나의 그림자는 ‘노숙자(Homeless)'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으로 도시의 거리를 방황하며 거리에서 공원에서 기차 또는 지하철의 정거장에서 침식을 해결한다. 그 수는 2002년 300만 명 정도이나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이들의 상당수는 빈민층 출신이나 직업을 잃고 일시적으로 노숙자가 된 이도 있다. 노숙자의 구성은 보면 가족 동반이 35퍼센트, 퇴역군인이 20퍼센트, 18세 이하의 가출 소년소녀층이 25퍼센트, 이 밖에 가정 폭력의 피해자, 정신질환자들로 나타나 있다.
6. 맺음말
미국은 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의 패권을 장악하고 있는 초강대국이다. 미국이 짧은 역사 속에서 강력하게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은 우선 경제력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군사력 확대가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자본주의 발전과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정책의 결정에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이 바탕이 되고 있다. 자유주의와 청교도주의를 중심으로 한 자유방임주의와 보수와 진보의 갈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국내 뿐 만이 아닌 세계 패권국가로서 정책 결정과 국내의 여러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미국은 전통적인 가치의 붕괴와 더불어 인구급증에 따른 많은 사회문제에 직면에 있다. 이민 인구의 급증에 따른 인종, 나아가 문화적 갈등을 격고 있으며 마약, 빈부격차, 에이즈, 범죄 등 사회문제들이 인종, 문화적 갈등과 깊이 연관되면서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할 정책 결정과 사회적 합의 또한 보수와 진보의 갈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민족적 이기주의와 분리주의적 움직임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4). 사회문제
현제 미국사회는 인구증가, 문화적 차이, 안정된 정책의 부제에 따른 많은 사회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그 첫째가 앞에서 살펴본 빈부 격차 문제이고 에이즈(AIDS)는 미국사회의 또다른 어두운 면이다. 에이즈 감염자는 2002년 현재까지 90만 명에 육박하고 있고 에이즈로 사망한 수도 50만 명에 달한다. 여기에도 인종별 차이가 있어 백인이 36만, 흑인이 34만, 히스패닉계가 16만 명이고, 아시아계와 아메리카인디언계가 소수를 차지하고 있다. 백인과 흑인이 거의 동수를 이루고 있다는 것은 인구비례로 볼 때 백인보다 흑인과 히스패닉계가 감염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염 경로를 보면 남성 동성 간의 성행위가 가장 많고 다음이 마약 사용의 경우이다.
범죄건수는 1991년 최고수치를 기록한 이후 주기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범죄와 관련하여 유려되는 것은 비율적으로 보면 범죄자의 상당수가 소수인종에 치우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전국의 형무소에 수감된 죄수는 200만 명을 초과하고 있는데 수용자 중 흑인의 비율이 가장 높다. 1997년에는 주 형무소의 수요자 중 46.5퍼센트, 연방형무소의 수용자 중 37.9퍼센트에 이르고 있다.
범죄와 관련해서 항상 문제가 되는 마약의 사용도 우려할 정도에 있다. 마약 사용과 보건에 관한 전국적 조사에 의하면 대마초를 제외한 불법 마약의 사용은 2002년 12세 이상 국민의 29퍼센트 즉 7,030만 명이, 대마초를 포함할 경우 46퍼센트, 즉 1억 800만 명이 살아 있는 동안 최소한 한번은 마약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특히 청소년의 수치도 무시 못할 정도인데 최근 20년간 고등학교 최종학년 학생을 상대로 한 조사에 의하면 대마초의 사용은 전 학생 수의 50퍼센트를 약간 밑돌 정도이며 흡연과 음주는 80퍼센트를 육박하고 있다.
미국사회의 또 하나의 그림자는 ‘노숙자(Homeless)'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으로 도시의 거리를 방황하며 거리에서 공원에서 기차 또는 지하철의 정거장에서 침식을 해결한다. 그 수는 2002년 300만 명 정도이나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이들의 상당수는 빈민층 출신이나 직업을 잃고 일시적으로 노숙자가 된 이도 있다. 노숙자의 구성은 보면 가족 동반이 35퍼센트, 퇴역군인이 20퍼센트, 18세 이하의 가출 소년소녀층이 25퍼센트, 이 밖에 가정 폭력의 피해자, 정신질환자들로 나타나 있다.
6. 맺음말
미국은 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의 패권을 장악하고 있는 초강대국이다. 미국이 짧은 역사 속에서 강력하게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은 우선 경제력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군사력 확대가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자본주의 발전과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정책의 결정에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이 바탕이 되고 있다. 자유주의와 청교도주의를 중심으로 한 자유방임주의와 보수와 진보의 갈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국내 뿐 만이 아닌 세계 패권국가로서 정책 결정과 국내의 여러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미국은 전통적인 가치의 붕괴와 더불어 인구급증에 따른 많은 사회문제에 직면에 있다. 이민 인구의 급증에 따른 인종, 나아가 문화적 갈등을 격고 있으며 마약, 빈부격차, 에이즈, 범죄 등 사회문제들이 인종, 문화적 갈등과 깊이 연관되면서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할 정책 결정과 사회적 합의 또한 보수와 진보의 갈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민족적 이기주의와 분리주의적 움직임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추천자료
[유비쿼터스] RFID-USN 기술의 사회적 수용
현대과학기술의 특징과 우리 주위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결과
현대의 행정학
현대자동차 노사관계
[경제]저 출산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흑인 노예제도
[아동양육론]현대사회 부모의 아동 양육문제 및 부모역할의 위기상황
비영리조직(비영리기관) 성장,원인, 비영리기관(비영리기관) 마케팅 개념도입, 비영리기관(비...
[한국사회][사회현상][사회문제][한국]한국사회의 시민단체, 한국사회의 집단화현상, 한국사...
[경제교육][민속놀이경제교육][경제교육의 개선방안]경제교육의 의미, 경제교육의 특징, 경제...
현대여가의 특징과 과제 및 여가정책
일본 메이지유신(明治維新) 기원 및 특징, 유래, 발생배경, 과정,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
[교육사회학]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각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