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회사소개
2. 회사 설립배경
3. 지오다노 홍콩본사와의 관계
4. 경영 전략
「1」. 스피드경영
「2」. 제품, 재고관리
「3」. 유통, 매장
「4」. 재무구조
「5」. 마케팅
「6」. 광고
5. 조직 내 분위기
6. CEO의 리더쉽
7. 지오다노 앞으로의 전략
8. 결 론
2. 회사 설립배경
3. 지오다노 홍콩본사와의 관계
4. 경영 전략
「1」. 스피드경영
「2」. 제품, 재고관리
「3」. 유통, 매장
「4」. 재무구조
「5」. 마케팅
「6」. 광고
5. 조직 내 분위기
6. CEO의 리더쉽
7. 지오다노 앞으로의 전략
8. 결 론
본문내용
보다는 미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스피드가 중요하다. 그게 있어야 성공하고 없으면 실패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는 지오다노의 광고 매장관리 상품운영 디자인 등 모든 분야에서 직원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내놓고 토론을 즐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토론을 하다보면 이 정답이 없는 환경변화에 알맞는 아이디어가 나온다는게 그의 지론이다. 또 사람이 가장 훌륭한 재원이란 것을 강조하는 한준석 사장은 직원들의 보상과 동기부여에도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인력 개발비에 연간 20억원씩을 투자한고 한 사장은 매장별로 실적에 따른 성과급 보너스를 지급한다. 창업 6년 만에 매출액 100배 성장을 거둔 그들의 성공신화는 한마디로 “달라야 한다”라는 것이다. 그렇지 못하면 시장에서 사라진다는 『차별화 전략』인 것이다.
7. 지오다노 앞으로의 전략
작년까지 2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지오다노는 최근엔 전자상거래 시장에 어떻게 뛰어들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전반적인 시장 상황은 안 좋지만 올해엔 좀더 공격적으로 운영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놓겠다고 자신했다. 지오다노는 향후 중국의 성장을 의식하고 중국에 이미 진출해 있다. 지오다노 중국의 북경, 상해, 광주 등 주요도시 캐주얼 의류시장에서 홍콩의 지오다노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깔끔한 매장, 고급스런 디스플레이 등을 내세워 18~25세 사이의 청소년들을 사로잡고 있다. 이 제품은 홍콩, 대만, 한국에서는 중저가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으나 중국에서는 적극적인 홍보, 서구식 매장관리 등을 통해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했다. 지오다노 패션의 가장 큰 경쟁력은 고급 캐주얼이라는 브랜드 이미지와 중국인 체형에 맞는 디자인이다. 또 소비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즈, 고급 순면원단을 사용해 타 제품과 달리 세탁후 변형되지 않고 봉제가 깔끔하다는 것이다. 가격 또한 지오다노 본사가 중국의 낮은 소득수준을 고려, 원가절감을 통해 일정한 가격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 대비 합리적이라는 평이다. 현재 지오다노는 중국에서 원부자재 소싱 및 생산을 함께 하고 있으며 판매대리점에 대해서도 판매호조제품은 선금을, 신제품 출시시에는 선공급, 후정산 방식을 도입하는 등 대리점과 본사가 함께 사는 윈윈(win-win)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8. 결 론
지오다노 측은 작년 2004년 매출액 2000억원 중 순이익이 200억원에 이르렀다.싸구려 제품을 팔아 폭리를 취하는 게 아니라 상품 가치와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여기까지 왔다. 하이테크놀로지 산업보다 엄청나게 높은 순이익을 내는 우리야말로 알짜배기패션 벤처 아니겠냐고 지오다노측은 이야기 한다. 국내 지오다노의 승승장구 행진을 놓고 홍콩 본사의 마케팅력 때문이겠거니하는 목소리도 있다. 하지만 국내 매출액이 홍콩 본사는 물론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전세계 15개 국가를 앞지르면서 한국은 벤치마킹의 대상이 된 지 오래다. 전 세계 지오다노 중 가장 장사 잘하는 회사로 꼽히는 것이다. 지오다노는 가격대비 우수한 품질로 승부하기 위해 제품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추구해 나가면서 혁신적 특징의 제품을 개발 하는데 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또한 브랜드이미지의 고급화와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지오다노의 목표이다. 앞으로도 지오다노의 계속적인 발전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 지오다노 홈페이지
※ 동아일보 1994년 4월 21일
※ 한국경제신문 2004년 6월 26일
※ ECONOMIST 2002년 1월 22일
※ 주간 조선 2001년 1월 4일
※ SBS 뉴스 2000년 12월 8일
※ 매일경제 2001년 12월 17일
※ 중앙일보 2002년 7월 28일
7. 지오다노 앞으로의 전략
작년까지 2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지오다노는 최근엔 전자상거래 시장에 어떻게 뛰어들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전반적인 시장 상황은 안 좋지만 올해엔 좀더 공격적으로 운영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놓겠다고 자신했다. 지오다노는 향후 중국의 성장을 의식하고 중국에 이미 진출해 있다. 지오다노 중국의 북경, 상해, 광주 등 주요도시 캐주얼 의류시장에서 홍콩의 지오다노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깔끔한 매장, 고급스런 디스플레이 등을 내세워 18~25세 사이의 청소년들을 사로잡고 있다. 이 제품은 홍콩, 대만, 한국에서는 중저가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으나 중국에서는 적극적인 홍보, 서구식 매장관리 등을 통해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했다. 지오다노 패션의 가장 큰 경쟁력은 고급 캐주얼이라는 브랜드 이미지와 중국인 체형에 맞는 디자인이다. 또 소비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즈, 고급 순면원단을 사용해 타 제품과 달리 세탁후 변형되지 않고 봉제가 깔끔하다는 것이다. 가격 또한 지오다노 본사가 중국의 낮은 소득수준을 고려, 원가절감을 통해 일정한 가격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 대비 합리적이라는 평이다. 현재 지오다노는 중국에서 원부자재 소싱 및 생산을 함께 하고 있으며 판매대리점에 대해서도 판매호조제품은 선금을, 신제품 출시시에는 선공급, 후정산 방식을 도입하는 등 대리점과 본사가 함께 사는 윈윈(win-win)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8. 결 론
지오다노 측은 작년 2004년 매출액 2000억원 중 순이익이 200억원에 이르렀다.싸구려 제품을 팔아 폭리를 취하는 게 아니라 상품 가치와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여기까지 왔다. 하이테크놀로지 산업보다 엄청나게 높은 순이익을 내는 우리야말로 알짜배기패션 벤처 아니겠냐고 지오다노측은 이야기 한다. 국내 지오다노의 승승장구 행진을 놓고 홍콩 본사의 마케팅력 때문이겠거니하는 목소리도 있다. 하지만 국내 매출액이 홍콩 본사는 물론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전세계 15개 국가를 앞지르면서 한국은 벤치마킹의 대상이 된 지 오래다. 전 세계 지오다노 중 가장 장사 잘하는 회사로 꼽히는 것이다. 지오다노는 가격대비 우수한 품질로 승부하기 위해 제품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추구해 나가면서 혁신적 특징의 제품을 개발 하는데 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또한 브랜드이미지의 고급화와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지오다노의 목표이다. 앞으로도 지오다노의 계속적인 발전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 지오다노 홈페이지
※ 동아일보 1994년 4월 21일
※ 한국경제신문 2004년 6월 26일
※ ECONOMIST 2002년 1월 22일
※ 주간 조선 2001년 1월 4일
※ SBS 뉴스 2000년 12월 8일
※ 매일경제 2001년 12월 17일
※ 중앙일보 2002년 7월 28일
추천자료
애플(Apple)의 경영전략분석
[마케팅] 한국 자동차산업의 경영전략 고찰 (현대,기아,대우)
[2007년12월]두산그룹의 경영전략 사례연구보고서
글로벌 IT기업 후지쯔의 이해와 경영전략
다국적기업 IBM의 다국적 경영전략 성공사례
한국의 친환경 유기농산물 산업의 글로벌화 전략경영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스타시스템과 경영전략(음악시장을 중심으로)
연예 매니지먼트사의 스타 경영전략
[국민은행] 국민은행의 경영전략
Samsung,GE,Toyota의 경영전략 比較 ㆍ 分析
[현대차]현대자동차 경영전략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lg전자의 디자인 혁신 경영전략
초일류 기업의 디자인 경영전략
진에어(JinAir)의 경영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