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을 통해 본 90년대 이후 미국 대외정책의 변화- 걸프전, 코소보 전쟁, 이라크 침공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쟁을 통해 본 90년대 이후 미국 대외정책의 변화- 걸프전, 코소보 전쟁, 이라크 침공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미국외교의 분석에 있어서 전쟁의 중요성

※미국의 전쟁일지 (출처 : http://www.historyguy.com)

3. 분석방법 및 수준

4. 전쟁의 원인에 대한 분석
[1]걸프전
(1)개인수준
(2)국가수준
(3)체제수준 : 국제 환경적 요인
[2]코소보전
(1)개인수준
(2)국가수준
(3)체제 수준
[3]이라크전
(1)개인수준
(2)국가수준
(3)체제 수준

본문내용

목표 : NATO의 유용성과 존재의의를 증명하기 위해, 이의 존속강화를 통한 유일 강대국의 공고화를 위해 코소보에 대한 NATO의 무력적 개입은 필요조건.
②코소보전 촉발 요인 : 코소보는 신유고연방의 자치주로 인구의 90% 이상이 알바니아인. 코소보는 세르비아계 중심의 신 유고연방으로부터 독립하고자 함. 98년 3월 알바니아 분리주의 반군들이 세르비아 경찰을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세르비아 경찰이 즉각 반격에 나서 알바니아계 반군과 반군 거점 지역의 주민들을 대규모로 학살 이에 알바니아계 코소보해방군을 중심으로 게릴라전이 펼쳐지고 세르비아는 코소보 해방군 소탕 작전에 나서 200여명의 주민을 살해 이렇게 되자 30만 명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인종청소를 피해 피난길에 올랐으며 미국을 포함하는 나토군은 코소보 간섭을 선언하고 3월 24일 유고 공습을 시작
[3]이라크전
(1)개인수준
①부시대통령의 캐릭터
ㄱ.근본주의적 선악관 : 주변세계를 “선과 악”의 이분법적 대결구도로 단순화. 악은 오로지 타도해야할 대상일 뿐 대화나 협상은 무용하다고 봄부시대통령의 대외정책을 결정짓는 핵심 기준
ㄴ. 힘의 숭배 : “매”로 상징되는 공화당 출신, 힘에 의해 국제문제를 해결하려는 현실주의 노선극단적인 해결방법으로써 “전쟁”이라는 강경한 수단 사용
②지지율 상승 유도 : 세계 평화를 수호하는 정의의 사도로써 대외적으로 강한 지도자의 이미지를 피력하고자 함 당선 초기의 저조한 지지율 극복, 절대악을 응징한다는 선의 선봉에서의 강력한 지도자의 이미지를 굳히고, 2004년 다음 대선에서의 승리를 위해서 전쟁이라는 수단을 이용
(2)국가수준
①중동지역에서의 석유 패권 확보하여 경제이권 확보. 장기적 불황 타개 : 미국은 유래 없 는 장기적인 불황침체된 경기를 타개하고자 전쟁이라는 수단 사용
②서로 다른 문화, 종교, 역사적 배경 : 미국과 이라크는 문화, 종교, 역사적 배경에서 상극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오랜 기간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 온 두 세계의 가치관이 이라크 전쟁이라는 화두를 놓고 충돌하면서 현상적으로 극명하게 표출된 것
(3)체제 수준
①세계 유일 초강대국으로서의 패권주의 : 탈냉전 이후 사회주의 진영의 몰락과 함께 세계 단일 패권으로 미국은 초강대국으로 등극. 그러나 반미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국가들의 미국중심의 질서에 대한 위협.
이라크를 침공하여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써 패권을 공고히 하고자 하는 의도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0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0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