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ina pectoris 사례보고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일반적 정보

2. 병력

3. 질병에 대한 고찰

4. 신체검진

5. 진담검사

6. 경구, 비경구적 투약 및 정맥수액 주입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edilol
6. 1~
25mg/T
BF/PC 30min
QD/PO
beta blockers(혈압강하제)
당뇨병, 심한 과민반응 기왕력자, 민감성 줄이는 치료중인 자, 베타차단제에 의한 건선 기왕력이나 가족력자, 저혈압, 허혈성심장질환/범발성혈관질환/신기능부전 수반자, 불안정형 협심증
Isoket
6. 1~
40mg/T
BF/PC 30min
QD/PO
Vasodilator
협심증, 심근경색, 관경화증, 울혈성 심부전의 보조요법
어지러움, 열감, 홍조,심계항진, 혈압강하, 부종, 두통, 무력감, 불쾌감, 졸음, 구역/ 구토, 위부불쾌감, 식욕부진, 알러지 반응, 박탈성 피부염
저혈압환자, 원발성 폐고혈압 환자, 대동맥 판 협착증/ 승모판협착증 환자, 기립성 조절장애 환자, 두 개강에서 증가된 압력과 연관된 질병, 긴축성 심낭염, 심낭에 탐폰 삽입
*가능한 간호진단
조직관류의 저하와 관련된 통증
통증과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통증과 관련된 죽음불안
질병과 관련된 무력감
지식부족과 관련된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7. 간호과정
날짜
간호사정
비고
6/1
HD 2
~
6/2
HD 3
S.D
"가슴이 빠개지는 것처럼 아퍼“
“조금전에 메리야쓰 하나 주물거리고 왔드니 또 가슴이 아퍼..”
“얼마나 아픈가 몰라..죽을 것처럼 아퍼...”
6/1
HD 2
~
6/2
HD 3
O.D
-진단명: Angina pectoris
-C.C: Palpitation, chest pain, Dyspnea
-통증을 0~10까지의 숫자로 표현하게 했을 때 5~6점 정도의 통증 을 호소하심.
-가슴에 손을 얹고 얼굴을 찡그린 채 심호흡을 하고 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간호진단
조직관류의 저하와 관련된 통증
간호계획
목적설정: 대상자는 6월 4일까지 Angina pectoris의 통증 양상을 이해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설명할 수 있으며, 통증시 점수를 3점이라 표현한다.
6/1
HD 2
~
6/2
HD 3
간호중재
① 통증 척도를 이용하여 신체적인 통증 증상을 사정한다.
*과거에 환자가 경험했던 다른 증상과 비교하고 1부터 10까지의 수치중 현재 환자의 흉통 수치에 대해 이야기하게 한다.
-근거: 통증의 양상을 사정하여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② 협심통이 경감될때까지 5~10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근거: V/S은 환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가장 객관적인 데이터이다.
③ 처방된 항 협심증 약을 투여한다.
-근거: 지속적인 약물 투여는 병의 진전을 막고, 통증을 완화시킨 다.
④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고 환자와 함께 기분전환 활동을 계획한다.
-근거: 정서적으로 긴장된 상황에서는 심근의 일 부담이 증가한다.
간호중재
⑤ 체중을 감소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근거: 과체중일 경우 심장의 부담이 증가한다.
⑥ 협심통을 초래하는 활동(갑작스런 활동, 바람을 향해 걷기, 극도의 온도, 고도의 정서적 스트레스 상황)을 피하도록 한다.
-근거: 이러한 활동은 심박동수와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 작업량 을 증가시킨다.
⑦ 저염, 저지방 식이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근거: 저염식이는 세포외액 정체를 감소시켜 심근의 부담을 감소 시키고 저지방식이는 혈청 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킨다.
⑧ 안정형 협심증이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진행되는지 주의 깊게 파악 한다; 통증의 빈도와 강도의 변화, 휴식시 또는 저 수준의 활동 후 통증 발현, 15분 이상 지속되는 통증
-근거: 불안정형 협심증으로의 진행시 새로운 치료가 필요하다.
⑨ 심부전으로 진전되는지 평가한다; 체중을 매일 측정한다. 부종을 관찰한다.
-근거: beta-blocker는 수축력을 저하시켜 심부전의 경향을 증가 시킨다.
⑩ 협심증의 조절을 보조하기 위해 불안 경감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근거: 불안과 두려움은 심장에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심장이 산 소를 더 많이 사용하게 한다.
간호수행
6/1
HD 2
~
6/3
HD 4
① 2시간마다 1번씩 환자에게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통증이 있을 시 통증사정 척도를 이용하여 점수화 하도록 했다.
② 대상자가 가슴통증을 호소하셔서 V/S을 측정했다.
③ 처방된 항 협심증 약이 투약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Nicorandil, Enoxaparin, Isoket, Aspirin, Clopidogtel등과 혈압조절 약물 등이 투여되고 있음.)
④ 병실의 문을 닫아주고, 침상에서 주무시고 계실 때 텔레비전의 소 리를 줄여들이고, 침상의 시트를 교환해드리는 등 편안하고 조용 한 환경을 제공했으나 독서나 음악감상과 같은 기분 전환 요법을 계획하지 못하였다.
⑤ 체중을 감소하도록 격려하였다.
⑥ 갑작스런 활동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등 협심통을 초래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해 설명했으며 가급적 이러한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했 다.
⑦ 저염, 저지방식이에 대해 설명했으며, 식이요법에 대해 환자 교육 을 시행했다.
간호수행
6/1
HD 2
~
6/3
HD 4
⑧ 통증의 빈도와 강도의 변화, 휴식시 또는 저 수준의 활동 후 통증 발현, 15분 이상 지속되는 통증 등 불안정형 협심증으로의 진행을 관찰했다.
⑨ 심부전으로 진행을 평가하기 위해 부종 유무를 관찰했으나 매일 체중을 측정하지는 못하였다.
⑩ 협심증의 조절을 보조하기 위해 불안 경감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간호평가
6/4
HD 5
대상자는 Angina pectoris의 통증 양상을 이해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고, 시행했으며 통증시 점수를 3점이라 표현하였다.
8. 참고문헌
(Harrison's)내과학. 1/ Isselbacher , K. J./ 정담/ 1997
성인간호학. 4 : 호흡기.순환계.혈액계/ 고금자 외/ 정담/ 1999
성인간호학. 上/ 김조자 외/ 현문사/ 1996
기본간호학. 上/ 손영희 외/ 현문사/ 2003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이은옥 외/ 수문사/ 1992
진단검사와 간호/ 송경애 외/ 수문사/ 1998
최신 임상간호 메뉴얼 / 현문사 /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 -At-Large 편찬/ 2003
drug index/ 건양대학교병원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11.29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