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습 목표]
[시험 장치 및 기구]
[안전 및 유의 사항]
[실습 순서]
[관계 지식]
1. 결과의 정리
⑴ 단위 무게 측정기 및 시험용 모래의 검정
⑵ 현장 단위 무게 시험
2. 결과의 이용
[시험 장치 및 기구]
[안전 및 유의 사항]
[실습 순서]
[관계 지식]
1. 결과의 정리
⑴ 단위 무게 측정기 및 시험용 모래의 검정
⑵ 현장 단위 무게 시험
2. 결과의 이용
본문내용
정한다.
㈐ 굴착한 흙의 함수량을 측정한다.
㈑ 측정기에 깔때기를 연결하고 밸브를 열어 모래를 용기에 꽉 찰 때까지 넣는다.
㈒ 모래가 꽉 차서 투입이 중단되면 밸브를 닫고 깔때기에 남아 있는 모래를 버린다.
㈓ (모래+측정기)의 무게(W3)를 측정한다.
㈔ 측정기를 거꾸로 세워 깔때기를 저판에 맞추고 똑바로 세운 다음 밸브를 열어 용기속의 모래를 시험 구멍에 흘려 넣는다.
㈕ 모래 투입이 중단되면 밸브를 막고(측정기+남은 모래)의 무게(W8)를 측정한다.
㈖ 시험 구멍의 모래를 조심해서 회수한다.
㈗ 소정의 수량만큼 시험했으면 측정값의 정리, 계산을 한다.
[관계 지식]
1. 결과의 정리
⑴ 단위 무게 측정기 및 시험용 모래의 검정
㈎ 측정 용기의 체적은 다음과 같다.
V1=K(W2-W1)
여기서, W2: 측정기의 밸브까지 물을 채웠을 때의 무게(g)
W1: 측정기의 무게(g)
K: 측정수온 T℃에 있어서의 물1g당 체적
㈏ 시험용 모래의 단위 무게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rs=(g/cm³)
여기서, W3:측정기의 밸브까지 모래를 채웠을 때의 무게(g)
㈐깔때기를 채우는데 필요한 시험용 모래의 무게(W6)를 다음 식으로 구한다.
W6=W3′-W5 또는 W6=W3-W5
여기서,W3′: 측정기와 깔대기를 채우는 데 필요한 모래의 무게(g)
W3: 측정기의 밸브까지 채운 모래의 무게(g)
W5: 측정기와 남은 모래의 무게(g)
⑵ 현장 단위 무게 시험
㈎ 흙의 습윤 단위 무게(rtf)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rtf=
물 1g당 체적 cm³/g
수 온 T℃
물 1g당 체적 K(cm³/g)
10
1.00027
12
1.00048
14
1.00073
16
1.00103
18
1.00138
20
1.00177
22
1.00221
24
1.00268
26
1.00320
28
1.00375
30
1.00435
32
1.00497
여기서, W7: 시험 구멍으로부터 파낸 습윤토의 무게(g)
V: 시험 구멍의 체적(mL)
㈏ 흙의 현장 건조 단위 무게(rdf)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rdf=
여기서, W: 시험 구멍으로부터 파낸 흙의 함수비(%)
㈐ 시험 구멍의 체적(V)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V=(cm³)
여기서: W9: 시험 구멍 및 깔때기에 들어간 모래의 무게(g)
W6: 깔때기를 채우는데 필요한 모래의 무게(g)
W10: 시험 구멍을 채우는데 필요한 모래의 무게(g)
㈑ 시험 구멍 및 깔때기에 들어간 모래의 무게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W9=W3-W8(g)
여기서, W8: 측정기와 남은 모래의 무게(g)
2. 결과의 이용
⑴ 토공 현장의 다짐도를 판정하여 시공 관리에 이용한다.
⑵ 시공 관리의 다짐도는 다음 범위 내에서 판정한다.
㈎ 건조 단위 무게로 규정한 경우
성토: 최대 건조 단위 무게의 90~95%
노상: 최대 건조 단위 무게의 95~100%
노반: 노상과 같든가 약간 높은 값
㈏ 포화도와 공극율로 규정한 경우
포화도: 90~95%
공극율: 2~10%
⑶ 포화도와 공극율로 규정하는 경우에는 점성토 지반에 적용한다.
㈐ 굴착한 흙의 함수량을 측정한다.
㈑ 측정기에 깔때기를 연결하고 밸브를 열어 모래를 용기에 꽉 찰 때까지 넣는다.
㈒ 모래가 꽉 차서 투입이 중단되면 밸브를 닫고 깔때기에 남아 있는 모래를 버린다.
㈓ (모래+측정기)의 무게(W3)를 측정한다.
㈔ 측정기를 거꾸로 세워 깔때기를 저판에 맞추고 똑바로 세운 다음 밸브를 열어 용기속의 모래를 시험 구멍에 흘려 넣는다.
㈕ 모래 투입이 중단되면 밸브를 막고(측정기+남은 모래)의 무게(W8)를 측정한다.
㈖ 시험 구멍의 모래를 조심해서 회수한다.
㈗ 소정의 수량만큼 시험했으면 측정값의 정리, 계산을 한다.
[관계 지식]
1. 결과의 정리
⑴ 단위 무게 측정기 및 시험용 모래의 검정
㈎ 측정 용기의 체적은 다음과 같다.
V1=K(W2-W1)
여기서, W2: 측정기의 밸브까지 물을 채웠을 때의 무게(g)
W1: 측정기의 무게(g)
K: 측정수온 T℃에 있어서의 물1g당 체적
㈏ 시험용 모래의 단위 무게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rs=(g/cm³)
여기서, W3:측정기의 밸브까지 모래를 채웠을 때의 무게(g)
㈐깔때기를 채우는데 필요한 시험용 모래의 무게(W6)를 다음 식으로 구한다.
W6=W3′-W5 또는 W6=W3-W5
여기서,W3′: 측정기와 깔대기를 채우는 데 필요한 모래의 무게(g)
W3: 측정기의 밸브까지 채운 모래의 무게(g)
W5: 측정기와 남은 모래의 무게(g)
⑵ 현장 단위 무게 시험
㈎ 흙의 습윤 단위 무게(rtf)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rtf=
물 1g당 체적 cm³/g
수 온 T℃
물 1g당 체적 K(cm³/g)
10
1.00027
12
1.00048
14
1.00073
16
1.00103
18
1.00138
20
1.00177
22
1.00221
24
1.00268
26
1.00320
28
1.00375
30
1.00435
32
1.00497
여기서, W7: 시험 구멍으로부터 파낸 습윤토의 무게(g)
V: 시험 구멍의 체적(mL)
㈏ 흙의 현장 건조 단위 무게(rdf)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rdf=
여기서, W: 시험 구멍으로부터 파낸 흙의 함수비(%)
㈐ 시험 구멍의 체적(V)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V=(cm³)
여기서: W9: 시험 구멍 및 깔때기에 들어간 모래의 무게(g)
W6: 깔때기를 채우는데 필요한 모래의 무게(g)
W10: 시험 구멍을 채우는데 필요한 모래의 무게(g)
㈑ 시험 구멍 및 깔때기에 들어간 모래의 무게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W9=W3-W8(g)
여기서, W8: 측정기와 남은 모래의 무게(g)
2. 결과의 이용
⑴ 토공 현장의 다짐도를 판정하여 시공 관리에 이용한다.
⑵ 시공 관리의 다짐도는 다음 범위 내에서 판정한다.
㈎ 건조 단위 무게로 규정한 경우
성토: 최대 건조 단위 무게의 90~95%
노상: 최대 건조 단위 무게의 95~100%
노반: 노상과 같든가 약간 높은 값
㈏ 포화도와 공극율로 규정한 경우
포화도: 90~95%
공극율: 2~10%
⑶ 포화도와 공극율로 규정하는 경우에는 점성토 지반에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