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읽으면 읽을수록 과거의 사건들 중 아직 진상 확인이 되지 않은 사건들이 많을 것 같았다. 따라서 진실은 드러나는 법이므로, 우리나라는 잘못된 역사를 고쳐서 진실된 역사를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하여 억울하게 죽은 이들의 혼을 달래주어야 하고 유족들에게 사과해야 한다. 또 사건들에 대해서 정부는 회피하지 말고 국민들에게 잘못된 사실을 올바르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권리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나에게 지루할 것 같았던 한국 현대사에 대해 흥미를 느끼게 해주었다. 그래서 기말고사가 끝나고 겨울방학 때, 좀더 자세히, 구체적으로 씌여진 역사책을 읽어 봐야겠다고 다짐했다. 그래서 이 책의 작가의 주관적 생각과 비교해보면서, 내 스스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판단을 내려 봐야겠다.
이 책은 나에게 지루할 것 같았던 한국 현대사에 대해 흥미를 느끼게 해주었다. 그래서 기말고사가 끝나고 겨울방학 때, 좀더 자세히, 구체적으로 씌여진 역사책을 읽어 봐야겠다고 다짐했다. 그래서 이 책의 작가의 주관적 생각과 비교해보면서, 내 스스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판단을 내려 봐야겠다.
추천자료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를 통한 일상사에 대한 고찰
브루스커밍스의 한국현대사 3장 요약
브루스커밍스의 한국현대사 4장 요약
브루스커밍스의 한국현대사 5장 요약
브루스커밍스의 한국현대사 6장 요약
브루스커밍스의 한국현대사 7장 요약
브루스커밍스의 한국현대사 8장 요약
브루스커밍스의 한국현대사 10장 요약
[한국근현대사]1910~20년대 일제_통치와_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의 이해] 1987. 6월 민주 항쟁의 주체 세력은 누구였는가?
[한국현대사] 민주화 운동의 명암 (민주화운동의 시기 구분, 5.18 광주 민중 항쟁, 6월 민주...
[가족사회학] 한국근현대사
김대중의 정치사로 본 한국현대사의 ‘쟁(爭)’
[독후감] 나의 한국현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