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a today 성공에 대한 분석과 기사의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usa today 성공에 대한 분석과 기사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
◎ 본 론
Ⅰ. 《USA 투데이》의 성공에 대한 분석
Ⅱ. 《USA 투데이》의 영향력
Ⅲ. 《USA 투데이》의 변화와 그 이유
Ⅳ. 《USA 투데이》의 판매변화와 기사내용
◎ 결 론
▣ 참고 ▣

본문내용

실적이었다. 광고 대행사 관계자는 "광고주가 미디어를 살 때는 독자들에게 도달하는 수단을 사는 것"이라고 전제"일정한 고정 독자를 확보하고 있는 신문이라야 광고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USA 투데이》의 경우 주 독자층이 여행객이기 때문에 호텔과 항공사 광고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나머지 광고는 부진했다. 이 신문 관계자는 "우리의 수백만 독자는 늘 같은 독자가 아니다. 이 때문에 광고주들은 어떤 독자들이 신문에 실린 광고를 언제 보는지 알 수 없고 독자들이 어느 지역에 사는 지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광고주가 값비싼 광고를 내기를 꺼리는 것은 당연했다. 바로 이점이 '풍요속의 빈곤'을 가져온 원인이었다. 또 전국지의 성격상 자동차와 술 광고 같은 것은 실을 수 있지만 미국 신문의 주요 수입원인 지역광고, 특히 백화점이나 소매상의 세일광고를 다루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신문이 안고 있는 또 다른 약점이었다.
Ⅳ. 《USA 투데이》의 판매변화와 기사내용
1991년 한 해 동안 《USA 투데이》의 판매변화는 기사의 내용이 신문판매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잘 나타낸다. 그해 걸프전쟁이 발발하자 이 신문이 발행한 호외는 평소보다 130만부가 더 팔렸다. 또 농구 스타 매직 존슨이 에이즈에 걸렸다는 발표 기사가 실린 날에는 57만 5천부가 더 판매됐다. 러시아의 쿠데타 기도가 좌절됐을 때는 47만 5천부를 더 찍었다. 이런 판매결과를 토대로 개니트 측은 딱딱한 뉴스(hard news)를 다룰 때 수입이 오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하드뉴스가 팔린다는 《USA 투데이》의 경험은 한국의 《동아일보》가 직선제개헌 요구가 한창이던 1997년 '6월 항쟁'당시 가판이 40만부를 넘었던 사실과 통하는 점이 있다.
결 론
눈부신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USA 투데이》는 창간 이래 2억 5천만 달러의 적자를 낸 뒤 1993년 비로소 손익분기점에 도달했다 경영진으로부터 '흑자압력'이 계속 들어왔다. 이 때문에 전 세계에 수많은 추종자들을 갖고 있는 패션신문의 선두주자 《USA 투데이》는 남모를 고 민속에 자기변신을 도모하고 있었다. 변신의 핵심은 심층보도와 로컬뉴스 강화 등을 통한 고정 독자 확보였다. 이 신문 종사자들은 미래를 낙관하고 있었다. 미국 언론들은 이 변신의 성공 여부를 지켜보고 있었다.
▣ 참고 ▣
홍호표(2000) 『정보사회의 미디어산업』- 미국 미디어시장의 역동성 - (주)나남 출판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2.17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