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 1. 택배시장의 현황
본 론
<COMPANY>
1. 한진 택배 소개
2. 한진택배의 e-business
<CUSTOMER>
1. 택배회사 빅4의 제휴현황
2. 한진택배의 고객서비스
<COMPETITOR>
1. 대한 통운(www.korex.co.kr) ; 93년 4월에 택배시장 진입
2. 현대 택배(www.hyundaiexpress.com) ; 93년 10월에 택배시장 진입
3. CJ GLS (www.cjgls.com) ; 98년 3월에 택배시장 진입
4. 국내 신규업체
5. 국외 업체
결 론
<한진택배의 과제>
1. 경쟁타사와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2. 해외 시장 진출의 성공 여부
본 론
<COMPANY>
1. 한진 택배 소개
2. 한진택배의 e-business
<CUSTOMER>
1. 택배회사 빅4의 제휴현황
2. 한진택배의 고객서비스
<COMPETITOR>
1. 대한 통운(www.korex.co.kr) ; 93년 4월에 택배시장 진입
2. 현대 택배(www.hyundaiexpress.com) ; 93년 10월에 택배시장 진입
3. CJ GLS (www.cjgls.com) ; 98년 3월에 택배시장 진입
4. 국내 신규업체
5. 국외 업체
결 론
<한진택배의 과제>
1. 경쟁타사와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2. 해외 시장 진출의 성공 여부
본문내용
송의뢰, 가장 가까운 배달품 전달 장소 확인, 포장라벨 인쇄, 송장 수정, 배달상황 확인 등을 처리할 수 있다.
UPS도 전자상거래 관련하여 UPS 문서교환(Document Exchange)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과의 정보 교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인터넷 도구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웹 페이지 코드를 통해 이용자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종적조회 및 운송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고객의 주문 관리 및 통합적인 운송관리가 가능하도록 온라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배달기간과 비용의 다양화를 통해 고객들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DHL은 국제항공운송 전문업체로서 전 세계에 매우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140여 개국 이상에 DHL만의 별도의 고유 중개인을 상주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물류서비스 제공하고, 고객의 상황이나 국가별 특성에 따라 단순 배송업무가 아닌 차별화된 서비스로 고객서비스의 질을 높여 나가고 있다.
결 론
☆ 한진택배의 과제
1. 경쟁타사와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한국에 택배기업이 탄생한 지도 어느 덧 10여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다. 이에 따라 현재 택배시장의 경쟁도 매우 치열해진 상황이다. 게다가 대형 택배 회사들은 대부분 e-business를 이용해서 고객들에게 비슷한 내용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경쟁사와 차별화 할 수 있는 요인은 스피드와 가격경쟁 위주로 가고 있다. 하지만 가격경쟁은 결국 택배 업계 전체에 손실만 가져다 줄 뿐 장기적 안목으로 기업의 성장을 바라봤을 때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 결국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좋은 택배 품질로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만이 경쟁사와의 대결에서 살아남는 방법이 될 것이다. 경쟁사와 다르게 세심한 고객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고도화, 차별화된 제안능력 등이 필요하게 된다. 이런 방면에서 본다면, 세일즈 드라이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현재 한진택배에 대한 고객들의 서비스 불만 목소리는 주로 세일즈 드라이버의 역할이 어떻게 수행되느냐에 따라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일즈 드라이버가 단순하게 상품을 배송하여 고객에게 배달한다는 개념에서 최종고객인 고객(기업고객, 개인고객)에 대하여 혁신적제안자로 경영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택배사업은 고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업이기 때문에 고객사로부터의 클레임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처리, 문제점에 대해서는 초기에 개선하고 택배의 배달 업무에 대해서 전문적인 제안능력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택배업을 운송업의 개념으로 상품을 운반하여 매출액향상에 공헌한다는 개념에서 탈피하여 기업내부의 체계적인 운임단가를 책정하고 토탈코스트를 파악할 수 있는 관리능력의 향상도 한진택배에게 필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2. 해외 시장 진출의 성공 여부
택배업계는 국내시장의 안정적인 고성장세를 발판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한통운, 한진, 현대택배, CJ GLS 등 택배 빅4는 해외 주요 업체들과의 업무제휴를 통해 글로벌 인프라 구축 및 국제 택배시장에 빠른 속도로 대응하고 있다.
CJ GLS는 일본 택배업계 2위업체인 사가와규빈과 택배업무 제휴 조인식을 갖고 일일생활권으로 발전하고 있는 한일간 교류 활성화에 따른 택배 물량 증가에 대비하기로 합의했다. 또 양사는 직접적인 물류 채널뿐 아니라 양사간 택배기술 발전과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데 노력하기로 했다. 특히 CJ GLS가 사가와규빈과의 제휴를 통해 동북아 물류거점망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이후 국제택배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대한통운은 지난 67년 일본통운과 제휴를 바탕으로 최근 개설한 시카고지점을 비롯해 샌프란시스코, LA, 뉴저지, 동경, 베트남, 영국, 리비아 등 10개의 해외지사를 보유하고 있다. 대한통운은 또 중국시장 개척을 위해 지난 2000년 산둥성 웨이하이(威海)에 사무소를 열고, 중국 최대선사인 차이나쉬핑의 물량을 처리하고 있으며, 3자 물류시스템 '글롭스(Glops)'를 구축, 원자재 수입 및 통관에서 수출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통운은 베트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2번째 지사를 하노이에 개설했고 해외운송합작사인 코렉스사이공과 포장 전문업체인 코렉스팩시넥스를 설립했다.
현대택배도 지난해 11월 중국 물류기업인 '상하이아륜국제화운유한공사' 지분 4 5%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상하이에 현지법인을 설립 하고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현대택배는 상하이 수출 물량 운송과 통관 등 공격적인 영업을 전개함으로써 올해 2000만달러, 물량 기준으로 연간 2만TEU(20피트 컨테이너 1개)의 실적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2004년에는 선전 지역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연간 4만TEU의 실적을 올릴 계획이다.
한진택배는 지난해 10월 일본 유수의 택배 회사인 후쿠야마통운과 국제물류부문 업무제휴 조인식을 가졌다. 양사는 한일간 국제복합운송(항공포워딩/해상포워딩) 및 국제택배 등 국제물류 부문에서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했으며, 필요시 상호 각 분야의 인재를 파견하는 인력교류에도 합의했다. 특히 한진택배는 이번 업무제휴로 후쿠야마 통운의 400여개 영업망 및 물류거점을 통해 일본 전 지역에 대하여 보다 신속한 배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후쿠야마 통운은 한진의 국내 물류네트워크와 노하우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한진은 지난해 중국 청도에 영업소를 개설했으며, 미국 LA와 뉴욕에 지점을 설치, 운영 중에 있다.
택배업계의 이 같은 해외 글로벌 인프라 구축은 수출입 무역, 국제택배 등 글로벌 물류서비스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국내 택배업계들은 외국 물류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국내 물류업체들의 글로벌 인프라 구축은 새로운 트랜드로 떠오르고 있으며 당분간 각 업체들의 국경을 넘어선 해외시장 공략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이러한 경쟁 상황에서 한진택배가 성공할 지의 여부는 한진택배의 고속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UPS도 전자상거래 관련하여 UPS 문서교환(Document Exchange)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과의 정보 교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인터넷 도구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웹 페이지 코드를 통해 이용자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종적조회 및 운송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고객의 주문 관리 및 통합적인 운송관리가 가능하도록 온라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배달기간과 비용의 다양화를 통해 고객들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DHL은 국제항공운송 전문업체로서 전 세계에 매우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140여 개국 이상에 DHL만의 별도의 고유 중개인을 상주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물류서비스 제공하고, 고객의 상황이나 국가별 특성에 따라 단순 배송업무가 아닌 차별화된 서비스로 고객서비스의 질을 높여 나가고 있다.
결 론
☆ 한진택배의 과제
1. 경쟁타사와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한국에 택배기업이 탄생한 지도 어느 덧 10여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다. 이에 따라 현재 택배시장의 경쟁도 매우 치열해진 상황이다. 게다가 대형 택배 회사들은 대부분 e-business를 이용해서 고객들에게 비슷한 내용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경쟁사와 차별화 할 수 있는 요인은 스피드와 가격경쟁 위주로 가고 있다. 하지만 가격경쟁은 결국 택배 업계 전체에 손실만 가져다 줄 뿐 장기적 안목으로 기업의 성장을 바라봤을 때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 결국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좋은 택배 품질로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만이 경쟁사와의 대결에서 살아남는 방법이 될 것이다. 경쟁사와 다르게 세심한 고객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고도화, 차별화된 제안능력 등이 필요하게 된다. 이런 방면에서 본다면, 세일즈 드라이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현재 한진택배에 대한 고객들의 서비스 불만 목소리는 주로 세일즈 드라이버의 역할이 어떻게 수행되느냐에 따라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일즈 드라이버가 단순하게 상품을 배송하여 고객에게 배달한다는 개념에서 최종고객인 고객(기업고객, 개인고객)에 대하여 혁신적제안자로 경영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택배사업은 고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업이기 때문에 고객사로부터의 클레임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처리, 문제점에 대해서는 초기에 개선하고 택배의 배달 업무에 대해서 전문적인 제안능력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택배업을 운송업의 개념으로 상품을 운반하여 매출액향상에 공헌한다는 개념에서 탈피하여 기업내부의 체계적인 운임단가를 책정하고 토탈코스트를 파악할 수 있는 관리능력의 향상도 한진택배에게 필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2. 해외 시장 진출의 성공 여부
택배업계는 국내시장의 안정적인 고성장세를 발판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한통운, 한진, 현대택배, CJ GLS 등 택배 빅4는 해외 주요 업체들과의 업무제휴를 통해 글로벌 인프라 구축 및 국제 택배시장에 빠른 속도로 대응하고 있다.
CJ GLS는 일본 택배업계 2위업체인 사가와규빈과 택배업무 제휴 조인식을 갖고 일일생활권으로 발전하고 있는 한일간 교류 활성화에 따른 택배 물량 증가에 대비하기로 합의했다. 또 양사는 직접적인 물류 채널뿐 아니라 양사간 택배기술 발전과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데 노력하기로 했다. 특히 CJ GLS가 사가와규빈과의 제휴를 통해 동북아 물류거점망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이후 국제택배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대한통운은 지난 67년 일본통운과 제휴를 바탕으로 최근 개설한 시카고지점을 비롯해 샌프란시스코, LA, 뉴저지, 동경, 베트남, 영국, 리비아 등 10개의 해외지사를 보유하고 있다. 대한통운은 또 중국시장 개척을 위해 지난 2000년 산둥성 웨이하이(威海)에 사무소를 열고, 중국 최대선사인 차이나쉬핑의 물량을 처리하고 있으며, 3자 물류시스템 '글롭스(Glops)'를 구축, 원자재 수입 및 통관에서 수출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통운은 베트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2번째 지사를 하노이에 개설했고 해외운송합작사인 코렉스사이공과 포장 전문업체인 코렉스팩시넥스를 설립했다.
현대택배도 지난해 11월 중국 물류기업인 '상하이아륜국제화운유한공사' 지분 4 5%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상하이에 현지법인을 설립 하고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현대택배는 상하이 수출 물량 운송과 통관 등 공격적인 영업을 전개함으로써 올해 2000만달러, 물량 기준으로 연간 2만TEU(20피트 컨테이너 1개)의 실적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2004년에는 선전 지역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연간 4만TEU의 실적을 올릴 계획이다.
한진택배는 지난해 10월 일본 유수의 택배 회사인 후쿠야마통운과 국제물류부문 업무제휴 조인식을 가졌다. 양사는 한일간 국제복합운송(항공포워딩/해상포워딩) 및 국제택배 등 국제물류 부문에서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했으며, 필요시 상호 각 분야의 인재를 파견하는 인력교류에도 합의했다. 특히 한진택배는 이번 업무제휴로 후쿠야마 통운의 400여개 영업망 및 물류거점을 통해 일본 전 지역에 대하여 보다 신속한 배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후쿠야마 통운은 한진의 국내 물류네트워크와 노하우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한진은 지난해 중국 청도에 영업소를 개설했으며, 미국 LA와 뉴욕에 지점을 설치, 운영 중에 있다.
택배업계의 이 같은 해외 글로벌 인프라 구축은 수출입 무역, 국제택배 등 글로벌 물류서비스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국내 택배업계들은 외국 물류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국내 물류업체들의 글로벌 인프라 구축은 새로운 트랜드로 떠오르고 있으며 당분간 각 업체들의 국경을 넘어선 해외시장 공략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이러한 경쟁 상황에서 한진택배가 성공할 지의 여부는 한진택배의 고속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