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1. 여성 관련 금기어는 언제부터?
-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2.2. 여성 관련 금기어
2.2.1. 여성 관련 금기어의 구성
2.2.2. 여성 관련 금기어 분석
- 타당하지 않지만 무시할 수도 없는 그것.
3. 결론
- 고착된 사회적 인식과 싸워나가야 할 여성 관련 금기어
2.1. 여성 관련 금기어는 언제부터?
-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2.2. 여성 관련 금기어
2.2.1. 여성 관련 금기어의 구성
2.2.2. 여성 관련 금기어 분석
- 타당하지 않지만 무시할 수도 없는 그것.
3. 결론
- 고착된 사회적 인식과 싸워나가야 할 여성 관련 금기어
본문내용
이러한 말이 생겨난 이유나 정당성이 객관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하더라도 관습적으로 전해 오면서 여성의 행위를 제약하는 금기들이 존재하며 필요한 경우에 그러한 행위들을 제재해왔다. 최상진 외,「여성관련 금기어의 타당성 및 수용성 지각: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02, 59쪽.
여성 관련 금기어는 그것의 생성 배경이나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한국의 유교사회’라는 사회·문화적 관습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타당성을 얻기가 상당히 힘들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여성 관련 금기어는 얼마든지 없어질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한국 사회에서 누적되어온 시간을 고려한다면 소멸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듯싶다.
한국 사회의 여성 관련 금기어를 추적하고 고찰하는 일은 객관적인 면에서 과거 우리 사회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척도가 될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사회에서 은연중에 작용하고 있는 힘을 고려한다면 결코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겠다.
금기에는 합리적으로 이해되는 터부와 불합리하다고 경험되는 터부가 존재한다. 어떤 금기가 합리적이냐 아니냐 하는 것은 상대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합리적이라고 이해되는 금기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것보다 생존력이 더 강한 것은 당연하지만, 그것이 곧 불합리하다고 경험되는 터부는 모두 사라진다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한다. 비록 불합리한 금기로 인식되는 것이라 하더라도 사회적 인식이 고정되거나 고착됨으로써 문화적으로 강력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창모,『금기의 수수께끼』, 한길사, 2003, 47쪽 각주 18번 참조.
이것은 여성 관련 금기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며 앞으로 여성 관련 금기어가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최창모,『금기의 수수께끼』, 한길사, 2003.
허재영,『생활 속의 금기어 이야기』, 역락, 2000.
김선풍 외,『우리민속학의 이해』, 월인, 2002.
심재기,『언어와 금기: 한국 전래금기담을 중심으로』, 북악, 1978.
최상진 외,「여성관련 금기어의 타당성 및 수용성 지각: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지: 여성, 2002.
서혜경,「전북지역의 금기식품에 관한 연구: 임신기를 중심으로」, 기전여전논문집, 1981.
최상진·박정열,「금기어 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심층심리」,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 계학술발표회, 1999.
여성 관련 금기어는 그것의 생성 배경이나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한국의 유교사회’라는 사회·문화적 관습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타당성을 얻기가 상당히 힘들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여성 관련 금기어는 얼마든지 없어질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한국 사회에서 누적되어온 시간을 고려한다면 소멸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듯싶다.
한국 사회의 여성 관련 금기어를 추적하고 고찰하는 일은 객관적인 면에서 과거 우리 사회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척도가 될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사회에서 은연중에 작용하고 있는 힘을 고려한다면 결코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겠다.
금기에는 합리적으로 이해되는 터부와 불합리하다고 경험되는 터부가 존재한다. 어떤 금기가 합리적이냐 아니냐 하는 것은 상대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합리적이라고 이해되는 금기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것보다 생존력이 더 강한 것은 당연하지만, 그것이 곧 불합리하다고 경험되는 터부는 모두 사라진다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한다. 비록 불합리한 금기로 인식되는 것이라 하더라도 사회적 인식이 고정되거나 고착됨으로써 문화적으로 강력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창모,『금기의 수수께끼』, 한길사, 2003, 47쪽 각주 18번 참조.
이것은 여성 관련 금기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며 앞으로 여성 관련 금기어가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최창모,『금기의 수수께끼』, 한길사, 2003.
허재영,『생활 속의 금기어 이야기』, 역락, 2000.
김선풍 외,『우리민속학의 이해』, 월인, 2002.
심재기,『언어와 금기: 한국 전래금기담을 중심으로』, 북악, 1978.
최상진 외,「여성관련 금기어의 타당성 및 수용성 지각: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지: 여성, 2002.
서혜경,「전북지역의 금기식품에 관한 연구: 임신기를 중심으로」, 기전여전논문집, 1981.
최상진·박정열,「금기어 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심층심리」,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 계학술발표회, 1999.
추천자료
그리스 신화와 한국 건국 신화 - 그 속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인권법E형)여성차별철폐조약(협약)에서 인상 깊은 내용과 우리나라에서 지켜지지 않은 부분 ...
이슬람과 관계된 용어, 개념, 특성, 역사, 문화, 여성, 무슬림들이 이슬람을 믿는 이유 등을 ...
미스터피자' Made for women ‘한국 미스터 피자 시크릿 가든’ 여성 집중 공략화 마케팅 및 경...
[세계의풍속과문화]한국 남성과 동남아 여성간의 국제결혼가족에서 발견되는 문화적 적응과 ...
[세계의풍속과문화]한국남성과 동남아 여성의 국제결혼가족에서 발견되는 문화적 적응과 갈등...
[대중문화와속담의이해] 한국속담 중 여성비하, 세계속담
(프로그램개발과평가) 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적응 프로그램
(프로그램개발과평가)다문화 이주 여성의 한국 문화생활 적응 프로그램
(프로그램개발과평가)다문화 이주 여성의 한국 문화생활 적응 프로그램 파워포인트 PPT
[문화로 보는 한국사] 유교의 여성관
[고용]고용보험기금의 발달배경, 고용보험기금의 목적, 고용보험기금의 현황, 고용보험기금의...
[평생교육방법론 공통] 평생교육대상 중 특정한 대상집단을 선정, 그들의 인지적, 정의적,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