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회사소개
1. (주) 올림푸스 소개
2. (주) 올림푸스 한국 소개
3. (주) 올림푸스의 연혁
4. (주) 올림푸스 한국의 연혁
5. 올림푸스 기업의 비전과 기업전략
Ⅱ. 국내 시장성향과 시장현황
1. 국내 시장성향
2. 시장현황
Ⅲ. STP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Ⅳ. 마케팅 믹스전략
1. 제품(product)
2. 판촉(promotion)
3. 가격(price)
4. 유통(place)
5. 그 외의 마케팅 전략
Ⅴ. 성공요인
1. 현지화 전략
2. 제휴 전략
Ⅵ. SWOT 분석
1) 강점(strenghth)
2) 약점(weaknesse)
3) 위기(threat)
4) 기회(opportunity)
Ⅶ. 설문조사 및 분석
VIII. OLYMPUS KOREA의 마케팅전략 중 4P'S 접근에 따른 문제점
IX. 향후전략
1. (주) 올림푸스 소개
2. (주) 올림푸스 한국 소개
3. (주) 올림푸스의 연혁
4. (주) 올림푸스 한국의 연혁
5. 올림푸스 기업의 비전과 기업전략
Ⅱ. 국내 시장성향과 시장현황
1. 국내 시장성향
2. 시장현황
Ⅲ. STP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Ⅳ. 마케팅 믹스전략
1. 제품(product)
2. 판촉(promotion)
3. 가격(price)
4. 유통(place)
5. 그 외의 마케팅 전략
Ⅴ. 성공요인
1. 현지화 전략
2. 제휴 전략
Ⅵ. SWOT 분석
1) 강점(strenghth)
2) 약점(weaknesse)
3) 위기(threat)
4) 기회(opportunity)
Ⅶ. 설문조사 및 분석
VIII. OLYMPUS KOREA의 마케팅전략 중 4P'S 접근에 따른 문제점
IX. 향후전략
본문내용
되지 않았다. 카메라 시장이 장기적으로 고급화로 가는 이 시기에서 올림푸스의 광고 또한 고급화로 갈 수 있는 방향으로 전달되어야 할 듯 하다. 또한 지금 이야기 할 사항은 올림푸스가 성공한 사례이면서도 보완해야 할 항목이다. 바로 판매후의 향후서비스이다. 올림푸스의 A/S는 다른 경쟁업체들에 비해 떨어지는 수준이므로 이의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올림푸스가 시행하고 있는 A/S후 무상택배서비스는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지만 실제적으로 A/S센터내의 기기 수리의 전문가의 부족과 본사내 있는 센터내의 과도한 업무부담과 편중화는 판매 후 효율적으로 고객을 관리하는 것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지극히 현실적일 수 있지만 본인이 올림푸스에서 근무하면서 한명의 소비자의 시각으로 봤을 때도 판매후의 서비스가 불만족스럽다면 기기의 만족도가 커도 후의 재구매는 하지 않을 꺼 같다.
IX. 향후전략
『버즈 마케팅』
올림푸스의 경우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적 측면과 중저가의 가격 정책으로 제품의 고급화에 실패했고, 그것은 디카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초반 판매량에 큰 영향을 끼치기는 했지만 이제는 디카 시장이 더 이상 커질 수 없기 때문에 틈새시장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 해결책으로 올림푸스가 생각해야 할 부분은 그 동안 전혀 신경 쓰지 않았던 전문가가 올림푸스 디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급화된 전문가용의 프리미엄급 디카에 대한 마케팅 전략은 비록 지금까지 올림푸스가 고수해 온 초보자를 위한 전략과 상반되지만, 그 시장을 더 이상 공략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될 것이다.
올림푸스 디카에 대한 전문가들의 참여와 사용을 이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버즈 마
케팅일 것이다. 버즈 마케팅은 흔히 마케팅에서 얘기하고 있는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 마케팅(Word of Mouth)”의 다른 말로 이해할 수 있다. 버즈 마케팅이란 간단히 말하면 대규모의 매스마케팅 기법을 이용하지 않고, 개인적인 인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통해 마케터가 원하는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일종의 구전 마케팅 기법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기업에 의해서 일 방향으로 전달되는 광고나 홍보 등과 달리 버즈는 고객 상호간에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 내어 파급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점이 그 매력이다. 버즈 마케팅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이런 것들이 있다.
▶. 오피니언 리더들을 중심으로 첨병을 심어놓는다.
모든 고객이 똑같은 것은 아니다. 어떤 고객들은 여론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남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고객들에게 자신이 만족한 제품을 소개하고, 널리 알리는 데 뛰어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 공급을 제한하라.
사람들은 자신 또는 남들이 가질 수 없는 것을 탐내는 경우가 많다. 사치품업계는 오래 전부터 이 같은 경향을 유리하게 이용해 왔는데 지금은 다른 업계에서도 이를 유리하게 활용하는 일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 유명인이나 우상적인 존재의 힘을 빌려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기업들이 버즈현상을 일으키는 또 하나의 전술은 명사들의 호응을 확보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거나 우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쓰는 물건을 자신들도 사용하고 싶어 한다.
▶ 추천 리스트에 올린다.
고객에게 카달로그나 광고를 제공할 때, “추천 목록, 강추! 등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버즈 효과를 일으키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그 까닭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이러한 추천 목록은 정보를 습득하고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해 주는 효과적인 길잡이가 되어주기 때문이다.
▶ 대중적 기반을 구축한다.
오토바이 제조업체인 할리 데이비슨은 1981년 일본업체들에 밀려 도산직전에 처했다. 1982년 이 사업을 인수한 젊은 경영자들은 미국 전역에 걸쳐 "할리 소유자 그룹(Harley Owners Group-HOG)"을 결성하고 숱한 집회를 후원했다. 이들 공동체 내에서 말로 전파되는 홍보에 의해 할리 데이비슨은 힘을 되찾게 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공동체 기반의 커뮤니티를 활
용하는 방법은 결집된 동질 의식의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힘을 실어 줌으로써 결국에는 자사 제품에 대한 충성도 높은 고객 집단을 소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사진에 관련된 전문가들은 대부분 작업하는 환경이 한정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사진과 관련된 일을 하는 전문가들끼리는 긴밀한 연관관계,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자신이 써 본 올림푸스의 고급화된 디카의 성능이 좋다고 느낀다면 자신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구전할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이 퍼지고 퍼져 사진 전문가들끼리의 모임이나 클럽에서도 화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고급화된 프리미엄급의 디카는 가격 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에 직접 써 본 경험자의 기능에 대한 구전에 의한 전달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어떠한 광고보다 큰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단행본>
장대련 한민희, 광고론, 학현사, 2002
장대련 한민희, 광고경영론, 학현사, 2000
이두희, 광고론, 박영사, 2003
손영석, 에센스마케팅, 세학사, 2002
오세조 박충환, 마케팅, 박영사, 2001
조현재, (할 수 있다!)디지털 카메라&사진 수정 편집 확실히 배우기, 영진닷컴, 2003
김현진, 디지털카메라, 영진닷컴, 2002
<발표자료>
산업자원부, 유망전자기기 부품 현황분석, 2001. 5
산업자원부, 전자 정보통신부품개발 5개년 계획, 1999. 10
김천곤, 디지털카메라와 캠코더의 개발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2002. 9
김천곤, 차세대 디지털 가전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2003
김대희, 디지털카메라의 시장전망과 기술동향, 주간 전자정보, 1999. 1
ETRI 지식정보센터, 세계디지털카메라 시장, 올해도 급성장 전망, 주간기술동향 통권 952호, 2000. 6. 28
전자부분연구원 기술기획실, 카메라폰 산업 동향, 주간전자정보, 2003. 5. 26
IX. 향후전략
『버즈 마케팅』
올림푸스의 경우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적 측면과 중저가의 가격 정책으로 제품의 고급화에 실패했고, 그것은 디카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초반 판매량에 큰 영향을 끼치기는 했지만 이제는 디카 시장이 더 이상 커질 수 없기 때문에 틈새시장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 해결책으로 올림푸스가 생각해야 할 부분은 그 동안 전혀 신경 쓰지 않았던 전문가가 올림푸스 디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급화된 전문가용의 프리미엄급 디카에 대한 마케팅 전략은 비록 지금까지 올림푸스가 고수해 온 초보자를 위한 전략과 상반되지만, 그 시장을 더 이상 공략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될 것이다.
올림푸스 디카에 대한 전문가들의 참여와 사용을 이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버즈 마
케팅일 것이다. 버즈 마케팅은 흔히 마케팅에서 얘기하고 있는 “입소문 마케팅” 또는 “구전 마케팅(Word of Mouth)”의 다른 말로 이해할 수 있다. 버즈 마케팅이란 간단히 말하면 대규모의 매스마케팅 기법을 이용하지 않고, 개인적인 인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통해 마케터가 원하는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일종의 구전 마케팅 기법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기업에 의해서 일 방향으로 전달되는 광고나 홍보 등과 달리 버즈는 고객 상호간에 양방향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 내어 파급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점이 그 매력이다. 버즈 마케팅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이런 것들이 있다.
▶. 오피니언 리더들을 중심으로 첨병을 심어놓는다.
모든 고객이 똑같은 것은 아니다. 어떤 고객들은 여론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남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고객들에게 자신이 만족한 제품을 소개하고, 널리 알리는 데 뛰어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 공급을 제한하라.
사람들은 자신 또는 남들이 가질 수 없는 것을 탐내는 경우가 많다. 사치품업계는 오래 전부터 이 같은 경향을 유리하게 이용해 왔는데 지금은 다른 업계에서도 이를 유리하게 활용하는 일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 유명인이나 우상적인 존재의 힘을 빌려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기업들이 버즈현상을 일으키는 또 하나의 전술은 명사들의 호응을 확보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거나 우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쓰는 물건을 자신들도 사용하고 싶어 한다.
▶ 추천 리스트에 올린다.
고객에게 카달로그나 광고를 제공할 때, “추천 목록, 강추! 등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버즈 효과를 일으키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그 까닭은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이러한 추천 목록은 정보를 습득하고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해 주는 효과적인 길잡이가 되어주기 때문이다.
▶ 대중적 기반을 구축한다.
오토바이 제조업체인 할리 데이비슨은 1981년 일본업체들에 밀려 도산직전에 처했다. 1982년 이 사업을 인수한 젊은 경영자들은 미국 전역에 걸쳐 "할리 소유자 그룹(Harley Owners Group-HOG)"을 결성하고 숱한 집회를 후원했다. 이들 공동체 내에서 말로 전파되는 홍보에 의해 할리 데이비슨은 힘을 되찾게 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공동체 기반의 커뮤니티를 활
용하는 방법은 결집된 동질 의식의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힘을 실어 줌으로써 결국에는 자사 제품에 대한 충성도 높은 고객 집단을 소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사진에 관련된 전문가들은 대부분 작업하는 환경이 한정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사진과 관련된 일을 하는 전문가들끼리는 긴밀한 연관관계,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자신이 써 본 올림푸스의 고급화된 디카의 성능이 좋다고 느낀다면 자신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구전할 수 있을 것이고 그것이 퍼지고 퍼져 사진 전문가들끼리의 모임이나 클럽에서도 화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고급화된 프리미엄급의 디카는 가격 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에 직접 써 본 경험자의 기능에 대한 구전에 의한 전달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어떠한 광고보다 큰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단행본>
장대련 한민희, 광고론, 학현사, 2002
장대련 한민희, 광고경영론, 학현사, 2000
이두희, 광고론, 박영사, 2003
손영석, 에센스마케팅, 세학사, 2002
오세조 박충환, 마케팅, 박영사, 2001
조현재, (할 수 있다!)디지털 카메라&사진 수정 편집 확실히 배우기, 영진닷컴, 2003
김현진, 디지털카메라, 영진닷컴, 2002
<발표자료>
산업자원부, 유망전자기기 부품 현황분석, 2001. 5
산업자원부, 전자 정보통신부품개발 5개년 계획, 1999. 10
김천곤, 디지털카메라와 캠코더의 개발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2002. 9
김천곤, 차세대 디지털 가전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2003
김대희, 디지털카메라의 시장전망과 기술동향, 주간 전자정보, 1999. 1
ETRI 지식정보센터, 세계디지털카메라 시장, 올해도 급성장 전망, 주간기술동향 통권 952호, 2000. 6. 28
전자부분연구원 기술기획실, 카메라폰 산업 동향, 주간전자정보, 2003. 5. 2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