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줄거리 2
Ⅱ본론
1. 간호이론 -로이의 적응이론
1) Roy의 적응이론의 주요 개념과 정의
(1) 자극
(2) 대처기전
(3) 적응양상
(4) 반응
2) 이론의 적용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및 자극
(3) 간호계획 및 수행
Ⅲ결론
Ⅳ참고자료
줄거리 2
Ⅱ본론
1. 간호이론 -로이의 적응이론
1) Roy의 적응이론의 주요 개념과 정의
(1) 자극
(2) 대처기전
(3) 적응양상
(4) 반응
2) 이론의 적용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및 자극
(3) 간호계획 및 수행
Ⅲ결론
Ⅳ참고자료
본문내용
서의 지적능력 부족인 샘을 대신하여 루시를 교육할 사람을 찾는다.
루시에게 엄마의 빈자리를 채워준다.
루시에게 이러한 불완전한 가족구조를 이해하게하여 상처받지 않도록 한다.
계획 및 수행- 현재 가족구조를 사정하고 불완전한 부분을 사정한다.
루시의 교육을 담당해줄 사람을 사회복지부에 도움요청하여 알아본다.
엄마의 영역을 담당해줄 사람을 사회복지부에 도움요청하여 알아본다.
루시에게 이러한 가족구조에 대해 설명해주고 이해시킨다.
진단-가족 발달 과업의 미완성
목표- 샘과 루시는 가족발달 단계에 따른 적절한 발달 과업을 이룬다
계획 및 수행- 샘과 루시의 부녀간의 정을 나눌수 있도록 함께할수 있는 시간을 많이 제공한다
루시의 교육문제에 관해 샘과 복지사가 함께 의논하여 뒤쳐지지 않도록 한다
아빠의 역할을 샘에게 교육시켜 앞으로 변해나갈 루시의 행동에대해 대처한다
샘의 지적수준이 7살임을 루시에게 받아들이도록 하여 샘을 이해하게 한다
결론
많이들 본 영화중 하나인 I Am Sam을 로이의 적응이론에 점목시켜 가족위기중재를 해보았다.
간호이론을 직접 점목시켜 하려니 생각보다 어렵고 난해했다.
하지만 직접 이론을 점목하여 가족위기중재를 해보니 간호이론에 대한 이해가 훨씬 쉬웠다.
많은 간호이론이 있지만 나는 로이의 적응이론을 선택 하였다.
샘에게 있는 장애를 환경에 의한 자극으로 보고 그것을 극복해 나가기 위해 샘과 루시가 부녀간의 정을 나누며 가족의 틀을 지키려는 노력을 그 상황에 적응해 나가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들 가족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함께 살수 있는가 없는가에 있었고 이의 해결방법으로
샘의 아빠됨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었다.
샘은 7살의 지적수준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장차 루시가 커감에 따른 좋은 역할 모델이 될 수 없었으며 자녀 교육을 시킬수가 없었다.
하지만 샘은 누구보다도 루시를 사랑하였고 루시역시 누구보다도 샘과 함께 살기를 희망하였다 따라서 이들 가족에게는 가족 발달 과업의 문제는 제기 되었지만 이것만 해결 된다면 함께 사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
이는 사회복지회의 도움을 필요로 하며 루시가 아빠의 장애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샘의 장애에 의한 자극에도 이를 극복해 나가려는 루시의 아빠 사랑은 이 상황에 적응해 나가려는 로이의 이론에 너무도 잘 맞는다고 보았다.
로이의 적응이론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할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참고자료
이소우. (2000).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최영희. (1990). 간호이론 (현문사).
김수지. (1987). 간호이론 (현문사).
Maureen O'Brien flahaerty, 이소우.(1978). 간호이론과 실제에서의 의사소통론.
(대한간호협회 출판부).
오현숙. (2000). 불확실성의 간호이론 구성,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김성은. (1990). 가족생활 주기론을 활용한 가족문제 진단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주현,김희자,김정순. (1996). 간호이론의 개관,
淸州專門大學, (p 207-242)
루시에게 엄마의 빈자리를 채워준다.
루시에게 이러한 불완전한 가족구조를 이해하게하여 상처받지 않도록 한다.
계획 및 수행- 현재 가족구조를 사정하고 불완전한 부분을 사정한다.
루시의 교육을 담당해줄 사람을 사회복지부에 도움요청하여 알아본다.
엄마의 영역을 담당해줄 사람을 사회복지부에 도움요청하여 알아본다.
루시에게 이러한 가족구조에 대해 설명해주고 이해시킨다.
진단-가족 발달 과업의 미완성
목표- 샘과 루시는 가족발달 단계에 따른 적절한 발달 과업을 이룬다
계획 및 수행- 샘과 루시의 부녀간의 정을 나눌수 있도록 함께할수 있는 시간을 많이 제공한다
루시의 교육문제에 관해 샘과 복지사가 함께 의논하여 뒤쳐지지 않도록 한다
아빠의 역할을 샘에게 교육시켜 앞으로 변해나갈 루시의 행동에대해 대처한다
샘의 지적수준이 7살임을 루시에게 받아들이도록 하여 샘을 이해하게 한다
결론
많이들 본 영화중 하나인 I Am Sam을 로이의 적응이론에 점목시켜 가족위기중재를 해보았다.
간호이론을 직접 점목시켜 하려니 생각보다 어렵고 난해했다.
하지만 직접 이론을 점목하여 가족위기중재를 해보니 간호이론에 대한 이해가 훨씬 쉬웠다.
많은 간호이론이 있지만 나는 로이의 적응이론을 선택 하였다.
샘에게 있는 장애를 환경에 의한 자극으로 보고 그것을 극복해 나가기 위해 샘과 루시가 부녀간의 정을 나누며 가족의 틀을 지키려는 노력을 그 상황에 적응해 나가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들 가족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함께 살수 있는가 없는가에 있었고 이의 해결방법으로
샘의 아빠됨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었다.
샘은 7살의 지적수준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장차 루시가 커감에 따른 좋은 역할 모델이 될 수 없었으며 자녀 교육을 시킬수가 없었다.
하지만 샘은 누구보다도 루시를 사랑하였고 루시역시 누구보다도 샘과 함께 살기를 희망하였다 따라서 이들 가족에게는 가족 발달 과업의 문제는 제기 되었지만 이것만 해결 된다면 함께 사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
이는 사회복지회의 도움을 필요로 하며 루시가 아빠의 장애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샘의 장애에 의한 자극에도 이를 극복해 나가려는 루시의 아빠 사랑은 이 상황에 적응해 나가려는 로이의 이론에 너무도 잘 맞는다고 보았다.
로이의 적응이론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할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참고자료
이소우. (2000).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최영희. (1990). 간호이론 (현문사).
김수지. (1987). 간호이론 (현문사).
Maureen O'Brien flahaerty, 이소우.(1978). 간호이론과 실제에서의 의사소통론.
(대한간호협회 출판부).
오현숙. (2000). 불확실성의 간호이론 구성,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김성은. (1990). 가족생활 주기론을 활용한 가족문제 진단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주현,김희자,김정순. (1996). 간호이론의 개관,
淸州專門大學, (p 207-242)
추천자료
치매노인의 간호중재 전략개발
유방암 환자의 경험에 근거한 간호문제 도출
심리학적 모델 - 가족치료(가족치료의 모든분야 완전분석자료)
[교육사회학] 학교 부적응 청소년을 돕기위한 방안
폭력과 학대 대상자의 간호
[치매간호][치매노인간호]치매간호(치매노인간호)의 이론적 개념, 치매간호(치매노인간호)의 ...
체계이론을 정리한 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갖는 의의에 대해서 설명...
[2014 가족상담및치료 공통] 체계이론을 정리한뒤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에서 체계이론이...
고위험모아간호학] 고위험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 사정과 치료 및 간호, 다혜 탈수정도, 24...
[고위험모아간호학]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 치료 및 간호, 위장관계장...
지역사회 다문화 간호 - (문화적 간호중재)와 우리나라 다문화지원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