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교류 주요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자아상태 모형(PAC 모형)

2. 교류

3. 스트로크(stroke)

4. 인생태도

5. 시간의 구조화(time structuring)

6. 인생각본(Life-script)

7. 에누리, 재정의, 공생

8. 라켓, 스탬프, 게임

9. 드라이버(Drivers) 이론

본문내용

한 채 게임을 한다.
9. 드라이버(Drivers) 이론
부모의 P로부터 아동의 P에게 ‘하라’ 혹은 ‘되어라’ 등의 강력한 명령을 전달하는데 이 명령대로 행하면 인정(stroke)을 받게 된다. 이러한 부모의 명령을 우리의 어버이 자아상태에 고정시켜서 이로부터 영향을 받게 될 때 이러한 부모의 명령이 내면화(P)되어 ‘드라이버(Drivers)'라고 불리는 강력한 명령으로 우리의 성격에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것은 아버지/어머니의 P로부터 아동의 P에게 똑같은 명령으로 번복되어 전달되면 그에 따르는 보상 곧 스트로크를 얻기 위해 그대로 따르게 된다. 그런데 어른이 되어서도, 그 명령대로 행하게 되어 어른의 현실과 맞지 않는 사고, 감정, 행동의 표출로 고통을 겪게 된다.
드라이버의 종류는 다섯 가지로, 1) 완전하게 하라(Be Perfect), 2) 기쁘게 해줘라(타인을)(Please Others), 3) 열심히 노력하라(Try Hard), 4) 튼튼하게 되라, 강하라(Be Strong), 5) 서둘러라(Hurry up) 등이 있다. 이 중 “기쁘게 해줘라!”와 “강하라!”라는 두 개의 드라이버는 비 장애인 형제가 흔히 습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것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해보자.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라(Please Others)"라는 드라이버는 이 명령에 따르기만 하면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게 된다는 신념을 갖고 행동하게 된다. 자아상태를 보면 NP와 AC가 높은 사람으로 겉으로는 사회적 높은 가치에 입각하여 고상한 행동을 하는 것 같지만 내면적 심리 역동은 이 드라이버를 통해 자신의 이득(Stroke)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 드라이버를 가진 성격의 장점은 기분 좋게 해주는 사람, 타인의 욕구에 잘 응해주는 사람, 너그러운 성격 등을 들 수 있다. 단점으로는 수동공격성, 타인의 개성을 고려하지 않음, 자기주장, 사회적 일탈성 등을 나타내며, 자신의 솔직한 감정과 욕구를 나타낼 필요가 있다.
“강하라”의 드라이버를 소유한 사람은 자기 스스로 모든 것을 만족하고, 타인의 욕구에 사려가 깊으며, 의존할 만하고, 강인성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외롭고, 냉랭한 성격이며, 타인에게 절대로 약점을 보이지 않으려고 한다. 이런 드라이버를 지닌 사람은 타인으로부터 사랑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또, 타인으로부터 거부를 당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음도 인정하고 모험을 걸 수 있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2.1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