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인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와 인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지와 은유
(1) 은유적이란?
(2) 인지적 도구로서의 은유
(3) 은유에서의 일관성
2. 인지와 문법
(1) 인지문법의 기초
(2) 언어의미론
(3) 영상으로서의 문법
3. 인지발달과 언어습득
(1) 인지주의의 언어습득이론
(2) 인지발달과 언어발달
(3) 인지과정
(4) 비언어적 요소와 인지발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rth(1966)는 귀머거리 어린이에 대한 지적 수행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를 한 결과, 정상적인 어린이와 어떤 유의적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몇몇 귀머거리 어린이의 인지발달 속도는 느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것의 이유는 언어가 부재했기 때문이 아니라 자라온 주위환경에서의 불충분한 노출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비록 그 귀머거리 어린이들이 영어를 정상적으로 듣고 말할 수는 없었지만, 인지 능력은 정상적인 어린이와 뒤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Furth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맺고 있다.
) Furth 1964 p160
첫째, 언어란 지적발달에 직접적인, 일반적인 혹은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언어의 영향력은 간접적이며, 특수한 지적발달을 가속화하고 있다. 따라서 언어가 지적 능력을 결정적으로 뒤지게 하기보다 차라리 언어 경험 부족이 인지 발달에 일시적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문제 해결 능력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추측되나, 언어 결핍이 결정적인 인지 발달의 열쇠는 아니다.
정상적인 어린이의 경우, 6세경이면, 어떤 행동을 의도하고 계획할 수 있는 사고력이 있지만, 금하는 자제력, 행동을 보류할 수 있는 사고 능력 만족감을 지연시키는 능력등이 급격히 상승된다. 이러한 능력은 2세의 어린이에 비해서 월등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심리학자들은 귀머거리 어린이에 대한 연구에서, 2세와 6세사이의 귀머거리 어린이 사이에 이런 동일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정동빈 1987 p283
다른 사항은 매우 복잡하며 보다 더 상세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것이 바로 어떤 과제들은 언어에 대한 지식에 의해서 촉진된다는 주장이다. 우리는 아직도 이러한 과제의 영역을 어떻게 특징지울 것인지 알지 못한다.
Piaget는 언급하기를, 일반적으로 사춘기에 나타나는 형식적인 작용에 대한 복잡한 논리는 언어기능의 출현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나 그는 강조하기를 언어는 인지발달의 이 단계에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이라는 사실을 신중하게 강조했다. 여러 가지 비언어적 발달 요인도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로써는 언어와 의사전달이 인지발달의 몇 가지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다는 사실에 도달할 수 있을 뿐이다. 아동에 있어서 정신적 구조에 대한 대부분의 발달에 언어적 원인 또는 언어적인 선행요건이 존재한다고 주장할 수 없다 최소한 이것은 Piaget에 의해서 기술된 판단과 논리작용의 견지에서 볼 때 사실이다. 언어는 결코 개념형성에 대한 기저구조를 제공하지 못한다. 의사전달이 있어서 언어의 활용은 확실히 아동이 지식을 얻고 자신의 사고에 미치는 다른 투시력을 택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성인과 마찬가지로 아동에 대해서도 정신적인 내용의 대부분이 언어적인 표현으로 구성되어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언어는 우리가 지식을 갖추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들 수는 있지만, 우리를 사고하는 사람으로 만들지는 못한다. 실로, 어린 아동이 이미 사고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다는 사실은 언어습득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 Dan Isaac Slobin 1989 p251
Ⅲ.결론
지금까지 인지언어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인지언어학에서 다루어지는 학문들은 범위가 다양하지만 지면관계상 은유와 문법과의 관계, 그리고 언어습득과의 관계만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인지언어학은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 20년 남짓이고, 본격적인 연구는 최근 몇 년 사이이므로 연구 역사가 매우 짧은 이론이라고 한다. 그것도 미국이 중심이 되어 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로서 영어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는 우리보다 더 일찍 소개가 되었지만, 국어학에서는 지금도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상태인 것 같다. (인지언어학에 책을 찾아보면 외국의 책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우리나라의 책들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인지'라는 용어가 아직은 익숙지 않은 분위기인 것 같지만 언어학을 공부하려는 사람들은 이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앞으로의 학문은 '뇌의 신비'를 밝히고, 또한 컴퓨터 언어학의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서로 협조하고, 보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언어학 연구도 '개념', '인지' 같은 추상적인 분야도 함께 연구함으로써, '뇌의 신비'를 밝히면서 다른 학문과도 상호 보완적인 관점을 취하여 통합적인 학문의 분야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Lakoff, George/ Turner, Mark 공저 1989 More Than Cool Reason Univ of Chicago Pr
Lakoff, George/ Johnson, Mark 공저 1983 Metaphors We Live by Univ of Chicago Pr
이수련 저 2001 한국어와 인지 박이정
이기동 저 1992 언어와 인지 한신문화사
데이비드리 저 김지룡 김동환 공역 2003 인지언어학 입문 한국문화사
김진우 저 1999 인지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이기동 편저 2000 인지언어학 한국문화사
Friedrich Ungerer;Hans-Jorg Schmid 공저 임지룡;김동환 공역 1999 인지언어학 개론 태학사
정동빈 저 1994 언어발달지도 한국문화사
정동빈 저 1987 언어습득 연구 한신문화사
정동빈 저 1992 심리언어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하길종 저 2001 언어 습득과 발달 국학자료원
베른트 하이네 지음;이성하;구현정 공역 2004 문법의 인지적 기초 박이정
Ronald W. Langacker저 ;김종도;나익주 공역 2003 문법과 개념화 박이정
정연창 저 2003 담화인지론 연구 세종출판사
G. 레이코프 저;이기우 옮김 1994 인지의미론 한국문화사
이종열 저 2003 비유와 인지 한국문화사
김여수외 저 1997 언어, 진리, 문화1 철학과현실사
김욱동 저 1999 은유와 환유 민음사
Dan Isaac Slobin 저 ;박경자;임병빈;강명자 공역 1989 슬로빈의 심리언어학 한신문화사
Robert E. Owens 저;이승복 옮김 2001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장석진 엮음 1994 현대언어학 지금 어디로 한신문화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12.14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