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른 행위자의 저항 혹은 이해관계의 갈등을 극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복종자/부하의 행태를 강조하는 권위 개념에 근거해서 볼 때 권력 개념은 상황의존적이며 전략적인 특성을 갖는다고 보았으며 권력행위는 사회적으로 가치가 부여된 자원 혹은 권력 기반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그의 이론은 의식적이며 의도적인 권력 행위에 대해서만 관심을 유도했다는 점과 권력에 대한 동의 메커니즘을 단지 개인 심리적인 차원에 한정했고 행위 단위들이 서로를 통제하기 위한 저원의 종류와 활용방식에만 관심을 가져 행정 권력의 근원에 대한 고민에 배제될 우려가 있다는 점을 배제하였고 주체의 선험적이고 일관된 존재성을 전제 했으나 절차나 규칙, 그리고 그것에 대한 지식들이 주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관심이 부재하다는 공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