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성의 결합형태에 따라 표현된다.
영화의 시작부분에서는 서로 전혀 다른 성격의 마틴과 루디의 등장과 이들이 기차 안에서 만나고 또 다시 병원에서 만나서 각각 다른 모습으로 진료를 받는 그런 과정을 둘의 모습을 비교하면서 속도감 있게 진행 한때 흐르는 음악이다.
기능적인 음악이 행하는 역할 가운데 영화와 액션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영화가들이 많았는데 '스타워즈' 시리즈와 '인디애나' 시리즈에서도 추적 장면에서 다이얼로그의 중요성이 후퇴하는 대신 영화의 액션에 초점을 맞추고, 음악의 속도감을 배가시켜 관객의 심리를 화면의 빠른 변화에 일치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영화의 Gansta도 같은 기능을 한다.
『Mabeyadi』
▶시공간적 배경을 확인 시키는 기능
음색, 악기 또는 그 음악 자체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그 시공간을 부가 설명하는 기능.
Mabeyadi는 두 주인공이 경찰에 쫑기면서 들어가 인질극을 벌이고 있는 장소가 터키 식당임을 암시하는 기능을 한다. 터키 스타일의 옷, 배경, 점원의 억양 그 무엇보다 배경음악이 이 곳이 터키식당 임을 명확히 설명하고 있다.
『Theme from the Ocean』
▶시공간적 배경을 확인 시키는 기능
마틴과 루디가 처음 바다에 대해 얘기한 던 때의 배경음악을 나중에 바닷가에 도착하면서 반복하여 관객에게 바다는 보이지 않지만 음악을 통해 바다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상징으로서의 음악의 기능
영화음악의 연상적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인물이나 장소 또는 특정의 것에 대한 상징으로 음악이 사용된다. 이 영화에서는 병원 부엌에서의 마틴과 루디의 바다에 대한 첫 대화, 둘이 바다의 사진을 바라볼 때, 바다에 도착했을 때에 각각 같은 음악이 반복되어져 바다에 테마곡의 역할을 하고 있다.
영화 음악이 갖는 의미
영화 음악은 여러 가지 약속된 의미로써 그 기능들을 하고 있다. 영화 음악은 내러티브(영화의 내용)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전개되므로 영화음악의 기능은 각 영화의 내러티브와 함께 파악되어야 한다. Knockin' on heavens door는 주인공 두사람의 여정을 정리하여 주제를 드러내는 곡으로 볼 수 있다. 두 사람이 도착한 바다에서 마틴과 루디의 행복한 미소를 뒤로한 채 마틴은 발작을 일으키고 이에 맞춰 Knockin' on heavens door가 흘러나온다. 이 작품 안에서 이곡은 내러티스상의 완결 외에 앞에서 드러난 희망이란 요소와 죽음이란 요소를 마무리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화 안에서 마틴의 죽음을 단순히 죽음으로 받아들여 불행한 결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Knockin' on heavens door가 흐르기 전에 바다가 그들에게 갖는 의미와 영상을 통해 이들이 마지막까지 희망을 잃지 않았다는 걸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킹온 헤븐스 도어가 흘러나오면서 영화가 마무리 되어갈때쯤엔 마틴이 죽어갈때도 희망을 이루었다는 감동의 여운으로 마틴의 죽음을 담담하게 받아들일 수 있고 이 영화 자체도 잔잔한 여운을 남기게 된 것이다. Knockin' on heavens door에서 마무리와 앞의 음악들은 희망이라는 이미지를 직접 드러내지는 않지만 각각 그 존재를 알리고 있다. 바다의 테마곡인 Theme from the Ocean을 통해서 우리는 바다가 의미하는 희망을 음악을 통해 구체화 시킬 수 있다. 그들에게 바다가 희망이고 그들의 질주가 그들의 희망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영화 안에서 흐르는 영화음악들은 각 음악의 적절한 표현과 내러티브로 음악자체가 곧 영화의 주제로 드러날 수도 있다. I will survive로 시작한 경쾌하고 코믹한 영화의 시작은 영화 안에서 다양한 음악들로 주제가 구체화되고 마지막 Knockin' on heavens door로 그 마무리를 하고 있다. 결국 삶과 죽음이란 이중적 의미를 두 음악을 통해 간접적으로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영화에서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기도 하다. 죽음을 맞이하는 두 주인공에게 죽음을 위한 목적이 있기 때문에 그 목적, 바다라는 목표를 향해 질주하는 그들, 그리고 죽음이라는 상반되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상반되는 두곡의 음악이 영화의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및 싸이트
영화 이야기주머니 녹두출판사
http://myhome.shinbiro.com/~murdok
http://www.amazon.de
http://www.yan1024.hihome.com
http://sugok.chongju-e.ac.kr
영화의 시작부분에서는 서로 전혀 다른 성격의 마틴과 루디의 등장과 이들이 기차 안에서 만나고 또 다시 병원에서 만나서 각각 다른 모습으로 진료를 받는 그런 과정을 둘의 모습을 비교하면서 속도감 있게 진행 한때 흐르는 음악이다.
기능적인 음악이 행하는 역할 가운데 영화와 액션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영화가들이 많았는데 '스타워즈' 시리즈와 '인디애나' 시리즈에서도 추적 장면에서 다이얼로그의 중요성이 후퇴하는 대신 영화의 액션에 초점을 맞추고, 음악의 속도감을 배가시켜 관객의 심리를 화면의 빠른 변화에 일치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영화의 Gansta도 같은 기능을 한다.
『Mabeyadi』
▶시공간적 배경을 확인 시키는 기능
음색, 악기 또는 그 음악 자체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그 시공간을 부가 설명하는 기능.
Mabeyadi는 두 주인공이 경찰에 쫑기면서 들어가 인질극을 벌이고 있는 장소가 터키 식당임을 암시하는 기능을 한다. 터키 스타일의 옷, 배경, 점원의 억양 그 무엇보다 배경음악이 이 곳이 터키식당 임을 명확히 설명하고 있다.
『Theme from the Ocean』
▶시공간적 배경을 확인 시키는 기능
마틴과 루디가 처음 바다에 대해 얘기한 던 때의 배경음악을 나중에 바닷가에 도착하면서 반복하여 관객에게 바다는 보이지 않지만 음악을 통해 바다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상징으로서의 음악의 기능
영화음악의 연상적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인물이나 장소 또는 특정의 것에 대한 상징으로 음악이 사용된다. 이 영화에서는 병원 부엌에서의 마틴과 루디의 바다에 대한 첫 대화, 둘이 바다의 사진을 바라볼 때, 바다에 도착했을 때에 각각 같은 음악이 반복되어져 바다에 테마곡의 역할을 하고 있다.
영화 음악이 갖는 의미
영화 음악은 여러 가지 약속된 의미로써 그 기능들을 하고 있다. 영화 음악은 내러티브(영화의 내용)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전개되므로 영화음악의 기능은 각 영화의 내러티브와 함께 파악되어야 한다. Knockin' on heavens door는 주인공 두사람의 여정을 정리하여 주제를 드러내는 곡으로 볼 수 있다. 두 사람이 도착한 바다에서 마틴과 루디의 행복한 미소를 뒤로한 채 마틴은 발작을 일으키고 이에 맞춰 Knockin' on heavens door가 흘러나온다. 이 작품 안에서 이곡은 내러티스상의 완결 외에 앞에서 드러난 희망이란 요소와 죽음이란 요소를 마무리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화 안에서 마틴의 죽음을 단순히 죽음으로 받아들여 불행한 결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Knockin' on heavens door가 흐르기 전에 바다가 그들에게 갖는 의미와 영상을 통해 이들이 마지막까지 희망을 잃지 않았다는 걸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킹온 헤븐스 도어가 흘러나오면서 영화가 마무리 되어갈때쯤엔 마틴이 죽어갈때도 희망을 이루었다는 감동의 여운으로 마틴의 죽음을 담담하게 받아들일 수 있고 이 영화 자체도 잔잔한 여운을 남기게 된 것이다. Knockin' on heavens door에서 마무리와 앞의 음악들은 희망이라는 이미지를 직접 드러내지는 않지만 각각 그 존재를 알리고 있다. 바다의 테마곡인 Theme from the Ocean을 통해서 우리는 바다가 의미하는 희망을 음악을 통해 구체화 시킬 수 있다. 그들에게 바다가 희망이고 그들의 질주가 그들의 희망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영화 안에서 흐르는 영화음악들은 각 음악의 적절한 표현과 내러티브로 음악자체가 곧 영화의 주제로 드러날 수도 있다. I will survive로 시작한 경쾌하고 코믹한 영화의 시작은 영화 안에서 다양한 음악들로 주제가 구체화되고 마지막 Knockin' on heavens door로 그 마무리를 하고 있다. 결국 삶과 죽음이란 이중적 의미를 두 음악을 통해 간접적으로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영화에서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기도 하다. 죽음을 맞이하는 두 주인공에게 죽음을 위한 목적이 있기 때문에 그 목적, 바다라는 목표를 향해 질주하는 그들, 그리고 죽음이라는 상반되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상반되는 두곡의 음악이 영화의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및 싸이트
영화 이야기주머니 녹두출판사
http://myhome.shinbiro.com/~murdok
http://www.amazon.de
http://www.yan1024.hihome.com
http://sugok.chongju-e.ac.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