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심장의 구조와 기능
◎ 심근경색증
◎ 심근경색증의 약물요법( 간호, 작용, 부작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 심장의 구조와 기능
◎ 심근경색증
◎ 심근경색증의 약물요법( 간호, 작용, 부작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탈) 환자
-중증의 저혈압(수축기압 90mmHg 미만) 환자
-폐쇄우각형 녹내장 환자
-질산염제제에 과민증 또는 그 기왕력자
-원발성 폐고혈압 환자
-우심경색 환자
-탈수, 중증의 빈혈 환자
-신경순환 무력증 환자
-두부외상 또는 뇌출혈 환자
-교착성 심낭염, 심장압전 환자
-비후성 폐쇄성 심근병증 환자
-중증의 폐부종 환자.
부작용
-순환기계 : 쇽, 혈압강하, 어지러움, 심계항진, 열감, 홍조, 사지부종, 심박 출량 저하, 서맥, 심실성 빈맥, 심방세동, 심실세동 등
-정신신경계 : 두통, 무력감, 불쾌감, 전신권태감, 흥분 등
-소화기계 : 구역질, 구토, 위부불쾌감, 식욕부진 등
-간 : AL-P, AST 상승 등
-혈액 : 동맥혈 산소분압 저하
-과민증 : 발진
간호
-투여 중에는 수시로 혈압측정과 혈행동태를 모니터함.
환자의 혈행동태, 증상에 따라 천천히 투여량을 조절.
-투여 중에 혈압강하 등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감량 또는 투여를 중지하 며 필요에 따라 혈압상승제 투여 등 적절히 처치.
-혈압강하 가능성이 있는 환자나 심박출량이 저하된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에 는 카테콜아민계 약물 등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투여 중 좌심부전 상태가 개선된 경우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투여를 중지
☆. 이 약을 심근경색증에 왜 투여할까?
- 심근경색증은 대부분 관상동맥경화의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죽종이나 섬유화, 혈전으 로 인해 관상혈관이 좁아지게 되고 막히게 되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지 못함.
∴ 관상혈관의 확장을 향상시켜 심장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해주기 위해 투여함.
11. 혈관이완작용
Nitroglycerin
작용
-혈관평활근 이완작용. 동맥 및 정맥 혈관의 확장
-주 혈관 및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의 Peripheral Pooling을 촉진하며, 좌 심실의 이완기압을 감소시켜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정맥혈류량을 감소시킴
-동맥을 확장시켜 체혈관저항 및 동맥압을 감소시킴
-심근의 산소소모량 감소
적응증
-협심증
용법/용량
-SL
⇒ 급성협심증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니트로글리세린으로서 1회 0.3mg 또 는 0.6mg을 설하 또는 구강 내에 녹여 복용.
⇒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5분마다 반복 투여할 수 있음.
3회 복용한 후(15분간)에도 통증이 계속되면 의사에게 notify
⇒ 급성협심증 발작이 야기될 수 있는 작업을 하기 5-10분전에 예방목적 으로 미리 복용
주의사항
-두부외상 또는 뇌출혈 환자(두개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음)
-중증의 빈혈 환자
-급성 심근경색 환자
-녹내장 환자.
부작용
-순환기계 : 빈혈, 혈압강하, 열감, 홍조, 심계항진, 기립성 저혈압, 어지러움 -정신신경계 : 두통, 허약, 실신 등
-소화기계 : 구역, 구토 등
-기타 : 발한, 요실금, 변실금 등
간호
-순환기계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V/S을 규칙적으로 측정함.
-이 약물은 빠른 약효과를 보기 위해 설하로 넣는데 일반약과 같이 물을 마 셔 삼킨다든가, 씹어서 먹으면 안됨. 따라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이 점을 교 육해 드려야 함.
☆. 이 약을 심근경색증에 왜 투여할까?
- 심근경색증은 대부분 관상동맥경화의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죽종이나 섬유화, 혈전으 로 인해 관상혈관이 좁아지게 되고 막히게 되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지 못함.
∴ 관상혈관의 이완을 향상시켜 심장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해주기 위해 투여함.
심근경색의 흉통으로 인한 진통제로도 쓰임.
Ⅲ. 결론
▶ 심근경색 환자의 약물은 크게 진통제, 진정제, β교감신경 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항부 정맥제,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혈관확장이완제, 로 나뉠 수 있다.
현재 진단R/O Acute MI가 내려진 박원석님은 아래와 같은 약물을 투여 받고 있다.
약물
대상자 상황
간호
NTG
(혈관이완제)
- strecter car에 누워 가슴부위 손을 얹 고 ..
- 아까는 숨도 못 쉬게 아프더라구요.
<응급진료기록지>
c.c : Chest pain 흉골쪽 pain
통증의 기간 2시간동안, 쥐어짜는 느낌, 어깨로 방사통
- 진단 : R/O Acute MI
- 흡연(20년 동안 하루에 5-6개피)
→ 니코틴의 작용으로 혈관 수축
- cyanosis(+)
#.약 투여
:관상혈관의 이완을 향상시켜 심장에 충 분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주기 위해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 줌으로써 통증도 감소시켜줌.
- 순환기계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V/S 규칙적으로 측정함.
- 설하에서 녹여 복용하도록 교육
(물을 마시지 못하게...)
- 증상이 완화 될 때까지 5분마다 반 복 투여할 수 있음.
- 3회 복용한 후(15분간)에도 통증이 계속되면 의사에게 알림.
⇒효과가 없는데 계속 사용하면 증 상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빨리 다른약으로 바꿔야 함.
morphine
(흉통완화제)
*이학검사 NTG response : (-)
⇒NTG 효과가 없음을 나타냄.
⇒효과가 없는데 계속 투약하면 아무의미 없고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장 효과적인 진통약 morphine을 사용해 야 함.
- 호흡억제작용이 있으므로 호흡부전 시 주의, 흡연 피함.
- 오심, 구토, 소양증의 부작용 관찰.
Hparin
(항응고제제)
- R/O Acute MI
- cyanosis(+)
#.약 투여
관상혈관의 혈전을 막아 충분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 응고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침습 적 처치 시 출혈주의.
- 깊숙이 피하주사 하거나 정맥주사
(근육주사 피함: 혈종. 출혈)
- 니코틴은 heparin작용에 길항하므 로 환자는 흡연을 피함.
- 주사부위 맛사지 금해야 함.
Isoket
(혈관확장제)
- R/O Acute MI
- cyanosis(+)
#.약 투여
관상혈관의 확장을 향상시켜 충분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주기 위해
- 투여 중 수시로 혈압측정과 혈행 동태를 모니터함.
- 환자의 혈행동태, 증상에 따라 천 천히 투여량을 조절.
Ⅳ. 참고문헌
다섯째판 성인간호학 下(Ⅲ)
서문자외
2004
수문사
성인간호학 上(2)
전시자외
2001
현문사
임상약리학
유지수외
1994
현문사
제4판 임상약리학
김옥녀
1995
수문사
-중증의 저혈압(수축기압 90mmHg 미만) 환자
-폐쇄우각형 녹내장 환자
-질산염제제에 과민증 또는 그 기왕력자
-원발성 폐고혈압 환자
-우심경색 환자
-탈수, 중증의 빈혈 환자
-신경순환 무력증 환자
-두부외상 또는 뇌출혈 환자
-교착성 심낭염, 심장압전 환자
-비후성 폐쇄성 심근병증 환자
-중증의 폐부종 환자.
부작용
-순환기계 : 쇽, 혈압강하, 어지러움, 심계항진, 열감, 홍조, 사지부종, 심박 출량 저하, 서맥, 심실성 빈맥, 심방세동, 심실세동 등
-정신신경계 : 두통, 무력감, 불쾌감, 전신권태감, 흥분 등
-소화기계 : 구역질, 구토, 위부불쾌감, 식욕부진 등
-간 : AL-P, AST 상승 등
-혈액 : 동맥혈 산소분압 저하
-과민증 : 발진
간호
-투여 중에는 수시로 혈압측정과 혈행동태를 모니터함.
환자의 혈행동태, 증상에 따라 천천히 투여량을 조절.
-투여 중에 혈압강하 등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감량 또는 투여를 중지하 며 필요에 따라 혈압상승제 투여 등 적절히 처치.
-혈압강하 가능성이 있는 환자나 심박출량이 저하된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에 는 카테콜아민계 약물 등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투여 중 좌심부전 상태가 개선된 경우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여 투여를 중지
☆. 이 약을 심근경색증에 왜 투여할까?
- 심근경색증은 대부분 관상동맥경화의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죽종이나 섬유화, 혈전으 로 인해 관상혈관이 좁아지게 되고 막히게 되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지 못함.
∴ 관상혈관의 확장을 향상시켜 심장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해주기 위해 투여함.
11. 혈관이완작용
Nitroglycerin
작용
-혈관평활근 이완작용. 동맥 및 정맥 혈관의 확장
-주 혈관 및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의 Peripheral Pooling을 촉진하며, 좌 심실의 이완기압을 감소시켜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정맥혈류량을 감소시킴
-동맥을 확장시켜 체혈관저항 및 동맥압을 감소시킴
-심근의 산소소모량 감소
적응증
-협심증
용법/용량
-SL
⇒ 급성협심증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니트로글리세린으로서 1회 0.3mg 또 는 0.6mg을 설하 또는 구강 내에 녹여 복용.
⇒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5분마다 반복 투여할 수 있음.
3회 복용한 후(15분간)에도 통증이 계속되면 의사에게 notify
⇒ 급성협심증 발작이 야기될 수 있는 작업을 하기 5-10분전에 예방목적 으로 미리 복용
주의사항
-두부외상 또는 뇌출혈 환자(두개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음)
-중증의 빈혈 환자
-급성 심근경색 환자
-녹내장 환자.
부작용
-순환기계 : 빈혈, 혈압강하, 열감, 홍조, 심계항진, 기립성 저혈압, 어지러움 -정신신경계 : 두통, 허약, 실신 등
-소화기계 : 구역, 구토 등
-기타 : 발한, 요실금, 변실금 등
간호
-순환기계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V/S을 규칙적으로 측정함.
-이 약물은 빠른 약효과를 보기 위해 설하로 넣는데 일반약과 같이 물을 마 셔 삼킨다든가, 씹어서 먹으면 안됨. 따라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이 점을 교 육해 드려야 함.
☆. 이 약을 심근경색증에 왜 투여할까?
- 심근경색증은 대부분 관상동맥경화의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죽종이나 섬유화, 혈전으 로 인해 관상혈관이 좁아지게 되고 막히게 되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지 못함.
∴ 관상혈관의 이완을 향상시켜 심장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해주기 위해 투여함.
심근경색의 흉통으로 인한 진통제로도 쓰임.
Ⅲ. 결론
▶ 심근경색 환자의 약물은 크게 진통제, 진정제, β교감신경 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항부 정맥제,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혈관확장이완제, 로 나뉠 수 있다.
현재 진단R/O Acute MI가 내려진 박원석님은 아래와 같은 약물을 투여 받고 있다.
약물
대상자 상황
간호
NTG
(혈관이완제)
- strecter car에 누워 가슴부위 손을 얹 고 ..
- 아까는 숨도 못 쉬게 아프더라구요.
<응급진료기록지>
c.c : Chest pain 흉골쪽 pain
통증의 기간 2시간동안, 쥐어짜는 느낌, 어깨로 방사통
- 진단 : R/O Acute MI
- 흡연(20년 동안 하루에 5-6개피)
→ 니코틴의 작용으로 혈관 수축
- cyanosis(+)
#.약 투여
:관상혈관의 이완을 향상시켜 심장에 충 분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주기 위해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 줌으로써 통증도 감소시켜줌.
- 순환기계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V/S 규칙적으로 측정함.
- 설하에서 녹여 복용하도록 교육
(물을 마시지 못하게...)
- 증상이 완화 될 때까지 5분마다 반 복 투여할 수 있음.
- 3회 복용한 후(15분간)에도 통증이 계속되면 의사에게 알림.
⇒효과가 없는데 계속 사용하면 증 상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빨리 다른약으로 바꿔야 함.
morphine
(흉통완화제)
*이학검사 NTG response : (-)
⇒NTG 효과가 없음을 나타냄.
⇒효과가 없는데 계속 투약하면 아무의미 없고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장 효과적인 진통약 morphine을 사용해 야 함.
- 호흡억제작용이 있으므로 호흡부전 시 주의, 흡연 피함.
- 오심, 구토, 소양증의 부작용 관찰.
Hparin
(항응고제제)
- R/O Acute MI
- cyanosis(+)
#.약 투여
관상혈관의 혈전을 막아 충분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 응고시간이 지연되기 때문에 침습 적 처치 시 출혈주의.
- 깊숙이 피하주사 하거나 정맥주사
(근육주사 피함: 혈종. 출혈)
- 니코틴은 heparin작용에 길항하므 로 환자는 흡연을 피함.
- 주사부위 맛사지 금해야 함.
Isoket
(혈관확장제)
- R/O Acute MI
- cyanosis(+)
#.약 투여
관상혈관의 확장을 향상시켜 충분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주기 위해
- 투여 중 수시로 혈압측정과 혈행 동태를 모니터함.
- 환자의 혈행동태, 증상에 따라 천 천히 투여량을 조절.
Ⅳ. 참고문헌
다섯째판 성인간호학 下(Ⅲ)
서문자외
2004
수문사
성인간호학 上(2)
전시자외
2001
현문사
임상약리학
유지수외
1994
현문사
제4판 임상약리학
김옥녀
1995
수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급성심근경색증에 대해서...
급성심근경색의 진단과 이해
심근경색증에 대해
[심근경색][심근경색증]심근경색(심근경색증) 정의, 심근경색(심근경색증) 원인, 심근경색(심...
심근경색(심근경색증)의 개념, 원인, 심근경색(심근경색증) 증상과 심근경색(심근경색증)의 ...
[심근경색][심근경색증][심장][심장질환]심근경색(심근경색증)의 정의, 심근경색(심근경색증)...
심근경색(심근경색증)의 개념, 심근경색(심근경색증)의 원인, 심근경색(심근경색증)의 종류, ...
[심근경색][심근경색예방][심근경색치료]심근경색의 개념, 심근경색의 원인, 심근경색의 위험...
심근경색증 급성심근경색증 MI AMI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심근경색증][폐동맥혈전증][심근염][심장판막증][심부전증][삼첨판협착][협심증][동맥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