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 정약용의 실학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사 정약용의 실학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학문 방법의 특징과 내부 구조
1)학문 방법의 근거
2)학문 방법의 성격
3)학문의 내부 구조

2.학문사적 위치

3.맺음말

본문내용

그러나 그것은 현실문제를 다룬다고 하여 이면의 근본적인 경학, 철학의 문제를 소홀히 취급한다는 것은 아니다. 주자학은 그가 공부해온 것이지만 과학적인 합리성이 없는 것은 일단 제외시킨다. 그는 탈주자학의 근본목적이 아니라 자신의 학문세계를 구축하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었다. 실제로 그는 주석상에서 주자의 주석을 옳다고 긍정하고 있는 경우가 허다 하다. 그이 학문적 태도가 결코 주자학자와 판이한 것은 아니다.
-속유론-에서 속유란 실무에 능통하지 못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덕만을 내세우고 현실적 문제를 처리하지 못한다면 그는 벌써 유학의 본령을 떠난 사람이다. 자신의 수양은 물론 치인에 능한 사람은 속유가 아니고 순유인 것이다. 그가 이기문제에 있어 논의를 거부한 것은 아니다. 이기문제를 도외시한 것이 아니고 기에서 자연과 우주의 근원을 찾으려고 함으로써 주지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기는 천리와 인욕, 인심과 도심, 사단과 칠정, 이발과 기발 등을 논의의 핵심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모두 실무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 다산이 관심을 적게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다산학문의 기본입장은 성호의 경세치용과 연암학파의 이용후생 가운데서 그 좋은 점을 취하여, 그것을 토대로 하여 그 위에다가 독창적인 학문체계를 성립시켜 실학을 집대성하고 체계화한 것이다. 심성론에서는 성호가 퇴계의 전통적인 유학적 입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나 그는 학문적으로 성호의 한계를 탈피하여 기존의 주자. 퇴계-율곡의 독단적인 형이상학을 배격하고 과학적인 방식에 의해 새로운 학문 세계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키워드

다산,   정약용,   실학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0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