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자치센터 방문을 통한 주민자치센터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유래 및 연혁

Ⅱ. 주민자치센터 소개 및 목적

Ⅲ. 프로그램 소개

Ⅳ. Q & A Ⅴ. 소감문

본문내용

구로 이관하고 이관함에 따라 직원도 축소하고 남는 공간을 주민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자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인데, 영국이나 독일의 카운티개념에서 운영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놀이공간이 아니라 주민들이 스스로 동네를 운영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동사무소를 주민들이 찾아와야 하는데, 건물만 공간만 마련해 놓고 사람들이 찾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여가선용의 공간, 문화공간이란 편법을 이용하게 된 것입니다.
이런 것들을 주민자치위원이란 사람들, 주민의 대표성을 가진 사람들이 운영해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초창기라서 동사무소나 구청에서 우선 기반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화공간은 사실 서울 등 대도시 몇몇 자치센터에서는 잘 운영되고 있으나 농촌이나 지방은 운영이 미비합니다.이곳 사람은 아니지만 우리학교가 있는 익산에서도 영등1동을 방문하고 그래도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는것을 느꼈습니다. 삶의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운영이 유명무실하게 되는 것인데. 우리가 방문한 영등1동을 잘되었지만 그전에 방문햇던 마동 동사무소는 아닌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자치센터에 무료목욕탕, 보건지소, 도서관, 어린이집을 만들어 좀 더 주민과 가까이 가도록 하고있다들었습니다 .. 점차 주민의 자치의식이 많이 생성 되었을 때는 농촌의 마을 회관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운영상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실 현재까지는 운영비등을 시군구에서 지원하고 있는데 이것은 궁극적으로 주민 스스로가 만들어 내야 하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2.1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