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뉴질랜드의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반적 현황
☆ 문화
☆ 면적, 인구, 위치
☆ 역사
☆ 교육기관 수 및 학생 수

(2) 학제
☆ 유아원 ( Play Centre)
☆ 유치원 (kindergarten)
☆ 초등교육
☆ 중, 고등학교
☆ 전문대학교
☆ 종합 대학교
☆ 사립 대학교

(3) 대학입시제도
- NCEA (National Certificate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성취 목표
☆ 평가대상
☆ 평가방식
☆ 취득 방법
☆ 과목별 성적 평가
☆ 더욱 다양해진 교과목

(4) 교원양성제도, 교육과정의 특색

(5) 교육자치제도

(6) 교육개혁의 동향

본문내용

을 보다 넓은 세계와 관련시킨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Ⅱ-4] 참고;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1997.).
① 필수 학습 영역(the Essential Learning Areas): 교육과정의 틀은 일곱 개의 필수 학습영역을 명확히 하고 있는데, 이 영역들은 광범위하며 인식 가능한 지식과 이해의 범주들이다. 그것들은 균형 잡힌 교육과정을 이루고 있어, 이 안에서 생애능력(essential skills), 태도(attitudes), 가치(values)가 발달된다.
② 생애능력(essential skills): 교육 과정의 틀은 8개의 생애능력을 정의하고 있는데, 모든 학생들은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신장시키고, 사회에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이 능력들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 학생들은 전체의 교육과정을 통해 얻은 일련의 학습 경험을 통해 생애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③태도(attitudes)와 가치(values): 교육과정의 틀은 학교 교육과정의 통합된 부분인 태도와 가치의 윤곽을 제시한다. 학교 교육 과정은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심어 줌으로써 학생들이 다른 사람의 태도, 가치, 믿음을 존중하는 동시에 자기 자신의 태도, 가치, 믿음을 발달시키고 명백하게 함을 도와 줄 것이다.
한편, 교육과정의 틀에서는 평가(assessment)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뉴질랜드의 모든 학교의 평가에 대한 정책과 절차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국가 교육과정은 학습 결과를 분명하게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발달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평가의 목적은 학생들이 다음 단계의 학습을 계획하고, 학부모에게 결과를 알리고, 가용 자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계획을 돕기 위한 것이다.
☆ 1997년 교육과정 통합 탐색 연구 [그림 Ⅱ-5]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틀 (The 1997 Curriculum Integration Exploratory Study)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틀에서는 '학교는 다양한 방식(교과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조직하거나, 통합된 접근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주제 접근법을 사용하여)으로 균형 있고 폭넓은 교육과정을 달성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부가 모든 학교와 학급 프로그램 내에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일련의 실행과 과정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997 교육과정 통합 탐구를 위한 연구'라 행해졌는데, 이 연구는 학교가 통합 교육과정의 계획과 시행을 어떻게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필수 학습 영역 사이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접근법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1996년 9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수행되었는데, 연구가 진행된 모든 학교는 이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이 필수 학습 영역, 생애능력, 학교 발달과 변화 관리 모델, 그리고 교육과정 통합의 원칙과 실제에 대해 완전하게 알고 있음을 보증해 주는 전문적인 개발에 의해 지원을 받았다.
☆ 생애능력 교육 지원 방안
뉴질랜드의 생애능력 교육 지원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자격체제와의 깊은 연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뉴질랜드에서는 NZQA의 설립으로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체제를 확립하고 개발시켜 나가고 있다.
1) NZQA(New Zealand Qualifications Authority)
- 뉴질랜드에서는 1989년 Education Act를 제정하면서, 모든 국가적인 자격체제를 통합 관장하는 NZQA(NewZealand Qualifications Authority)를 설립하였다. NZQA에서는 포괄적이고 접근이 용이하며 유연성 있는 NQF(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체제를 개발하고 유지함으로써 뉴질랜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킴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자격체제의 관리, 자격체제의 질 확립, 검사체제 감독, NQF 개발 등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NZQA, 2000a). NZQA에서 관장하는 자격체제는 크게 NCES(National Certificate of Employment Skills)와 NCEA(National Certificate of Educational Achievement)로 나뉘는데, 이들은 취업과 상급학교 진학에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계속적인 검토와 개정이 이루어져 왔다.
2) NCES(National Certificate of Employment Skills) 현재의 <표 Ⅱ-37> 교육과정 통합 연구학교의 초점 NCES는 1996년 11월 19일부터 시작되어 2001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되었는데,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해능력(literacy), 말하기 능력(oracy), 수리능력(numeracy), 기타 개인능력(other personal and technical skills) 등을 검증 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NCES에서는 고용에 필요한 기술을 크게 다섯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하위영역과 세부영역을 나누고 있다.
또한, 이들 자격에서도 수준을 level 1에서 level 3까지 나누고, 각각의 수준에 따라 필수 이수(compulsory), 선택 1(elective 1), 선택 2(elective)로 다시 나누어 이수해야 할 단위를 정하고 있다.
3) NCEA(National Certificate of Educational Achievement)
현재의 NCEA는 1999년 8월 31일에 시작되어 2001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되게 되는데, 의사소통능력과 수리능력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학습 분야에서의 성취 측정과, 이를 통한 학습 목표의 달성과 평생 학습 분위기 조장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참고 *
http://www.nzconsultant.co.nz/
http://www.recruitment.co.kr/
http://kin.naver.com/open100/
http://cafe.naver.com/aussie/
http://blog.naver.com/plht/
http://krivet3.krivet.re.kr/
http://edu.gnue.ac.kr/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12.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5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