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탄강댐 환경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반대로 인해 댐 건설이 주춤하는 동안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음
각종 조사에서도 한탄강 댐 이상의 대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분쟁의 성격을 감안한 해결방안
○ 다목적 댐만이 해결방안은 아니다.
- 건설교통부와 수자원 공사는 90년과 95년의 엄청난 홍수 피해를 상기하여 볼 때 홍수 조절을 위한 다목적댐이 반드시 건설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홍수조절을 위해 반드시 다목적댐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 또 삼림의 조성, 즉 녹색댐의 건설을 통해서도 홍수 예방에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녹색댐은 그 밑에 물을 함유하는 깊은 토양층을 지니고 있어서 많은 양의 빗물을 저장해주기 때문에 호우가 내릴 때 홍수 피해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 호우로 인한 산사태 등을 막아주기 때문에 녹색댐을 건설하면 홍수 피해는 더욱 줄어들게 된다.
○ 차기 대안책 녹색댐
- 녹색댐이란수자원함양기능을 최대한 보유하도록 인위적으로 잘 관리된 산림을 말한다. 산림의여러 가지 공익적 기능은 이미 잘 알려진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물과 관련해서 중요한 기능이 바로 수자원을 함유하고 정화하는 기능이다.
산림의 수자원함양기능 함양
호우시 홍수유량을 경감시키는 홍수조절기능, 기저유량을 증가시켜 수자원공급을 유지시켜주는 갈수완화기능, 물을 깨끗하게 해주는 수질정화기능
○ 대폭적인 담수용량 확대방안
- 한탄강댐 담수용량을 보다 늘리기 위해서는 댐 축조지점을 현재의 예정지에서 1.2km 쯤 하류로 옮겨야 한다.
- 댐 높이를 위쪽과 똑같은 85m로 할 경우, 수몰선이 EL.115m로 2m 낮아져 한탄강댐의 최대 골칫거리인 군부대(사격장 등)와 상류지역(중리의 평야지역 등)의 수몰이 다소 줄어들므로 보상비용이 절감(이에 따른 민원도 줄어듦)되며, 수몰선 하향으로 댐 길이도 짧아져 본댐 축조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 과학적이고 환경친화적 댐건설
친환경공법으로 홍수시에만 물을 가둬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댐 건설을 빠르게 추진해야 하는 것이 환경론자들이 말하는 그 ‘환경의 파괴’ 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길일 것이다.
결론...
어떤 경우든 답은 없는듯 하다. 솔직히 자연 그 자체로 놨두는게 최선일 수도 있지만 지금은 옛 조선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에도 손을 내 줄 수 밖에 없다. 어쨌든 미래를 생각한 결정이 최선의 방안이며 어떤 방법을 택하든 그에 대한 보완은 충분히 이루어 져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06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4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