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심슨 생애의 나타난 선교동기
2장 신학 형성의 역사적 배경
3장 단순한 구원의 복음 선포 선교
4장 성화적 삶의 현존과 봉사의 선교
5장 신유를 통한 능력 선교
6장 왕의 재림을 대망하는 열정적 선교
7장 소달리티 구조를 통한 신앙선교
2장 신학 형성의 역사적 배경
3장 단순한 구원의 복음 선포 선교
4장 성화적 삶의 현존과 봉사의 선교
5장 신유를 통한 능력 선교
6장 왕의 재림을 대망하는 열정적 선교
7장 소달리티 구조를 통한 신앙선교
본문내용
는 신유신학은 많은 논쟁을 불러 올 수 있다.
4. 신유의 능력 선교
심슨의 하나님이 창조한 인간의 두 가지 요소, 즉 몸과 영의 요소에서 인간 타락의 결과로 인하여, 몸은 타락으로 인하여 질병이 오고, 영은 타락으로 인하여 죄가 들어 왔다고 말한다. 예수님의 치유 사역이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역사하신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의 동일한 속성이 현존하심을 믿는 믿음 안에서 주장된다.
6장 왕의 재림을 대망하는 열정적 선교 심슨 상시 지배적 종말관은 후천년주의적 재림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심슨도 낙스대학을 졸업하여 목회사역을 하는 중에도 후천년주의의 재림관을 가졌었다. 그러나 심슨은 영적경험과 당시 미국에서 일고 있었던 전천년주의 운동들을 받아들이면서 종말관이 바뀌게 되었다. 그는 인간의 사악한 모습과 도시의 부패 같은 비관적인 상태를 보면서 전천년주의 입장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환을 통해서 주님의 재림을 촉구하는 열정적인 선교로 나아가게 된다. 심슨은 자신의 선교를 통해서 이방인의 충만한 수를 채우게 되면 주님이 오신다는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세계선교에 열심을 내어 온 천하에 복음을 증거함이 곧 주님의 재림을 앞당긴다는 신앙을 증거하게 되었다.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은 오직 왕을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님의 재림 신학은 아직도 복음을 듣지 못한 상태에 있는 열방을 향한 우리의 긴급한 메시지가 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열정적이고 긴급한 선교의 도구로 심슨은 C&MA 선교구조의 틀을 가지고 세계복음화의 운동을 시작하였고, 지금도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활발하게 사역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7장 소달리티 구조를 통한 신앙선교 심슨의 선교신학의 적용은 그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 기구를 구심점으로 하여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사람들에게 선교의 도전을 주고, 선교 헌신자들을 모아서 훈련시키고 파송하였으며, 그리고 사후 관리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선교사역을 감당하도록 하였다. 물론 본인은 원하지는 않았지만 보다 더 효과적인 사역을 위해서 모달리티 구조를 도입하게 된다. 비록 심슨의 선교구조는 오늘에 있어서는 소달리티와 모달리티의 양 구조의 선교를 감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교단주의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는 선교의 동력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오늘도 세계선교연합회를 통해서 C&MA와는 다른 교단과도 손을 잡고 세계선교를 감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4. 신유의 능력 선교
심슨의 하나님이 창조한 인간의 두 가지 요소, 즉 몸과 영의 요소에서 인간 타락의 결과로 인하여, 몸은 타락으로 인하여 질병이 오고, 영은 타락으로 인하여 죄가 들어 왔다고 말한다. 예수님의 치유 사역이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역사하신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의 동일한 속성이 현존하심을 믿는 믿음 안에서 주장된다.
6장 왕의 재림을 대망하는 열정적 선교 심슨 상시 지배적 종말관은 후천년주의적 재림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심슨도 낙스대학을 졸업하여 목회사역을 하는 중에도 후천년주의의 재림관을 가졌었다. 그러나 심슨은 영적경험과 당시 미국에서 일고 있었던 전천년주의 운동들을 받아들이면서 종말관이 바뀌게 되었다. 그는 인간의 사악한 모습과 도시의 부패 같은 비관적인 상태를 보면서 전천년주의 입장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환을 통해서 주님의 재림을 촉구하는 열정적인 선교로 나아가게 된다. 심슨은 자신의 선교를 통해서 이방인의 충만한 수를 채우게 되면 주님이 오신다는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세계선교에 열심을 내어 온 천하에 복음을 증거함이 곧 주님의 재림을 앞당긴다는 신앙을 증거하게 되었다.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은 오직 왕을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님의 재림 신학은 아직도 복음을 듣지 못한 상태에 있는 열방을 향한 우리의 긴급한 메시지가 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열정적이고 긴급한 선교의 도구로 심슨은 C&MA 선교구조의 틀을 가지고 세계복음화의 운동을 시작하였고, 지금도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활발하게 사역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7장 소달리티 구조를 통한 신앙선교 심슨의 선교신학의 적용은 그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 기구를 구심점으로 하여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사람들에게 선교의 도전을 주고, 선교 헌신자들을 모아서 훈련시키고 파송하였으며, 그리고 사후 관리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선교사역을 감당하도록 하였다. 물론 본인은 원하지는 않았지만 보다 더 효과적인 사역을 위해서 모달리티 구조를 도입하게 된다. 비록 심슨의 선교구조는 오늘에 있어서는 소달리티와 모달리티의 양 구조의 선교를 감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교단주의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는 선교의 동력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오늘도 세계선교연합회를 통해서 C&MA와는 다른 교단과도 손을 잡고 세계선교를 감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