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플라톤
2 아리스토텔레스
3.디오게네스
4.소크라테스
5.에피쿠로스
2 아리스토텔레스
3.디오게네스
4.소크라테스
5.에피쿠로스
본문내용
위 '정신적인 미'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동시에 그 가치를 전락시켰다. 또한 에피쿠로스는 미의 가치를 쾌락에 연관시켜 파악하였던 것이다. 그의 감각주의는 미를 인간의 감각 기관에 유쾌하게 나타나는 어떤 것으로 파악했으며 이러한 그의 미학 이론은 고대의 미학 곧 아리스토텔레스나 플라톤의 미학 이론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미를 쾌락과 관련시켜 파악한 에피쿠로스의 이론은 첫째 쾌락과 일치시킨다. 쾌락이 없는 곳에는 미가 없으며 쾌락이 있는 정도에 따라 아름다움도 있게 된다. 따라서 미와 쾌락의 구별은 언어상의 문제에 불과할 뿐이다. "당신이 미에 관해서 말하는 것은 동시에 쾌락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아름다운 것이 동시에 유쾌한 것이 아니라면 당신은 아름답다고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음으로 에피쿠로스의 쾌락적 미학 이론에서 미는 쾌락과 연관을 갖지만 일치되지는 않는다는 생각이 그것이다. 미는 쾌락을 제공해 줄 때만 가치가 있으며 그러므로 인간은 그러한 경우에만 미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된다는 것이다.
이제까지 5명의 철학과 미학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에서 보듯이 자신의 철학사상이 미학에도 거의 녹아 들어가 있는 것 같다.
이제까지 5명의 철학과 미학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에서 보듯이 자신의 철학사상이 미학에도 거의 녹아 들어가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