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댐들에서 보듯이 댐 건설로 인한 이점은 댐 건설로 인한 피해보다 크지 못하다. 오히려 평화의 댐과 같은 돌이킬 수 없는 많은 실수를 저지른 곳도 많다. 한탄강 댐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허술한 계획과 환경이 무시된 건설은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이제는 인간과 환경이다. 개발의 논리와 권력의 논리는 더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된다. 다시 말하면 한번 파괴된 자연생태계는 회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관점에서 국토의 개발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한탄강 댐 건설로 인한 주변 생태계의 파괴와 수질의 심각한 오염은 불보 듯 뻔한 일이다. 결코 우리들의 무덤을 우리 손으로 파는 일은 없어야 한다. 후세에 물려줄 환경은 우리들의 손에 달려있다. 이 말을 명심하자. WATER FOR LIFE, NOT FOR DEATH!
참고문헌
1.남치호,문태현,윤태명,이희재,제갈돈,손태성/1994/다목적댐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안동대학교 안동지역사회개발연구소
2.김강주.박태윤.염규진.고영진.안삼영.김대희/2001/환경과학/신호서적/p398~399
3.최연홍/2001/한국 환경정책과 행정(진단과 처방)/신광출판사/p252~268
4.옥치상/2001/새 인간과 환경/지구문화사/p452~478
5.UNEP.김재범.지재성.문국현/1997/녹색공동체를 위한 실천/나남출판/p181~195
6.김정욱/1998/위기의 환경 어떻게 구할 것인가?/푸른산/p251~258
7.http://www.hantanlove.net/
8.http://www.nodam.or.kr/
인간과 환경
Report
-한탄강 댐 건설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과 견해
참고문헌
1.남치호,문태현,윤태명,이희재,제갈돈,손태성/1994/다목적댐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안동대학교 안동지역사회개발연구소
2.김강주.박태윤.염규진.고영진.안삼영.김대희/2001/환경과학/신호서적/p398~399
3.최연홍/2001/한국 환경정책과 행정(진단과 처방)/신광출판사/p252~268
4.옥치상/2001/새 인간과 환경/지구문화사/p452~478
5.UNEP.김재범.지재성.문국현/1997/녹색공동체를 위한 실천/나남출판/p181~195
6.김정욱/1998/위기의 환경 어떻게 구할 것인가?/푸른산/p251~258
7.http://www.hantanlove.net/
8.http://www.nodam.or.kr/
인간과 환경
Report
-한탄강 댐 건설에 관한 환경학적 고찰과 견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