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치는 이 시점에 그 부분들에 대한 이해가 좀더 진전됐다면 더 후한 점수를 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세종문화회관 광장의 공간에 대해서 내가 설계자였다면... 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보았다.
일단 조명이 아쉽다. 최근들어 건축물에 대한 조명의 영향은 비중이 커지고 있고, 서울의 야경이 멋지다는 말을 들을만큼 많은 발전을 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곳을 포함하여 자연적인 것들에 대한 조명의 역할도 어느정도는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식물이라는 것에 비추는 조명이라는 관점에서 유해한 것이라면 그 빛의 강도와 많은 방법들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쉼터의 역할이 분명하게 강한만큼 분수는 가동되어야 한다. 이곳 광장에서의 분수의 역할은 앞에서도 많이 강조했었다. 정확하게 중심에 위치한 분수대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는 것하고 잠잠한 것과는 큰 차이가 있을 듯 보였다. 분수대의 미가동으로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못했지만, 정적인 느낌이 강하게 드는 이 공간에 분수를 작동시킴으로써 동적인 느낌도 함께 주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마지막으로 광장과 접하는 세종문화회관의 벽면의 디자인이 아쉽다. 질감(텍스춰)의 관점에서는 재미있고 나름대로의 리듬을 느낄수도 있었지만, 가령 색채, 디자인적인 요소를 통하여 자연적인 느낌의 광장과 더욱 조화로울 수는 없었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증가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건축물의 외부모습이나 그 높이에 많은 관심이 편중되어 있는 이때, 건축을 할 사람으로써 그 외부공간의 중요성과, 건축의 설계에 못지않은 그 공간의 디자인에 있어서 많은 중요성과 함께 이 분야를 발전시킬 큰 의무를 진것같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아직은 미개척지와 같다 감히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발전시켜야 할 의무는 분명한 것이다.
세종문화회관 광장에 대한 분석을 마치며, 정말로 많은 공부가 되었고 이러한 공간에 대한 더 많은 발전과 함께 앞으로의 내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한학기동안 좋은 수업내용으로 이끌어주신 조대희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이 과제를 마지막으로 이번 학기의 건축학개론 수업이 마무리 되는것에 대해 뿌듯함과 함께 아쉬움도 함께 가지게 된다.
정말로 소중한 시간이었으며, 1학년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4학년인 내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 수업이었다. 더욱더 발전하는 내가 되기위해 오늘도 노력하며....
세종문화회관 광장의 공간에 대해서 내가 설계자였다면... 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보았다.
일단 조명이 아쉽다. 최근들어 건축물에 대한 조명의 영향은 비중이 커지고 있고, 서울의 야경이 멋지다는 말을 들을만큼 많은 발전을 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곳을 포함하여 자연적인 것들에 대한 조명의 역할도 어느정도는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식물이라는 것에 비추는 조명이라는 관점에서 유해한 것이라면 그 빛의 강도와 많은 방법들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쉼터의 역할이 분명하게 강한만큼 분수는 가동되어야 한다. 이곳 광장에서의 분수의 역할은 앞에서도 많이 강조했었다. 정확하게 중심에 위치한 분수대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는 것하고 잠잠한 것과는 큰 차이가 있을 듯 보였다. 분수대의 미가동으로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못했지만, 정적인 느낌이 강하게 드는 이 공간에 분수를 작동시킴으로써 동적인 느낌도 함께 주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마지막으로 광장과 접하는 세종문화회관의 벽면의 디자인이 아쉽다. 질감(텍스춰)의 관점에서는 재미있고 나름대로의 리듬을 느낄수도 있었지만, 가령 색채, 디자인적인 요소를 통하여 자연적인 느낌의 광장과 더욱 조화로울 수는 없었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증가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건축물의 외부모습이나 그 높이에 많은 관심이 편중되어 있는 이때, 건축을 할 사람으로써 그 외부공간의 중요성과, 건축의 설계에 못지않은 그 공간의 디자인에 있어서 많은 중요성과 함께 이 분야를 발전시킬 큰 의무를 진것같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아직은 미개척지와 같다 감히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발전시켜야 할 의무는 분명한 것이다.
세종문화회관 광장에 대한 분석을 마치며, 정말로 많은 공부가 되었고 이러한 공간에 대한 더 많은 발전과 함께 앞으로의 내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한학기동안 좋은 수업내용으로 이끌어주신 조대희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이 과제를 마지막으로 이번 학기의 건축학개론 수업이 마무리 되는것에 대해 뿌듯함과 함께 아쉬움도 함께 가지게 된다.
정말로 소중한 시간이었으며, 1학년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4학년인 내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 수업이었다. 더욱더 발전하는 내가 되기위해 오늘도 노력하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