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의 성역할과 성차별에 대한 고찰
2. 발레에 대한 조사
(발레의 정의, 역사, 한국의 발레, 발레의 용어 자세 기술 등)
2. 발레에 대한 조사
(발레의 정의, 역사, 한국의 발레, 발레의 용어 자세 기술 등)
본문내용
튜드는 한 다리로 서서 다른 다리의 무릎을 구부려 직각으로 뒤쪽으로 올리는 자세. 아라베스크와 비슷한 자세인데, 여기에는 여러 형이 있으며 몸의 방향에 따라서 또는 무릎을 펴는 법에 따라서 달라진다.
아라베스크는 한 다리로 서서 다른 다리를 직각으로 벌리면서 똑바로 펴고 양팔은 다리에 조화되게 취하는 자세. 손의 위치, 신체의 각도, 다리를 올리는 높이에 따라서 여러 종류가 있다.
앙트르샤는 공중으로 올라가 양 발을 차 모으면서 교차시키는 스텝. 제5포지션에서 드미 플리에를 하며 뛰어 올라가야 한다. 차는 횟수에 따라 명칭도 달라진다.
카브리올은 공중에 올라가 있는 동안에 양 다리를 차 모으는 스텝. 앞쪽만이 아니고 옆쪽, 뒤쪽으로 올라가기도 하고, 차 모으는 횟수도 1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랑 파 드 되는 클래식 발레의 최절정 장면에 추는 여성 무용수와 남성 무용수의 파 드 되(2인무).
글리사드는 보조적인 짧은 스텝으로 동작의 연결, 도약의 준비에 쓰기도 한다. 제5포지션에서 시작하여 끝나는 미끄러지는 듯한 스텝이다. 코르 드 발레는 주역을 제외한 여러 무용수를 말한다. 하위에 속하여 주역 발레리나를 돋보이게 하는 구실을 한다. 셴네는 드불레라고도 하며, 직선 또는 원을 그리면서 연속적으로 빠른 템포로 회전하는 동작이다.
샤세는 한 다리를 다른 다리가 뒤쫓아가듯이 미끄러지는 스텝의 일종. 즈테는 한 발을 내던지면서 그 방향으로 뛰어 내리는 스텝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공중에서 발을 교차시키는 즈테 바튀, 조금 크게 뛰는 그랑 즈테, 여기에 회전이 따르는 그랑 즈테 앙 투르낭 등이 있다.
디메르티스망은 ‘기분전환’을 뜻하는 말로, 본 줄거리와 관계 없이 하나의 구경 거리로 삽입하는 춤. 토 슈즈는 발끝으로 추기 위하여 만들어진 발레용 구두로서, 발끝 부분이 단단하게 되어 있다. 투르 앙 레르는 도약과 회전이 반복되는 남성 무용수의 스텝으로, 제5포지션으로 서서 양 무릎을 조금 굽혀 뛰어 올라 공중에서 회전한다. 회전 중에 회전의 축은 수직이어야 한다. 파는 발레에서 체중이 이동하는 하나의 동작. ‘미끄러지는 파’ ‘뛰어오르는 파’ ‘회전하는 파’ 등의 종류가 있다.
바트망은 다리를 펴는 동작. 파 드 불레는 발끝으로 서서 잦은 걸음으로 전후 ·좌우로 가는 스텝이다. 피루에트는 한 다리로 서서 그 자세로 회전하는 동작. 외(外)회전 ·내(內)회전이 있고, 그 밖에 피루에트 아 라스공드나 애티튜, 아라베스크의 자세로 회전하는 것도 있다. 푸에테 앙 투르낭는 움직이고 있는 한 발로 다른 발을 차면서 회전하는 기법. 외회전 ·내회전이 있는데 여성 전용의 스텝이다. 플리에는 무릎을 굽히는 동작. 굽히는 정도에 따라 3종류가 있다. 모든 도약도 플리에에서 시작해야 한다. 프왱트는 발끝으로 서는 것을 아 프왱트라고 하고, 평발의 경우를 아테르라고 한다. 프왱트로도 출 수 있는 것을 투 랑스라고도 한다. 롱 드 장브는 한 발을 바닥에 원을 그리듯이 움직이는 동작. 한 발을 공중에 올려서 원을 그리듯이 움직이는 경우도 있다.
아라베스크는 한 다리로 서서 다른 다리를 직각으로 벌리면서 똑바로 펴고 양팔은 다리에 조화되게 취하는 자세. 손의 위치, 신체의 각도, 다리를 올리는 높이에 따라서 여러 종류가 있다.
앙트르샤는 공중으로 올라가 양 발을 차 모으면서 교차시키는 스텝. 제5포지션에서 드미 플리에를 하며 뛰어 올라가야 한다. 차는 횟수에 따라 명칭도 달라진다.
카브리올은 공중에 올라가 있는 동안에 양 다리를 차 모으는 스텝. 앞쪽만이 아니고 옆쪽, 뒤쪽으로 올라가기도 하고, 차 모으는 횟수도 1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랑 파 드 되는 클래식 발레의 최절정 장면에 추는 여성 무용수와 남성 무용수의 파 드 되(2인무).
글리사드는 보조적인 짧은 스텝으로 동작의 연결, 도약의 준비에 쓰기도 한다. 제5포지션에서 시작하여 끝나는 미끄러지는 듯한 스텝이다. 코르 드 발레는 주역을 제외한 여러 무용수를 말한다. 하위에 속하여 주역 발레리나를 돋보이게 하는 구실을 한다. 셴네는 드불레라고도 하며, 직선 또는 원을 그리면서 연속적으로 빠른 템포로 회전하는 동작이다.
샤세는 한 다리를 다른 다리가 뒤쫓아가듯이 미끄러지는 스텝의 일종. 즈테는 한 발을 내던지면서 그 방향으로 뛰어 내리는 스텝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공중에서 발을 교차시키는 즈테 바튀, 조금 크게 뛰는 그랑 즈테, 여기에 회전이 따르는 그랑 즈테 앙 투르낭 등이 있다.
디메르티스망은 ‘기분전환’을 뜻하는 말로, 본 줄거리와 관계 없이 하나의 구경 거리로 삽입하는 춤. 토 슈즈는 발끝으로 추기 위하여 만들어진 발레용 구두로서, 발끝 부분이 단단하게 되어 있다. 투르 앙 레르는 도약과 회전이 반복되는 남성 무용수의 스텝으로, 제5포지션으로 서서 양 무릎을 조금 굽혀 뛰어 올라 공중에서 회전한다. 회전 중에 회전의 축은 수직이어야 한다. 파는 발레에서 체중이 이동하는 하나의 동작. ‘미끄러지는 파’ ‘뛰어오르는 파’ ‘회전하는 파’ 등의 종류가 있다.
바트망은 다리를 펴는 동작. 파 드 불레는 발끝으로 서서 잦은 걸음으로 전후 ·좌우로 가는 스텝이다. 피루에트는 한 다리로 서서 그 자세로 회전하는 동작. 외(外)회전 ·내(內)회전이 있고, 그 밖에 피루에트 아 라스공드나 애티튜, 아라베스크의 자세로 회전하는 것도 있다. 푸에테 앙 투르낭는 움직이고 있는 한 발로 다른 발을 차면서 회전하는 기법. 외회전 ·내회전이 있는데 여성 전용의 스텝이다. 플리에는 무릎을 굽히는 동작. 굽히는 정도에 따라 3종류가 있다. 모든 도약도 플리에에서 시작해야 한다. 프왱트는 발끝으로 서는 것을 아 프왱트라고 하고, 평발의 경우를 아테르라고 한다. 프왱트로도 출 수 있는 것을 투 랑스라고도 한다. 롱 드 장브는 한 발을 바닥에 원을 그리듯이 움직이는 동작. 한 발을 공중에 올려서 원을 그리듯이 움직이는 경우도 있다.
추천자료
대중매체와 스포츠의 관계
익스트림 스포츠 - BMX(Bicycle Stunt Riding :자전거묘기)를 즐기는 사람들에 관한 관찰 보고서
일본의 스포츠문화 들여다 보기
프로 스포츠 사업
대중문화와 스포츠
댄스스포츠선수권대회를 보고와서 감상문
댄스 스포츠
[스포츠마케팅]'아디다스' 마케팅전략 분석 및 향후 발전방향(A+리포트)
종합 스포츠 센터 사업계획서 ( 헬스클럽 )
대중문화와 스포츠
고기능 스포츠 화장품 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NEW BRAND strategy communication).PPT...
현대사회와 스포츠 PPT자료
국내 스포츠 조직 최고의 리더 선정하기 (스포테인먼트 추진배경, 정의, 진행과정)
[경호스포츠과 자기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