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에 관한 것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키에 관한 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키 장비 및 복장
◎ 장비 소개
◎복장

2.상해 발생 요인 및 예방법
◎상해 발생 요인
가. 스키어 자신에 관한 요인
나. 스키 용품과 복장에 의한 요인
다. 환경에 관한 요인
◎상해 예방법

3.활주시 주의 사항

4. 기본 기술
◎스키 적응 훈련
◎킥턴
◎등행연습
가. V자 오르기
나. 옆으로 오르기(Side step climbing)
다. 대각선 오르기(Diagonal side step)
◎넘어졌다 일어나기
가. 넘어지는 방법
나. 일어나는 법

5.초급기술
◎플르그 기본자세
◎플르그 보겐
가. 플르그 산돌기
나. 플르그 계곡돌기
◎슈템턴
가. 산쪽 슈템 턴(Uphill Stem Turn)
나. 계곡쪽 슈템 턴(Downhill Stem Turn)
◎페러렐 턴
가. 연습 방법
나. 회전

본문내용

스키를 넓혔던 스키의 반대쪽 스키를 모아서 턴을 완성한다.
④ 외향경 자세를 정확히 유지한다.
⑤ 처음에는 턴이 완전히 끝난 후 스키를 모으고 점차 모으는 지점을 앞당겨 연 습한다.
⑥ 큰 턴에서 스키를 넓히고 좁히는 지점을 찾은 후, 점차적으로 작은 턴을 연습한다.
나. 계곡쪽 슈템 턴(Downhill Stem Turn)
계곡쪽 슈템 턴은 페러렐 턴에 거의 가까운 기술로 스피드를 내거나 아이스반등에서 위력을 발휘한다. 이 턴의 요령은 사활강으로 내려오다가 계곡쪽 스키를 넓혀서 방향 전환을 하고 넓혔던 스키를 다시 모아 턴을 이루는 것이다.
<연습 방법>
① 계곡쪽 스키의 밀어내기는 무릎을 굽히면서 행한다.
② 스키를 밀어내고 끌어당기는 연습을 2박자로 연습하고 나중에는 1박자로 완 성되도록 연습한다.
③ 밀어내는 계곡 스키의 반동을 얻어 산쪽 스키옆으로 끌어당겨 붙이면서 턴을 완성한다.
④ 외향경 자세를 정확히 유지한다.
⑤ 원심력이 가장 클 때 밀며 그 반동으로 끌어 붙인다.
⑥ 큰 턴에서 스키를 넓히고 좁히는 지점을 찾은 후, 점차적으로 작은 턴을 연 습한다.
◎페러렐 턴
패럴렐 턴이란 양스키를 가지런히 한 자세의 턴을 말한다. 스키의 평행조작에는 기술적인 주안점과 이유가 있는데, 그것은 보다 빨리 스피드를 내서 활강하기 위한 것이며, 평행조작을 함으로써 피로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조건으로 활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습득한 V자형 턴을 어떻게 하면 평행조작의 패럴렐 턴으로 이끌 수 있을까? 이들의 관계는 힘을 주는 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특별히 구별될 만큼의 요령의 차이는 없다.
V자형 턴의 요령을 패럴렐 조작에 접근시키기 위해서는 미는 힘의 방향을 상하로 변화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V자형 턴의 경우 발꿈치를 비스듬히 옆으로 밀어내는 감각에서, 패럴렐으로 바꿀 경우 발의 안쪽을 위에서 밑으로 누르는 감각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 때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미는 힘과 미는 시간의 조절인데, 부드럽고 천천히 힘을 가하도록 한다.
가. 연습 방법
다리에 의한 리드미컬한 번갈아 밀어내기를 하는 데는 가슴 방향(아래쪽)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에 의하여 상체와 하체 사이에 비틀림이 생겨, 비틀림ㆍ되돌림의 원리를 스키조작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① 끈의 길이를 스톡 웍과 가슴의 방향을 확인한다.
길이 1m 가량의 단단한 끈을 준비한다. 스톡을 잡는 양손의 간격을 이 끈의 길이로 몸에 익힌다. 양손을 고정한 끈을 팽팽하게 한 채로 스톡을 조작하면서 활강한다. 이 연습에 의하여 가슴 방향의 확보와 올바른 스톡 웍의 양팔의 자세, 그리고 양손의 사용법을 익힌다.
② 양손을 벌려 방향을 확인한다.
스톡을 손에서 벗기고, 스톡을 거꾸로 해서 링을 밑에서 받치듯이 살짝 들고 양팔을 벌려 평행으로 매단다. 그런 자세로 가슴의 방향을 확보하면서 활강한다. 상체가 올바른 방향으로 유지되고 있으면, 스톡은 앞뒤로 흔들리지 않고 좌우로 시계추처럼 리드미컬하게 흔들릴 것이다.
③ 스톡을 몸앞에 들고 가슴의 방향을 유지한다.
두 스톡을 함께 상체 앞에 수평으로 잡고 가슴의 방향을 확보하면서 활강한다. 수평으로 두 스톡은 위에서 잡는 것이 아니고 밑으로 손바닥으로 받치듯이 가볍게 잡는다. 몸 앞에 받쳐든 스톡의 방향에 주의함으로서 가슴의 방향을 유지하는 연습을 한다.
④ 스톡으로 방향을 확보한다.
두 스톡을 엇갈리게 허리를 앞뒤에서 끼워 스톡의 밴드를 이용해서 양끝을 고정시킨다. 스톡으로 허리를 끼움으로써 허리의 방향을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자세로 활강하고 있으면 허리가 반듯하지 어떤지 금방 알 수 있다. 되도록 허리를 틀지 않고 활강하도록 신경을 쓰게 된다.
⑤ 평행조작의 감각을 터득한다.
종이 테이프 등으로 두 무릎을 묶는다. 이에 의하여 두 무릎이 떨어지지 않도록 구속하여 평행조작의 터득하게 하려는 연습을 한다. 얼핏보면 위험할 것 같아 보이지만 두 발목을 묶는 것과는 달라서 양스키의 간격을 벌릴 수가 있으므로 위험하지 않다.
나. 회전
턴을 준비기, 시동기, 후반기, 종료기 4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하는 수가 있는데, 이 구분으로 말한다면 산돌기는 후반기의 부분이라는 것이 되어, 말하자면 턴의 후반부를 맡는 조작이다. 대회전이란 결국, 턴의 후반을 길게 잡은 활강이므로 이 산돌기의 연습이야말로 대회전의 결정적 요소가 된다.
우선, 양스톡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몸을 받치고, 양스키를 가지런히 한 다음, 약간 비스듬한 방향으로 활강할 준비를 한다. 활강을 시작하기 전에 다시 한 번 힘을 가할 발의 하중 포인트를 감각적으로 확인한다. 큰 호를 그리는 데는 긴 시간을 계속 밀어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힘의 배분이 필요하다.
균형 잡힌 커다란 반원호를 그리기 위해서는 하중위치와 액셀러레이터의 조절이 문제이다. 한꺼번에 밟지 말고 처음에는 약하게 서서히 힘을 가하여 스키가 산 쪽을 보고 정지할 때까지 계속 밟아주어야만 한다. 도중에서 호흡이 그치지 않도록 매끄러운 동작이 필요하다. 이연습도 좌우의 호가 불균등하게 되지 않도록 오른쪽과 왼쪽을 번갈아 되풀이해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도한대로의 산돌기(호)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그 원인을 턴의 기본 요령에 비추어서 체크해 보아야 한다.
다음은 그것들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한 연습방법이다.
① 아래쪽 다리의 무릎을 누르고 아랫발 하중을 유지한다.
스톡을 들지 않고 출발하여 아랫발의 밀기 시작하는 동작에 맞추어서 상체를 굽혀 위쪽 손으로 아래쪽 다리의 무릎 바깥쪽을 누르면서, 산쪽으로 돌아간다. 이 자세를 취함으로써 가슴의 아래쪽 방향과, 상체의 외경에 의한 아랫발 하중을 유지시켜야 한다.
② 스톡의 기울기와 방향에 주의한다.
언제나 활용하고 있는 방법인데 양스톡을 함께 수평으로 들고, 상체 앞에 내밀고 외향과 외경을 확인하면서 아랫발을 계속 밀면서 산쪽으로 돌아간다. 이 경우의 스톡은 위로 잡지 말고 밑에서 가볍게 두 손으로 받치듯이 잡아준다. 스톡이 상체의 방향과 상체의 기울기의 기준이 되는 것이므로, 올바른 외향경의 자세가 취해서 있는지 어떤지는 스톡의 기울기와 방향으로 확인한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12.12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