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연구문제
2.연구방법 및 범위
Ⅱ. 국제관광에 대한 고찰
1.해외송출관광의 개념
2.해외송출관광 수요량 변동의 결정인자
Ⅲ. 해외송출관광의 추세 및 분석
1.해외송출관광의 추세
2.해외송출관광 수요량 변동 분석
Ⅳ. 목적지별 관광현상의 특징 및 논의
1.일본
2.중국
3.태국
Ⅴ. 결론
1.결론
2.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1.연구문제
2.연구방법 및 범위
Ⅱ. 국제관광에 대한 고찰
1.해외송출관광의 개념
2.해외송출관광 수요량 변동의 결정인자
Ⅲ. 해외송출관광의 추세 및 분석
1.해외송출관광의 추세
2.해외송출관광 수요량 변동 분석
Ⅳ. 목적지별 관광현상의 특징 및 논의
1.일본
2.중국
3.태국
Ⅴ. 결론
1.결론
2.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493,657
47,032
17,740
927
2,390
13,408
2004
754,093
666,673
49,378
19,030
780
3,063
15,169
<표4-2> 한국인 목적별 출국자 수
<표4-3> 한국인 출국자 성비
계
남
비율
여
비율
1999
269,700
141,227
52
128,473
48
2000
351,113
183,017
52
168,096
48
2001
446,886
232,569
52
214,317
48
2002
581,514
298,135
51
283,379
49
2003
575,154
301,736
52
273,418
48
2004
754,093
377,198
50
376,895
50
태국으로의 한국인 출국자의 성비 차이는 감소하고 있으나 미비한 수준의 변화라고 볼수 있다. 방문 목적별 유형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성비의 차이도 작은 것으로 보인다.
<표4-4> 한국인 연령별 출국자 수
계
0-20
21-30
31-40
41-50
51-60
61세 이상
1999
270,965
17,819
95,443
60,870
42,816
36,233
17,784
2000
352,488
24,381
117,310
79,575
60,687
48,104
22,431
2001
448,596
36,604
139,601
103,571
80,271
59,428
29,121
2002
583,625
49,390
162,349
134,278
114,356
79,786
43,466
2003
577,342
55,201
143,974
133,188
124,179
78,086
42,714
2004
756,723
75,017
200,329
172,962
152,648
102,688
53,079
태국의 특징은 가장 많이 방문하는 연령층이 21~30세로 중국과 일본에 비해 방문자가 젊다는 사실, 그리고 이 젊은이들이 국내 태국 방문자의 연령비에서 5년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높은 관광인지도와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나라인 이유는 태국이 보유하고 있는 관광자원 및 매력도 요인에 원인이 있을 것이다. 젊은이들이 즐길 수 있는 활동적이면서 낭만적인 밤거리 문화, 야시장, 그리고 아름다운 해변가는 태국이 관광지로서의 인지도를 확보 할 수 있게끔 만들어준 가장 큰 요인일 것이다.
<표4-5> 한국인 연령별 출국자 수
계
공무원
회사원
상업·유통
교육인
학생
기타
무직
2002
583,625
5,804
208,859
36,948
11,127
44,351
29,862
246,674
2003
577,342
5,939
203,548
37,553
12,679
48,208
26,064
243,351
2004
756,723
8,262
250,700
42,160
16,450
69,556
31,268
338,327
<표4-6> 한국인 직업별 출국자 수
<표4-6>을 살펴보면 3년간 태국으로 출국한 한국인의 직업별 비율은 큰 변화가 없다. 회사원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 공무원이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한다.
<표4-7> 한국인 직업별 출국자 수
Ⅴ. 결론
1. 결론
우리나라의 해외송출관광은 꾸준한 증가 일로를 걸어왔다. 그러나 1998년 IMF라는 경제적인 난국에 직면해 그 송출량의 급격한 감소를 겪었다. 하지만 높은 환율로 인해 해외송출관광의 감소는 국내 관광수입의 증가를 가져와 관광수익의 창출하기도 했다. 그 후 2003년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발병한 사스(SARS), 미국의 선전포고로 시작된 이라크 전쟁이라는 국제적으로 큰 사건을 2번 겪은 후 연간 송출량 7,086,323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런 해외송출관광객 중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는 중국, 일본, 태국의 순이다. 중국은 2001년부터 “한국인이 가장 많이 가는 나라”가 되었고 두 번째로 많이 가는 일본과의 격차를 계속 벌이고 있는 추세다.
우리나라에서 중국, 일본, 태국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목적, 연령, 직업, 성별비로 분석을 해보면 남녀성비에서 남성의 비율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방문 목적 중에서 사용목적의 방문객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런 사실에서 상용목적으로 외국을 방문하는 사람은 대부분이 남성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는데 이 추측은 태국의 방문목적과 성비를 살펴보면 설득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태국의 방문목적은 관광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성비는 중국, 일본과 달리 남녀 각각 반반을 차지하고 있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낸다. 즉, 관광목적으로 해외를 방문하는 사람들의 남녀 구성 비율은 대체로 균등하고 상용목적으로 해외를 방문하는 사람들의 남녀구성 비율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31~40세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별 구성 비율은 큰 변화가 없이 지금껏 일정하게 이어져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점, 노령인구의 증가와 그들이 사회구성원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 위치가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앞으로는 51~60세, 61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해외를 방문하는 수치가 전체 해외 방문객 비율에서 더 큰 부분을 차지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다만 그 변화의 속도는 빠르지 않을 것으로 짐작 된다.
2. 연구의한계
검증되지 않은 관광 통계 자료의 정확도가 연구의 한계이다. 이 연구는 전적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모든 현상을 분석하고 파악하고 있어 통계 자료의 정확도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지만 그 정확도가 검증 되지 않은 것이다. 또 다른 한계는 연구 자체가 통계자료의 분석이라는 한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져 계량적인 분석만이 아닌 “모형을 통한 결론의 도출”등 다른 각도, 시각에서 국내 관광송출현상을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박상수(2004).『국제관광원론』p.20. 형설출판사.
김사헌(2001).『관광경제학』p.79-80. 백산출판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4).『한국관광동향』p.4-7. 2004년 4/4분기
통계자료
한국관광공사 http://www.knot.or.kr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http://www.kctpi.re.kr
47,032
17,740
927
2,390
13,408
2004
754,093
666,673
49,378
19,030
780
3,063
15,169
<표4-2> 한국인 목적별 출국자 수
<표4-3> 한국인 출국자 성비
계
남
비율
여
비율
1999
269,700
141,227
52
128,473
48
2000
351,113
183,017
52
168,096
48
2001
446,886
232,569
52
214,317
48
2002
581,514
298,135
51
283,379
49
2003
575,154
301,736
52
273,418
48
2004
754,093
377,198
50
376,895
50
태국으로의 한국인 출국자의 성비 차이는 감소하고 있으나 미비한 수준의 변화라고 볼수 있다. 방문 목적별 유형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성비의 차이도 작은 것으로 보인다.
<표4-4> 한국인 연령별 출국자 수
계
0-20
21-30
31-40
41-50
51-60
61세 이상
1999
270,965
17,819
95,443
60,870
42,816
36,233
17,784
2000
352,488
24,381
117,310
79,575
60,687
48,104
22,431
2001
448,596
36,604
139,601
103,571
80,271
59,428
29,121
2002
583,625
49,390
162,349
134,278
114,356
79,786
43,466
2003
577,342
55,201
143,974
133,188
124,179
78,086
42,714
2004
756,723
75,017
200,329
172,962
152,648
102,688
53,079
태국의 특징은 가장 많이 방문하는 연령층이 21~30세로 중국과 일본에 비해 방문자가 젊다는 사실, 그리고 이 젊은이들이 국내 태국 방문자의 연령비에서 5년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높은 관광인지도와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나라인 이유는 태국이 보유하고 있는 관광자원 및 매력도 요인에 원인이 있을 것이다. 젊은이들이 즐길 수 있는 활동적이면서 낭만적인 밤거리 문화, 야시장, 그리고 아름다운 해변가는 태국이 관광지로서의 인지도를 확보 할 수 있게끔 만들어준 가장 큰 요인일 것이다.
<표4-5> 한국인 연령별 출국자 수
계
공무원
회사원
상업·유통
교육인
학생
기타
무직
2002
583,625
5,804
208,859
36,948
11,127
44,351
29,862
246,674
2003
577,342
5,939
203,548
37,553
12,679
48,208
26,064
243,351
2004
756,723
8,262
250,700
42,160
16,450
69,556
31,268
338,327
<표4-6> 한국인 직업별 출국자 수
<표4-6>을 살펴보면 3년간 태국으로 출국한 한국인의 직업별 비율은 큰 변화가 없다. 회사원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 공무원이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한다.
<표4-7> 한국인 직업별 출국자 수
Ⅴ. 결론
1. 결론
우리나라의 해외송출관광은 꾸준한 증가 일로를 걸어왔다. 그러나 1998년 IMF라는 경제적인 난국에 직면해 그 송출량의 급격한 감소를 겪었다. 하지만 높은 환율로 인해 해외송출관광의 감소는 국내 관광수입의 증가를 가져와 관광수익의 창출하기도 했다. 그 후 2003년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발병한 사스(SARS), 미국의 선전포고로 시작된 이라크 전쟁이라는 국제적으로 큰 사건을 2번 겪은 후 연간 송출량 7,086,323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런 해외송출관광객 중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는 중국, 일본, 태국의 순이다. 중국은 2001년부터 “한국인이 가장 많이 가는 나라”가 되었고 두 번째로 많이 가는 일본과의 격차를 계속 벌이고 있는 추세다.
우리나라에서 중국, 일본, 태국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목적, 연령, 직업, 성별비로 분석을 해보면 남녀성비에서 남성의 비율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방문 목적 중에서 사용목적의 방문객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런 사실에서 상용목적으로 외국을 방문하는 사람은 대부분이 남성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는데 이 추측은 태국의 방문목적과 성비를 살펴보면 설득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태국의 방문목적은 관광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성비는 중국, 일본과 달리 남녀 각각 반반을 차지하고 있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낸다. 즉, 관광목적으로 해외를 방문하는 사람들의 남녀 구성 비율은 대체로 균등하고 상용목적으로 해외를 방문하는 사람들의 남녀구성 비율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31~40세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별 구성 비율은 큰 변화가 없이 지금껏 일정하게 이어져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점, 노령인구의 증가와 그들이 사회구성원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 위치가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앞으로는 51~60세, 61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해외를 방문하는 수치가 전체 해외 방문객 비율에서 더 큰 부분을 차지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다만 그 변화의 속도는 빠르지 않을 것으로 짐작 된다.
2. 연구의한계
검증되지 않은 관광 통계 자료의 정확도가 연구의 한계이다. 이 연구는 전적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모든 현상을 분석하고 파악하고 있어 통계 자료의 정확도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지만 그 정확도가 검증 되지 않은 것이다. 또 다른 한계는 연구 자체가 통계자료의 분석이라는 한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져 계량적인 분석만이 아닌 “모형을 통한 결론의 도출”등 다른 각도, 시각에서 국내 관광송출현상을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박상수(2004).『국제관광원론』p.20. 형설출판사.
김사헌(2001).『관광경제학』p.79-80. 백산출판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4).『한국관광동향』p.4-7. 2004년 4/4분기
통계자료
한국관광공사 http://www.knot.or.kr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http://www.kctpi.re.kr
추천자료
한국 관광객을 위한 항공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관광자원
우리나라에 외국인 관광객을 늘이기 위한 방안
전라남도 관광 가이드 -내가 만약 가이드라면 중국 관광객을 어떻게 가이드 할것인가?
관광사업 - 관광객이용시설업
기독교 성지순례 관광상품과 관광객의 동기유형 분석
외국인 관광객을 유지시키기 위한 국내 관광 진흥정책
[관광의 개념] 관광과 관광객 및 관광시스템의 개념(정의), 구성요소
관광학원론-한국방문의 해,이벤트 및 지역축제,관광객 특별 유치 프로그램,MICE 산업,국제 관...
제주도 흑돼지- 브랜드화 마케팅 전략,제주산 흑돼지,제주도 관광객,브랜드 명칭,‘제주 흑돼...
대구시의 중국인 관광객 유치 방안 전략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관광문화의 발생과정 - 문화의 확산과정 및 관광객의 유형과 문화와...
면세점(免稅店) 산업의 이해 & 중국인 관광객 증가가 면세점산업에 미치는 영향.pptx
[호텔경영학] 중국관광객 유치방안을 위한 관광수용태세 개선방안.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