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병(심장질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병(심장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ꋮ심장병이란?

ꋮ우리나라의 심장병

ꋮ심장병의 원인과 증상

ꋮ심장병의 예방

ꋮ심장질환의 종류

ꋮ관련용어

ꋮ관련서적 소개

본문내용

모양을 이루고, 우측 융기가 좌측보다 높다. 횡격막의 높이는 호흡운동에 의해 결정되는데, 흡기 때는 낮고 호기 때는 높다. 또 어릴 때는 높고 나이와 함께 낮아진다. 건중심의 위쪽에는 심막(心膜)을 사이에 두고 심장이 있고, 그 양쪽에는 흉막을 사이에 두고 폐(肺)가 있으며, 아래쪽에는 복막을 사이에 두고 간 ·위 ·지라 ·신장 ·부신 등이 있다. 횡격막의 운동은 제4경신경(第四頸神經)의 전지(前枝)에서 나오는 횡격막신경에 의하여 지배되는데, 이 신경이 주로 작용하면 복식호흡이 된다. 임신부나 복강에 액체가 괸 환자는 횡격막의 운동이 방해되므로 어깨로 호흡운동을 한다.
- 삼첨판
사람과 포유류 심장의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있는 판.
우측 방실구(房室口:심방과 심실을 연락하는 구멍) 주위에서 시작되는 3개의 얇은 판막과, 그 자유연(自由緣)에 부착되어 있는 많은 건색(腱索)으로 되어 있다. 건색은 결합조직으로 된 가는 끈인데, 그 반대쪽 끝의 일부는 우심실벽에 부착되고, 일부는 심실벽에서 뻗어나온 유두근에 부착되어 있다. 이 판장치는 심실이 이완되어 있을 때 우심방으로부터 우심실로 흘러들어간 혈액이 심실이 수축할 때에 심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서 왼쪽에 있는 이첨판에 해당된다.
- 심박출량
사람의 심장, 즉 심실에서 1분 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
심장은 일정한 주기로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하며 혈액을 동맥으로 박출하는 펌프 기능을 한다. 이 펌프 기능은 1분 동안에 박출하는 혈액의 양으로 표시되는데 이를 심박출량이라 한다. 또는 분시박출량(分時搏出量), 심박분시용량(心搏分時容量) 등으로도 표현된다. 심박출량은 1회의 수축으로 박출되는 양과 1분 동안에 수축하는 횟수(심박수)의 곱에 의하여 결정되며 단위는 ㎖로 나타낸다.
심박출량은 조직이 산소나 다른 영양분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가에 따라 비례하며 이를 유지, 조절하는 것이 순환계의 가장 복잡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심박출량은 작은 동물에서 큰 동물로,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함에 따라 심장 용적의 늘어남과 함께 증대한다. 그러나 이것은 1회 박출량의 증가로 인한 것이며 오히려 심박수는 감소된다. 몸무게 70㎏의 건강한 성인 심박출량을 계산해보면 대략 1회 박출 때 몸무게 1㎏당 1㎖가 박출되기 때문에 70㎖가 된다.
심박수를 1분 동안에 70회로 계산하면 1분당 약 5ℓ가 박출된다고 할 수 있겠다. 심박출량은 같은 사람에게서도 운동할 때와 운동을 하지 않을 때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불안하거나 흥분하면 50~100% 정도 증가하게 되고 격렬한 운동시에는 5배 이상까지 증가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심박출량이 심박수 및 1회 박출량과 정비례로 증감한다. 그러나 발작성 심박증처럼 병적으로 심박수만 증가하였을 때에는 심박출량이 감소하여 극히 위험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왜냐하면 심박수가 증가하면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충분히 수축할 수 없게 되어 1회 박출량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심박출량의 측정에 대해서는 1870년 독일의 생리학자인 아돌프 E. 피크가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관련서적 소개
“심장병 알면 이길 수 있다.”
심장병 권위자로 꼽히는 이종구 박사가 심장병의 예방과 조기발견, 효과적인 치료와 극복을 위해 꼭 알아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자세하게 소개한 책이다. 협심증,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장판막증, 심부전증 등 심장질환은 물론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심장 관련 질환의 원인에서 증상과 진단방법, 치료법까지 사진과 그림을 곁들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 돌연사를 부르는 무서운 질병인 심장병의 예방과 치료법!
협심증,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장판막증, 심부전증 등 심장질환은 물론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심장 관련 질환의 원인에서 증상과 진단방법, 치료법까지 사진과 그림을 곁들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암과 사고 등이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사망원인이었으나 최근에는 심장병,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이 사망원인 제1위를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한창 나이에 멀쩡하던 사람이 급사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장질환 때문이라고 한다. 돌연사를 부르는 심장병의 공포로부터 자유로워지려면 다른 질병도 그러하겠지만 예방이 최선이다.
저자는 지나친 술, 담배와 나쁜 생활 습관을 갖고 있다면 심장병을 한번 걱정해 보아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심장병은 그 어느 질병보다도 예방이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협심증,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장판막증, 심부전증 등 여러 심장질환의 원인, 증상과 진단방법, 치료법과 예방법을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사진과 그림, 도표를 곁들여 빠른 이해를 돕고 있다. 특히 심전도 검사, 운동부하 검사, 부하핵의학 검사, 심장초음파 검사, 관상동맥조영술 등 심장병 최신 진단방법과 약물요법 그리고 관상동맥확장술, 금속망 삽입술 등의 최신 치료방법을 통한 완치 가능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다루었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심장 관련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서도 다루었으며 부록으로는 지난 10년간 한국인 사망요인의 변화, 심장의 적 담배, 음주와 심혈관질환, 심장병과 아스피린, 비아그라와 심혈관질환, 올바른 식사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심방질환”
저자 - 나인수
이 책은 전혀 예기치 못한 상태에서 불시에 찾아올 뿐만 아니라 일단 발병하면 환자의 40%가 돌연사에 이르는 '심장질환'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과 치료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한다. 1장은 혐심증과 심근경색이 일어나는 이유와 증상, 치료, 등에 대해, 2장은 심전도 검사,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홀터 심전도 검사, 등 심장병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에 대해 알아본다. 3장은 니트로글리세린, 아초산약, 칼슘길항약, 등 심장약의 올바른 사용법과 최신 치료법에 대해, 4장은 일상 생활에서 심장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5장에서는 발작에 대해, 6장에서는 돌연사 예방을 위한 수칙, 심장 질환 환자의 운동 요령, 등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Q & A로 심장질환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준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5.12.20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