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결론 및 고찰
2. 실험 이론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있었다. 이는 열전대의 고장이나 분율을 맞추는 곳에서 약간의 오류가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실험과정이 상온의 대기중에 이루어진 것으로 수많은 공기중의 불순물이 침투하였을 수 있으며 고온에서 산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본다. 그리고 납과 주석이 100%순수한 재료가 아닐수 도 있다고 본다. 100%순수한 재료로 진공중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면 이론에 가까운 상태도를 그릴 수 있었으리라 본다. 불연속점을 찾는것 또한 주관적으로 찾은 것이기 때문에 이론과 일치하는 상태도를 완성하기에는 무리수가 있었으리라 본다. 또한 10개의 데이터로써는 명확한 상태도를 그리는데에 무리가 있었으리라 본다. 그리고 재료를 로에서 용융시키는 과정에서 Sn100%의 경우 약간의 부주의로 인하여 쏟아진 Sn의 양으로 인하여 뜻밖의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완성시킨 상태도를 보면 이론적인 상태도와 거의 비슷한 형태를 가졌다.
위 실험을 통하여 이론적으로만 익히던 재료의 상태도를 직접 그려봄으로써 재료에 대해 더 가까워졌다고 생각이 되며 앞으로 비슷한 실험을 함에 있어 이 실험에서 발생한 오류를 참고하여 더욱 정확한 실험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 참고 문헌 ※
저 자
제 목
출 판 사
출 판 년 도
page
Willan D. Callister
재료과학
WILEY 교보문고
2001. 9. 10
296~300
김문일
금속 조직학
2000. 2. 10
144~145,
159~162
http://web.edunet4u.net/Users/metallic/learn/leelon/mat/ma102.htm
위 실험을 통하여 이론적으로만 익히던 재료의 상태도를 직접 그려봄으로써 재료에 대해 더 가까워졌다고 생각이 되며 앞으로 비슷한 실험을 함에 있어 이 실험에서 발생한 오류를 참고하여 더욱 정확한 실험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 참고 문헌 ※
저 자
제 목
출 판 사
출 판 년 도
page
Willan D. Callister
재료과학
WILEY 교보문고
2001. 9. 10
296~300
김문일
금속 조직학
2000. 2. 10
144~145,
159~162
http://web.edunet4u.net/Users/metallic/learn/leelon/mat/ma102.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