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동모금회의 도입 배경
2. 공동모금회의 필요성
3. 공동모금회의 역할
4. 각 국의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및 활동
2. 공동모금회의 필요성
3. 공동모금회의 역할
4. 각 국의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및 활동
본문내용
동모금법」을 제정
1998년 7월 이후 중앙과 지방에서 동시에 공동모금을 전개
1999년 3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으로 개정
나. 주요사업 및 모금활동
① 희망2002이웃돕기 캠페인 (모금캠페인 사업)
② 사랑 캠페인(직장모금캠페인)
③ 사랑의 자투리 캠페인
④ 기업상품과 함께 하는 모금
⑤ 방송 프로그램으로 통한 모금
⑥ 사랑의 집고치기' 캠페인
다.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
① 연말 이웃돕기모금 기간을 위해 철저한 준비와 전략이 필요하다.
② 시, 군의 기관, 단체, 시설과 공동모금회와 공동주최로 이벤트 모금을 실시하여 지역에서 선정한 사업에 지정기탁기부제도를 확대해 나간다.
③ 연말 이웃돕기모금에 적극 참여한 기관, 단체 ,시설에게 기여도에 따라 인센티브를 공하여 배분시 우선권을 부여한다. 또한 연말 집중모금시에는 인력대여제를 실시한다.
④ 각 지역별로 공동모금에 관한 연수를 확대하여 모금전문가와 모금자원봉사자를 육성하여야 한다.
⑤ 공동모금회의 직원들은 모금에 대한 전문성과 모금기술에 대한 전문성향상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⑥ 기부금품모집규제법이 철폐되어야 한다.
⑦ 중앙모금회는 모금과 배분은 한시적이어야 하며 기획 홍보업무에만 주력해야 한다.
1998년 7월 이후 중앙과 지방에서 동시에 공동모금을 전개
1999년 3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으로 개정
나. 주요사업 및 모금활동
① 희망2002이웃돕기 캠페인 (모금캠페인 사업)
② 사랑 캠페인(직장모금캠페인)
③ 사랑의 자투리 캠페인
④ 기업상품과 함께 하는 모금
⑤ 방송 프로그램으로 통한 모금
⑥ 사랑의 집고치기' 캠페인
다.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
① 연말 이웃돕기모금 기간을 위해 철저한 준비와 전략이 필요하다.
② 시, 군의 기관, 단체, 시설과 공동모금회와 공동주최로 이벤트 모금을 실시하여 지역에서 선정한 사업에 지정기탁기부제도를 확대해 나간다.
③ 연말 이웃돕기모금에 적극 참여한 기관, 단체 ,시설에게 기여도에 따라 인센티브를 공하여 배분시 우선권을 부여한다. 또한 연말 집중모금시에는 인력대여제를 실시한다.
④ 각 지역별로 공동모금에 관한 연수를 확대하여 모금전문가와 모금자원봉사자를 육성하여야 한다.
⑤ 공동모금회의 직원들은 모금에 대한 전문성과 모금기술에 대한 전문성향상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⑥ 기부금품모집규제법이 철폐되어야 한다.
⑦ 중앙모금회는 모금과 배분은 한시적이어야 하며 기획 홍보업무에만 주력해야 한다.
추천자료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과 경영윤리를 사례를 들어 아름다운 사회 환원(기부문화)관점 에서 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공동모금의 역사와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지역공동모금회] 공동모금회의 개념과 현황 및 과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공동모금의 개념과 필요성 및 도입 배경과 기능, 현황 분석
사회복지서비스법 (정신보건법,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법률, 사회복지공동모...
동아시아_공동체와_문화네트워크
[문화비평] 기부문화 - 동정하는 자, 그리고 그 동정을 이용하는 자
공동모금회 사례를 중심으로 프로포절
공동모금회 배분신청서 양식에 맞춘 실제 프로포절
사회복지 시설평가, 사회복지 정책평가, 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 사회복지 실천평가, 사회복...
[비정부기구][시민단체][NGO]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의 목적, 정체성, 비정부기구(시민단...
문화공동체운동(文化共同體運動)의 개념과 유형 - 문화복지운동, 교육공동체운동, 사이버공동...
청소년 기관 방문 - 강점관점으로 본 청소년기관 [관악청소년회관 인터뷰 내용, 관악청소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