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Fe-FeC 상태도를 나타내고 각각의 변태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2. pearlite, bainite, martensite의 생성에 대해 TTT diagram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3. pearlite의 핵성장 과정을 설명하시오.
4. martensite 상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Ms 점을 변화시키는 요인과 martensite 상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marquenching과 ausforming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pearlite, bainite, martensite의 생성에 대해 TTT diagram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3. pearlite의 핵성장 과정을 설명하시오.
4. martensite 상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Ms 점을 변화시키는 요인과 martensite 상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marquenching과 ausforming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ty를 가지지 않는다. Lath martensite에서는 macroscopic shear가 slip에 의해 수행되며, lenticular martensite에서는 macroscopic shear가 twinn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두 martensite 형태에 대한 defect concentration이 다르므로, 그들 안에 있는 탄소 원자의 배열이 달라지게 된다. 즉, lath martensite에서는 아무리 quenching이 빨라도 확산이 일어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존재하며, 탄소 원자들이 확산하여 dislocation들 주위에 segregate된다. 한편, twinned martensite에서는 dislocation density가 낮기 때문에 탄소원자들은 정규 interstitial sites를 차지하게 된다
5. marquenching과 ausforming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marquenching martensite와 관련된 일반적인 열처리는 quenching 과 tempering이다. quenching 과정 중 불균질한 냉각에 의해 뒤틀림이 올 수도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j방법이 martempering이다. martempering은 Ms 바로 위의 온도까지 급냉하고 변태구간은 서냉하여 martensite는 생성시키며 뒤틀림이 안 생기도록 한 후 tempering 처리하여 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ⅰ) Ms점 직상으로 가열된 염욕에 소입한다(thermoquenching).
ⅱ) 소입한 재료의 내외부가 같은 온도가 될 때까지 항온유지 한다 (equallization).
ⅲ) 시편각부의 온도차가 생기지 않도록 비교적 서냉하여 Ar" 변태를 진행시킨다.
이와같이 하면 재료내외가 동시에 서서히 마르텐사이트화하기 때문에 균열이나 비틀림(distorsion)이 생기지 않는다. 얻어지는 조직은 마르텐사이트이므로 목적에 따라 소려하여 경도를 적당히 조절한다. 이 방법을 개량한 방법에 modified martempering이 있다. 이 방법은 Ms점 이하의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마르텐사이트의 self tempering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잔류응력을 피할 수 있고 경도를 유지하면서 충격치를 높일 수 있다.
ausforming
ausfomring : Ms 바로 위의 온도까지 급냉하고 이 온도에서 오랜 시간 유지하여 bainite를 생성시키고 이후 냉각하여 bainite를 얻는 것이다. bainite는 martensite 보다 안정하여 실온까지 냉각시켜도 martensite는 생성되지 않으며 bainite의 변태온도 조절로 성질을 조절한다.철강에 강도와 인성을 주고 또 비틀림이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Ar'와 Ar"점 사이의 온도로 유지한 열욕에 소입하고 과냉각 austenite의 변태가 끝날 때까지 항온에 유 지하는 방법이며, 이때에 Ar'점에 가까운 온도에서 하면 연한 상부베이나이트, Ar"점부근의 온도에서 하면 경한 하부베이나이트를 얻는다. tempering은 할 필요가 없다.
5. marquenching과 ausforming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marquenching martensite와 관련된 일반적인 열처리는 quenching 과 tempering이다. quenching 과정 중 불균질한 냉각에 의해 뒤틀림이 올 수도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j방법이 martempering이다. martempering은 Ms 바로 위의 온도까지 급냉하고 변태구간은 서냉하여 martensite는 생성시키며 뒤틀림이 안 생기도록 한 후 tempering 처리하여 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ⅰ) Ms점 직상으로 가열된 염욕에 소입한다(thermoquenching).
ⅱ) 소입한 재료의 내외부가 같은 온도가 될 때까지 항온유지 한다 (equallization).
ⅲ) 시편각부의 온도차가 생기지 않도록 비교적 서냉하여 Ar" 변태를 진행시킨다.
이와같이 하면 재료내외가 동시에 서서히 마르텐사이트화하기 때문에 균열이나 비틀림(distorsion)이 생기지 않는다. 얻어지는 조직은 마르텐사이트이므로 목적에 따라 소려하여 경도를 적당히 조절한다. 이 방법을 개량한 방법에 modified martempering이 있다. 이 방법은 Ms점 이하의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마르텐사이트의 self tempering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잔류응력을 피할 수 있고 경도를 유지하면서 충격치를 높일 수 있다.
ausforming
ausfomring : Ms 바로 위의 온도까지 급냉하고 이 온도에서 오랜 시간 유지하여 bainite를 생성시키고 이후 냉각하여 bainite를 얻는 것이다. bainite는 martensite 보다 안정하여 실온까지 냉각시켜도 martensite는 생성되지 않으며 bainite의 변태온도 조절로 성질을 조절한다.철강에 강도와 인성을 주고 또 비틀림이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Ar'와 Ar"점 사이의 온도로 유지한 열욕에 소입하고 과냉각 austenite의 변태가 끝날 때까지 항온에 유 지하는 방법이며, 이때에 Ar'점에 가까운 온도에서 하면 연한 상부베이나이트, Ar"점부근의 온도에서 하면 경한 하부베이나이트를 얻는다. tempering은 할 필요가 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