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의 권리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의 개념
아동학대 관련법
아동학대의 유형
아동학대의 행동적 징후
아동학대의 후유증
아동학대의 원인
아동학대 예방의 중요성
아동학대의 사례
아동학대의 예방
아동학대 보도자료
아동학대 예방센터 전국 시설현황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의 개념
아동학대 관련법
아동학대의 유형
아동학대의 행동적 징후
아동학대의 후유증
아동학대의 원인
아동학대 예방의 중요성
아동학대의 사례
아동학대의 예방
아동학대 보도자료
아동학대 예방센터 전국 시설현황
본문내용
말라\'고 가르친다.
접촉을 구별하도록 한다.
괜찮은, 적절한\' 접촉과 \'안 되는, 부당한\' 접촉을 구별하여 부당한 접촉은 거부하도록 가 르친다.그러나 문제는 근친강간의 경우 평소에 친분이 두터운 \'좋은, 괜찮은 사람\'으로부 터의\'접촉\'으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을 구별하도록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다.
피하는 행동전략을 습득 시킨다.
\'싫어요\'라고 말한다 → 피한다 → \'다른 어른에게 이야기한다\'를 가르친다.
자기 주장 훈련을 시킨다.
스스로 행동 전략이나 판단을 주장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아동학대 보도자료
대구시 북구 ㅈ어린이집 원장이 젖먹이 여아 학대 혐의로 7일 경찰에 구속(본지 7일자 4면 보도)되면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있는 부모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지난 4월 대구 서구의 한 어린이집이 아동학대논란으로 자진폐쇄한 데 이어 터져나와 보육시설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대구시와 대구시보육시설연합회에 따르면 현재 대구시내에서 개인이 운영하는 보육시설은 어린이집 684곳, 놀이방 354곳 등 1천38곳이며, 국·공립 시설을 포함하면 1천231곳(4만6천527명)에 이르고 있다.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지난 연말보다 9%가량 불어났다.
정부는 올부터 신고제에서 인가제로 어린이집 등록요건을 강화하고 구청이 단속에 나서고 있으나 부모들은 아동학대 사건이 연이어 터지자 불안해하고 있다.
대구시 보육시설연합회 최정선 회장은 \"단속 공무원 1명당 100~200여 곳을 담당하다 보니 서류 중심의 지도, 감독에 그쳐 결국 보육시설의 양심적인 운영을 기대할 뿐\"이라고 했다.
이번 북구 어린이집 사건도 지난달 중순 해당 어린이집 교사가 대구시 아동학대예방센터에 신고를 하면서 외부로 알려졌다.
지난 4월 서구 어린이집 초등학생 자매 학대도 행인의 신고로 드러났다.
대구시 아동학대예방센터 김동환 팀장은 \"이번 사건 피해 아동의 부모도 의사 소견을 듣고서야 학대사실을 알게 됐다\"며 \"보육시설 종사자의 학대신고 의무를 필수화하고 단속 공무원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동학대 사건이 잇따르면서 보육원 내에 CCTV를 설치하거나 휴대전화 문자서비스를 보내 아동의 생활상을 알려주는 어린이집이 늘고 있다.
북구 칠성동 ㄷ어린이집의 경우 3년 전부터 CCTV를 아이들 방에 설치, 실시간으로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있다.
이곳 원장은 \"아이들이 급식을 제대로 받는지, 친구들과 사이좋게 노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부모들에게 인기가 높다\"고 말했다.
이 밖에 아이들이 당일 어린이집에서 한 일이나 보육교사의 의견을 적은 통지서를 정기적으로 보내거나 안전한 등·퇴원을 문자메시지로 알리는 곳도 많아졌다.
- 기 사 -
아동학대 50%는 한부모 가정서 발생
지난해 감금과 폭행 등을 포함한 아동학대 2건 가운데 1건 정도가 아버지나 어머니 한쪽만 있는 한부모 가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학대 피해자의 절반 정도는 초등학생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대에 가장 많이 노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38개 아동학대예방센터 긴급신고 전화 ‘1391’을 통해 접수된 아동학대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각 센터 아동학대 긴급신고 전화를 통해 접수된 총 6998건 가운데 아동학대가 이뤄진 것으로 보이는 의심사례가 69.7%인 4880건으로 집계됐다.
현장확인 결과 이 가운데 3891건(79.7%)이 아동학대로 밝혀졌으며, 나머지는 일반사례 555건(11.4%), 잠재위험사례 434건(8.9%)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아동학대 의심사례는 38%, 아동학대는 33.2%가 각각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아동학대로 11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도(7명)보다 4명이 늘어난 것이다. 또 전체 아동학대 가운데 아버지만 있는 부자가정이 33%, 모자가정이 12.9%로 아동학대의 절반 가까운 45.9%가 한부모 가정에서 발생했다.
학대받는 아동의 연령별 분포는 10∼12세(24.3%), 7∼9세(24.1%), 4∼6세(16.3%), 13∼15세(15.1%) 등의 순이었고, 학대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1세 미만 유아도 3.7%나 됐다.
문준식 기자
\" 우리 아이들이 가진 권리를 알아야만 아이들의 권리를 지켜줄수 있다\"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 소유물이 아닌 독립적인 인간이므로 아동도 성인과 동등한 권리를 갖고 있다\"
접촉을 구별하도록 한다.
괜찮은, 적절한\' 접촉과 \'안 되는, 부당한\' 접촉을 구별하여 부당한 접촉은 거부하도록 가 르친다.그러나 문제는 근친강간의 경우 평소에 친분이 두터운 \'좋은, 괜찮은 사람\'으로부 터의\'접촉\'으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을 구별하도록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다.
피하는 행동전략을 습득 시킨다.
\'싫어요\'라고 말한다 → 피한다 → \'다른 어른에게 이야기한다\'를 가르친다.
자기 주장 훈련을 시킨다.
스스로 행동 전략이나 판단을 주장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아동학대 보도자료
대구시 북구 ㅈ어린이집 원장이 젖먹이 여아 학대 혐의로 7일 경찰에 구속(본지 7일자 4면 보도)되면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있는 부모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지난 4월 대구 서구의 한 어린이집이 아동학대논란으로 자진폐쇄한 데 이어 터져나와 보육시설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대구시와 대구시보육시설연합회에 따르면 현재 대구시내에서 개인이 운영하는 보육시설은 어린이집 684곳, 놀이방 354곳 등 1천38곳이며, 국·공립 시설을 포함하면 1천231곳(4만6천527명)에 이르고 있다.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지난 연말보다 9%가량 불어났다.
정부는 올부터 신고제에서 인가제로 어린이집 등록요건을 강화하고 구청이 단속에 나서고 있으나 부모들은 아동학대 사건이 연이어 터지자 불안해하고 있다.
대구시 보육시설연합회 최정선 회장은 \"단속 공무원 1명당 100~200여 곳을 담당하다 보니 서류 중심의 지도, 감독에 그쳐 결국 보육시설의 양심적인 운영을 기대할 뿐\"이라고 했다.
이번 북구 어린이집 사건도 지난달 중순 해당 어린이집 교사가 대구시 아동학대예방센터에 신고를 하면서 외부로 알려졌다.
지난 4월 서구 어린이집 초등학생 자매 학대도 행인의 신고로 드러났다.
대구시 아동학대예방센터 김동환 팀장은 \"이번 사건 피해 아동의 부모도 의사 소견을 듣고서야 학대사실을 알게 됐다\"며 \"보육시설 종사자의 학대신고 의무를 필수화하고 단속 공무원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동학대 사건이 잇따르면서 보육원 내에 CCTV를 설치하거나 휴대전화 문자서비스를 보내 아동의 생활상을 알려주는 어린이집이 늘고 있다.
북구 칠성동 ㄷ어린이집의 경우 3년 전부터 CCTV를 아이들 방에 설치, 실시간으로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있다.
이곳 원장은 \"아이들이 급식을 제대로 받는지, 친구들과 사이좋게 노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부모들에게 인기가 높다\"고 말했다.
이 밖에 아이들이 당일 어린이집에서 한 일이나 보육교사의 의견을 적은 통지서를 정기적으로 보내거나 안전한 등·퇴원을 문자메시지로 알리는 곳도 많아졌다.
- 기 사 -
아동학대 50%는 한부모 가정서 발생
지난해 감금과 폭행 등을 포함한 아동학대 2건 가운데 1건 정도가 아버지나 어머니 한쪽만 있는 한부모 가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학대 피해자의 절반 정도는 초등학생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대에 가장 많이 노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38개 아동학대예방센터 긴급신고 전화 ‘1391’을 통해 접수된 아동학대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각 센터 아동학대 긴급신고 전화를 통해 접수된 총 6998건 가운데 아동학대가 이뤄진 것으로 보이는 의심사례가 69.7%인 4880건으로 집계됐다.
현장확인 결과 이 가운데 3891건(79.7%)이 아동학대로 밝혀졌으며, 나머지는 일반사례 555건(11.4%), 잠재위험사례 434건(8.9%)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아동학대 의심사례는 38%, 아동학대는 33.2%가 각각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아동학대로 11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도(7명)보다 4명이 늘어난 것이다. 또 전체 아동학대 가운데 아버지만 있는 부자가정이 33%, 모자가정이 12.9%로 아동학대의 절반 가까운 45.9%가 한부모 가정에서 발생했다.
학대받는 아동의 연령별 분포는 10∼12세(24.3%), 7∼9세(24.1%), 4∼6세(16.3%), 13∼15세(15.1%) 등의 순이었고, 학대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1세 미만 유아도 3.7%나 됐다.
문준식 기자
\" 우리 아이들이 가진 권리를 알아야만 아이들의 권리를 지켜줄수 있다\"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 소유물이 아닌 독립적인 인간이므로 아동도 성인과 동등한 권리를 갖고 있다\"
추천자료
아동학대 예방
아동학대 예방과 신고활성화를 위한 대책
[인간행동과사회환경A+] 아동학대 정의와 아동학대 가해자 부모 발달과정,주요사례 및 관련이...
자신의 주변에서 발생되었거나 영화, 드라마 속에 나타난 폭력사례(부부폭력, 아동학대, 노인...
아동권리 보장 및 아동학대 예방에 대한 이해
[아동복지론] 아동학대에 대한 법률적, 제도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보완책과 더불어 예방...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자신의 견해를 첨부 하여 서술.
어린이집에서의 아동학대 발생관련 보도자료 중 1가지를 선택하여 상황에 따른 아동학대 원인...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방안을 쓰시오.
아동, 보육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아동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정리하고 그 원인을 분석...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토론해보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