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시장이란
2. 조직이란
3. 시장과 조직의 선택
4. 거래비용 이론
■맺음말
1. 시장이란
2. 조직이란
3. 시장과 조직의 선택
4. 거래비용 이론
■맺음말
본문내용
에 있는 「중간조직」도 포함하는 삼분법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거래라는 현상에 주목한다는 것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경제의 각 단계상의 연결방법을 파악한다는 것이다. 즉, 컴퓨터의 인터페이스에 주목한다는 것이다. 경제의 인터페이스 기술은 시장거래와 조직내 연결뿐만이 아니다. 자본적인 연결에 의한 기업간 관계나 하청도 그리고 직원파견등에 의한 기업간의 인적결합도 인터페이스의 방법인 것이다. 물론 조직이라는 것을 넓게 해석하면 시장과 조직의 선택이라고 할 때의 조직에는 중간조직도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기업행동이나 산업조직을 분석할 경우에는 중간조직이 아직도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내부조직과 산업조직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며 아울러 기업내부의 문제를 다루는 이른바 경영학의 대상이 되는 내부조직 경제학의 제3영역(하이어라키의 운영)의 기초이론으로서의 에이젼시 경제이론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언급하고자 한다
본고에서의 거래비용이론은 라이어라키 생성의 기초이론 으로서 내부조직 경제학의 고유 이론이다. 에이젼시 이론은 하이어라키의 운영제도에 대한 기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이어라키의 행동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내부조직 경제학에 있어 특별한 고유의 이론은 없으며 전통적인 기업이론의 확장이 행해지고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
맺음말
이상에서 시장과 조직의 차이를 살펴 보았다. 시장이던 조직이던 경제적·사회적 교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선택되어지는 수단이 되며 선택의 기준은 거래비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즉, 어떤 수단이던 거래비용을 절약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의 구성원 및 운영은 조직의 성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언금해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구조적 조정기에 놓여있는 수협과 관련하여 몇가지 언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어업인 즉 생산자의 협동체라는 성격을 생각하면 단순한 목표달성만이 수협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둘째, 내(수협직원)가 아니면 안된다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 전체가 대체되어도 조직은 존속되어 간다는 각오로 개개인의 임무에 충실해야한다. 셋째,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의식을 항상 가지고 손에 익은 진부한 기술은 과감히 떨쳐 버릴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넷째, 조직내 거래비용이 조금이라도 절약될 수 있도록 각 부문간의 스스럼없는 협조가 필요한 것이다.Y
본고에서의 거래비용이론은 라이어라키 생성의 기초이론 으로서 내부조직 경제학의 고유 이론이다. 에이젼시 이론은 하이어라키의 운영제도에 대한 기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이어라키의 행동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내부조직 경제학에 있어 특별한 고유의 이론은 없으며 전통적인 기업이론의 확장이 행해지고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
맺음말
이상에서 시장과 조직의 차이를 살펴 보았다. 시장이던 조직이던 경제적·사회적 교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선택되어지는 수단이 되며 선택의 기준은 거래비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즉, 어떤 수단이던 거래비용을 절약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의 구성원 및 운영은 조직의 성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언금해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구조적 조정기에 놓여있는 수협과 관련하여 몇가지 언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어업인 즉 생산자의 협동체라는 성격을 생각하면 단순한 목표달성만이 수협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둘째, 내(수협직원)가 아니면 안된다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 전체가 대체되어도 조직은 존속되어 간다는 각오로 개개인의 임무에 충실해야한다. 셋째,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의식을 항상 가지고 손에 익은 진부한 기술은 과감히 떨쳐 버릴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넷째, 조직내 거래비용이 조금이라도 절약될 수 있도록 각 부문간의 스스럼없는 협조가 필요한 것이다.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