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위생 실습레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목욕
1) 완전 또는 부분 침상 목욕 1
2) 통목욕이나 샤워목욕 3


2. 회음부 간호
1) 여성의 회음부 간호 4
2) 남성의 회음부 간호 4


3. 구강간호
1) 칫솔질 5
2) 특별구강간호 6
3) 의치청결 7


4. 침상세발 8


5. 면도 9


6. 손과 발 간호 10


7. 등간호 12

본문내용

러운 강모의 칫솔, 스펀지로 된 칫솔 대용품이나 거즈로 감은 설압자, 푹신한 설압자, 수건, 종이수건, 곡반, 찬물이 든 컵, 수용성 입술 연고, 10cc주사기(선택), 흡인기(선택), 일회용 장갑
『수행』
① 손을 씻고 일회용 장갑을 낀다.
② 종이수건을 침상 위탁자에 놓고 준비물품을 놓는다. 필요하다면 흡인기에 흡인 카테터를 연결한다.
③ 침상주위에 커튼을 치거나 방문을 닫는다.
④ 최고의 수평수준으로 침상을 올린다. 침상난간을 내린다.
⑤ 침상의 가장자리로 대상자를 옮긴다. 대상자의 머리를 침요쪽으로 돌린다.
⑥ 대상자 머리 아래에 수건을 놓고 곡반은 턱 아래 둔다.
⑦ 대상자의 어금니 사이에 설압자를 재빨리, 부드럽게 삽입하여 상하 치아를 주의 깊게 벌린다. 가능하면 대상자가 이완되었을 때 삽입한다. 힘을 가해서는 안 된다. (절대로 대상자의 치아를 손으로 벌려서는 안 된다.)
⑧ 과산화수소나 물을 적신 칫솔이나 스펀지로 된 칫솔 대용품을 사용하여 구강을 깨끗이 한다. 바깥쪽 치아의 표면을 깨끗이 한다. 입천정, 잇몸, 뺨 안쪽을 닦는다. 혀를 면봉으로 부드럽게 닦거나 솔질하되 구토반사를 자극하는 것을 피한다. 축축하고 깨끗한 면봉이나 물이 적셔 있는 칫솔로 헹군다. 여러 차례 반복한다.
⑨ 필요하다면 분비물이 축적될 때 흡인한다.
⑩ 입술에 수용성 젤리를 얇게 바른다.
⑪ 대상자에게 단계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⑫ 장갑을 벗고 적절한 곳에 버린다.
⑬ 대상자를 편안한 자세로 취해주고 침상난간을 올리고 침상을 제위치로 내린다.
⑭ 물품을 정리하고 적절한 위치에 갖다놓는다. 더러워진 린넨을 적절한 용기에 넣는다.
⑮ 손을 씻는다.
『주의사항』
① 무의식 대상자에게는 종종 구토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입에 닿는 어떠한 물체라도 깨무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 구토반사가 있는가는 의사의 기록이나 지사를 알아본다.
② 측위가 일상적으로 무의식 대상자에게 사용된다. 만일 머리를 내릴 수 없으면 옆으로 돌린다.
③ 만일 무의식대상자가 설압자를 삽입 시에 흥분한다면 구강의 뒤쪽으로 설압자를 넣으려는 반복적인 시도가 효과가 없을 수 있다. 대상자가 입을 벌린 채로 이완하고 있는 동안 설압자를 부드럽고 재빨리 삽입하면 가장 효과적이다.
④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은 구내 염을 일으킬 수 있다. 대상자는 식사 전후와 취침 시에 식염수나 미온수 1pint에 1/2∼1티스푼의 소금이나 베이킹소다를 넣어서 구강을 세척해야만 한다. 짙은 점액을 묽게 하고 제거하기 위해서는 따뜻한 물에 과산화수소 1, 식염수 4를 섞어서 사용하거나 식염수로 헹군다.
【3】의치청결
『 실습목적』
·의치환자의 구강을 청결히 한다.
·의치를 잘 관리하여 치아의 기능을 다 하도록 한다.
·구강조직의 감염을 예방한다.
『준비물품』
부드러운 강모로 된 칫솔, 의치용 칫솔, 곡반이나 세면대, 의치 치약이나 의치청결제, 물컵 2개(미온수와 냉수), 일회용장갑, 4×4거즈(필요시) 물수건, 의치컵이나 용기
『수행』
① 손을 씻는다 .(미생물 전파 방지를 위해)
② 준비물품을 침상 옆 탁자나 근처 세면대에 배열한다 .
③ 곡반에 미온수를 반쯤 채우거나 세면대의 바닥에 물수건(의치파손 방지)을 깔고 약 1인 치 정도 깊이가 될 때까지 물을 채운다. (물은 치약이 묻는 것을 돕는다)
④ 일회용 장갑착용
⑤ 대상자가 의치를 제거하도록 하고 곡반에 두도록 한다.(만일 대상자가 의치를 제거할 수 없다면 엄지와 검지로 앞니의 윗부분을 거즈로 감싼 후 잡는다 .아래쪽으로 부드럽게 당긴다. 턱쪽에 있는 아래치아를 부드럽게 잡고 한면을 아래로 낮게 하면서 움직여서 입에서 제거한다. 엄지와 시지로 의치를 붙잡고 의치를 제거한다. 이때 거즈는 의치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고 세균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⑥ 의치를 곡반에 넣는다. 의치청결제를 의치에 바르고 의치표면을 솔질한다. 의치를 잡고 물 속에 넣는다. 칫솔을 수평으로 잡고 앞뒤와 저작면을 닦는다 바깥쪽 의치표면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씹는 의치위와 저작면, 바깥면을 짧게 문지른다. 칫솔을 수직으로 잡고 의치내부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짧게 문지른다.(청결은 의치표면에 있는 음식과 박테리아를 예방하고 냄새와 착색을 방지한다) 칫솔을 수평으로 잡고 의치의 하부 표면아래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앞뒤로 움직인다.
ⓐ 의치의 끝 면은 앞뒤로 왔다갔다하면서 닦는다.
ⓑ 의치의 내면을 깨끗이 하기 위하여 칫솔을 수직으로 들고 위쪽을 향하여 닦는다.
⑦ 미온수로 의치를 헹군다 .
⑧ 대상자에게 의치를 돌려주거나 의치용기의 미온수 속에 보관한다.(보관은 의치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한다)
⑨ 곡반에 있는 물을 비우고 찬물을 넣는다. 칫솔에 치약을 묻혀 부드럽게 대상자의 혀, 잇몸, 입천장을 칫솔질한다.
⑩ 대상자의 입을 철저히 헹군다.(헹굼은 음식찌꺼기와 분비물을 제거한다)
⑪ 대상자가 의치를 원할 때는 끼워준다. 의치를 물에 적셔서 부드럽게 넣는다. 튼튼히 고정 되도록 손가락으로 의치를 눌러준다. 아래 의치를 물에 적셔서 삽입한다.
⑫ 장갑을 적절한 곳에 둔다. 물품을 깨끗하게 하고 제자리에 갖다둔다. 손을 씻는다.
『주의사항』
·세척하는 동안에 음식물 찌꺼기가 자주 축적되는 의치바닥을 주의 깊게 다루어야 하며 특히 의치가 분실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만일 대상자가 의치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면 재삽입전에 각 의치의 하부표면에 얇게 발라준다 .
4. 침상세발
『실습목적』
·두피의 순환을 증진시킨다.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준비물품』
목욕수건 2개, 얼굴수건이나 물수건, 목욕담요, 샴푸, 모발용영양, 장갑, 대야, 물주전자, 수포, 플라스틱 세발대, 깨끗한 빗과 솔빗, 헤어드라이기, 과산화수소와 식염수
『수행』
① 준비물품을 편리한 곳에 정돈하고 침상난간을 내린다.
② 대상자의 어깨, 목, 머리 밑에 방수포를 놓는다 머리와 어깨가 침상 끝에 오도록 해서 앙와위를 취한다. 대상자의 머리밑에 플라스틱 세발기를 놓고 세발기 아래에는 대야를 받쳐준다 물이 세발기에서 대야로 흐르는 것을 확인한다.
③ 대상자의 목 밑의 수건은 감아서 놓고 어깨위를 수건으로 덮는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1.0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