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朴氏傳 ’ 硏究史
1. 연구사 검토 방향
2. 기존 연구 검토
3. 이본 및 근원 설화
4. 전란과 문학의식
5. <임경업전>과의 관련
朴氏傳
1.序言
2.연구사
3.내용분석
3-1 .박씨의 추모와 도술
3-2 박씨의 탈갑과 병자호란
4.결언
참고
중 3교과서에 실린 박씨전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실린 박씨전
1. 연구사 검토 방향
2. 기존 연구 검토
3. 이본 및 근원 설화
4. 전란과 문학의식
5. <임경업전>과의 관련
朴氏傳
1.序言
2.연구사
3.내용분석
3-1 .박씨의 추모와 도술
3-2 박씨의 탈갑과 병자호란
4.결언
참고
중 3교과서에 실린 박씨전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실린 박씨전
본문내용
청에 대한 분풀이를 하려고 했다.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허구적 이야기를 만들어 상상의 세계에서만이 라도 민족의자주성을 지키려했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실린 박씨전
소설의 수용과 창작
들어가기 전에 : 인왕산의 사진과 정선의 인왕제색도를 비교감상하며 현실세계와 허구세계가 어떻게 다른지 유추하여 생각해보자.
학습목표: ● 서사문학으로서 소설장르의 특성을 안다.
● 소설속의 허구와 현실과의 관계를 안다.
● 현실을 허구화하여 소설을 지을 수 있다.
학습활동
1.이 작품에 나타난 비현실적인 요소와 현실적인 요소를 찾아보자
비현실적 요소
주인공 박씨부인이 도술로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것.
현실적 요소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다는 것 이시백이 실제인물이라는 것.
2.이 작품에서 박씨부인의 활약상을 정리해보자.
박씨부인이 탁월한 능력과 도술로 용골대를 잡고 울대를 농락한다.
3.여성인 박씨부인이 영웅으로 활약하는 모습은 당시의 사회상에 비추어 볼 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해보자.
박씨전은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의 여성들에게 정신적인 위안을 주었다 역사상의 실제사건인 병자호란과 실제 인물 이시백을 등장시켜 현실감을 주고 유능하나 여성 박씨의 변신과 도술을 통해 무능한 위정자들과 나성들은 은근히 비판하여 여성독자들을 흐뭇하게 한 점은 여성의 지위향상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뿐만 아니라 박씨전은 독자들로 하여금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상 유례없는 치욕적인 패배를 극복하고 비록 허구적 세게이나마 정신적 승리의식을 맛보게 함으로 민족의 긍지를 느끼게끔 하는 소산이다.
4.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사건이 박씨전 이라는 소설로 만들어지면서 나타난 허구적 사실들을 통해 작가가 의도한 바가 무엇인지 추리해보자.
병자호란이 등장하고 실존인물인 이시백과 임경업이 나오고, 임금이 항복하고 왕자가 인질로 끌려가는 모습이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 또 박씨부인이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지만 적군을 완전히 물리쳐 조선의 승리를 이끌어냈다는 식으로 몰고 가지는 않는다.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박씨부인의 도술로 적군을 제압하고 임경업이 분풀이를 하는 대목은 완전히 허구이다. 이 작품에서 주로 등장하는 도술은 끊임없이 이어진다. 이처럼 역사적 사건에 허구적 사실을 삽입시킨 것은 이 작품을 읽는 독자들이 실제생활에서 겪어야 하는 억압이나 패배감, 굴종 등으로 부토 해방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구성한 의도인 것이다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허구적 이야기를 만들어 상상의 세계에서만이 라도 민족의자주성을 지키려했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실린 박씨전
소설의 수용과 창작
들어가기 전에 : 인왕산의 사진과 정선의 인왕제색도를 비교감상하며 현실세계와 허구세계가 어떻게 다른지 유추하여 생각해보자.
학습목표: ● 서사문학으로서 소설장르의 특성을 안다.
● 소설속의 허구와 현실과의 관계를 안다.
● 현실을 허구화하여 소설을 지을 수 있다.
학습활동
1.이 작품에 나타난 비현실적인 요소와 현실적인 요소를 찾아보자
비현실적 요소
주인공 박씨부인이 도술로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것.
현실적 요소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다는 것 이시백이 실제인물이라는 것.
2.이 작품에서 박씨부인의 활약상을 정리해보자.
박씨부인이 탁월한 능력과 도술로 용골대를 잡고 울대를 농락한다.
3.여성인 박씨부인이 영웅으로 활약하는 모습은 당시의 사회상에 비추어 볼 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해보자.
박씨전은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의 여성들에게 정신적인 위안을 주었다 역사상의 실제사건인 병자호란과 실제 인물 이시백을 등장시켜 현실감을 주고 유능하나 여성 박씨의 변신과 도술을 통해 무능한 위정자들과 나성들은 은근히 비판하여 여성독자들을 흐뭇하게 한 점은 여성의 지위향상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뿐만 아니라 박씨전은 독자들로 하여금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상 유례없는 치욕적인 패배를 극복하고 비록 허구적 세게이나마 정신적 승리의식을 맛보게 함으로 민족의 긍지를 느끼게끔 하는 소산이다.
4.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사건이 박씨전 이라는 소설로 만들어지면서 나타난 허구적 사실들을 통해 작가가 의도한 바가 무엇인지 추리해보자.
병자호란이 등장하고 실존인물인 이시백과 임경업이 나오고, 임금이 항복하고 왕자가 인질로 끌려가는 모습이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 또 박씨부인이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지만 적군을 완전히 물리쳐 조선의 승리를 이끌어냈다는 식으로 몰고 가지는 않는다.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박씨부인의 도술로 적군을 제압하고 임경업이 분풀이를 하는 대목은 완전히 허구이다. 이 작품에서 주로 등장하는 도술은 끊임없이 이어진다. 이처럼 역사적 사건에 허구적 사실을 삽입시킨 것은 이 작품을 읽는 독자들이 실제생활에서 겪어야 하는 억압이나 패배감, 굴종 등으로 부토 해방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구성한 의도인 것이다
추천자료
고전소설'흥부전'과 박재삼의 시'흥부 부부상'의 비교
[고전소설]'홍계월전'을 읽고
2008년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이태준, 홍석중의 황진이비교-춘향전과의관계)
고전소설론 - 흥부전 리포트
고전소설 유형 분류 관련 토론지
고전소설사
고전소설- 최치원
2012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의 이해] 판소리<춘향가>와 오페라<피가로의 결혼>의 비교 분석 및 특징과 유사성
고전소설과 풍자 (양반전, 호질, 국순전, 금수회의록)
[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한국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교술 몽유록 서사 몽유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