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사회복지 현황과 개선점 (UBF 연희 센터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설립목적
2. 대상
3. 규모
4. 주요사업
1) 멘토링 프로그램 (1:1 성경공부)
2) 교육 지원 프로그램 (Summer School & Winter School)
(1) 진로지도
(2) 학업지도
(3) 영어지도
(4) 컴퓨터 지도
3) 문화지원 프로그램
(1) 오케스트라
(2) 유수상 축구 교실
4) 어린이집 운영
5) 구제사업(UBF 전체)
6) 장학사업(UBF 전체)

Ⅲ. 결론
1. 멘토 상담교육
2. 기획사업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설을 계속적으로 돕고 있으며 지역 내 한 명의 소년소녀가장을 선정하여 매월 지속적으로 돕고 있다.
6) 장학사업(UBF 전체)
본회는 필요에 따라 장학생을 선발하여 장학금을 지불한다. 그리고 장신, 총신, 합신 외 5개 신학원에 매학기 1명씩 지원하고 있으며, 중국 하얼빈 공대 안중근 장학회, 연변과기대 지원, 필리핀 선교사 자녀학교 500만원 등 선교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Ⅲ. 결론
전체 프로그램들의 특징은 대학생들을 전도하는 단체의 특성상 학생들에 대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대학생들의 전공, 영어, 컴퓨터교육에 대한 욕구와 진지하게 삶의 문제들에 대해 논의할 선배나 친구등이 많지 않은 현실에서 이에 대해 같이 고민하고 얘기를 들어주고 삶의 방향에 대해 인도하는 멘토에 대한 필요성에 기반을 둔다. 대상자들이 학업을 감당하는 대학생이므로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선배들의 자원봉사로 운영되고 있다. 프로그램들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회와 지역교회와의 차이점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교단체라는 특성상 다른 교회와 달리 지역사회와 연계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본회의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을 살펴보았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개선점과 앞으로 더 필요한 사회복지 사업에 대해 논의해 보겠다.
1. 멘토 상담교육
먼저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멘토들에 대해 정기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성경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많은 다양한 학생들을 만나므로 전문적인 상담기술에 대한 욕구가 크다. 현재는 각자 더 경험이 많은 분들과 상의하거나 혼자서 책을 읽고 공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전문적인 상담 교육이 절실하다고 본다.
2. 기획사업
장터나 바자회등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장학금을 마련하는 사업을 제안한다. 본회는 지역사회와 연계가 많지 않으므로 장학사업을 목적으로 한 장터나 바자회등을 개최함으로 지역사회사회에 본회를 소개하는 동시에 대학생들에게 이 수익금으로 장학금을 주는 사업을 제안한다.
■ 참고 문헌
어윤배(1996). “사회정책의 이론과 과제”, 서울:숭실대학교 출판부.
이삼열 편(1992).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서울:한울출판사
장인협 이혜경 오정수 (2000). “사회복지학”(개정판).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사회복지위원회(2001), “교회의 사회복지 참여하고 실천하기”, 서울:대한기독교서회
■ 참고 Web site
http : //www.ubf.org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2.21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