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설구조물의 종류
2. 가설구조물의 검토개념
3. 높은 가설구조물의 안정
4. 가설구조물의 파괴대책
5. 일단 개방된 STRUT 구조
6. 슬래브 타설용 동바리
7. 그 외 각종 가설구조물 검토
2. 가설구조물의 검토개념
3. 높은 가설구조물의 안정
4. 가설구조물의 파괴대책
5. 일단 개방된 STRUT 구조
6. 슬래브 타설용 동바리
7. 그 외 각종 가설구조물 검토
본문내용
(H1 과 H2 중 큰 값)
▣ X-Bracing
브레이싱 작용축력 =
브레이싱 압축부재의 좌굴고려시 과다설계를 지양하기 위해 X-Bracing중 인장부재만을 유효하다고 가정하고 설계함. 수평하중에 대한 브레이싱작용축력을 브레이싱 1 set의 허용인장력으로 나누어 브레이싱 필요열수를 계산함.
7. 그 외 각종 가설구조물 검토
- 연속교 타설용 동바리
Prestressed Concrete 교량을 현장 타설에 의해 시공하는 경우, 특히 하천이나 도로를 횡단하는 구간은, 경간 전체를 Steel Truss 에 의해, 지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Steel Truss의 휨 강성이 상재된 Concrete Girder 에 비해 작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상부구조를 타설하면, 그 중량에 의해 Steel Truss는 처짐을 일으키며,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Tendon을 인장하면, Girder가 상향의 솟음을 일으키면서 동바리로부터 분리되어, 스스로 자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인 바, 이때 Truss의 솟음이 Girder의 솟음보다 커서, Tendon을 인장한 후에도 계속 상향의 반력이 작용하여, Girder의 상연에 휨 인장 균열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균열을 피하기 위하여 Tendon 의 인장이 완료 되기 전에, Steel Truss를 밑으로 내려 줌으로써, Girder와 분리시켜 더 이상 상향의 반력이 작용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상부구조가 완공된 후에 Truss를 제거하는 작업도 곤란이 따르므로, Side Launching과 같은 특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 교각 코핑 타설용 동바리
▣ X-Bracing
브레이싱 작용축력 =
브레이싱 압축부재의 좌굴고려시 과다설계를 지양하기 위해 X-Bracing중 인장부재만을 유효하다고 가정하고 설계함. 수평하중에 대한 브레이싱작용축력을 브레이싱 1 set의 허용인장력으로 나누어 브레이싱 필요열수를 계산함.
7. 그 외 각종 가설구조물 검토
- 연속교 타설용 동바리
Prestressed Concrete 교량을 현장 타설에 의해 시공하는 경우, 특히 하천이나 도로를 횡단하는 구간은, 경간 전체를 Steel Truss 에 의해, 지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Steel Truss의 휨 강성이 상재된 Concrete Girder 에 비해 작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상부구조를 타설하면, 그 중량에 의해 Steel Truss는 처짐을 일으키며,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Tendon을 인장하면, Girder가 상향의 솟음을 일으키면서 동바리로부터 분리되어, 스스로 자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인 바, 이때 Truss의 솟음이 Girder의 솟음보다 커서, Tendon을 인장한 후에도 계속 상향의 반력이 작용하여, Girder의 상연에 휨 인장 균열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균열을 피하기 위하여 Tendon 의 인장이 완료 되기 전에, Steel Truss를 밑으로 내려 줌으로써, Girder와 분리시켜 더 이상 상향의 반력이 작용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상부구조가 완공된 후에 Truss를 제거하는 작업도 곤란이 따르므로, Side Launching과 같은 특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 교각 코핑 타설용 동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