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65m
둔비간격 :
120m
o 4,500톤급
3선좌
o 2,000톤급
4선좌
1,420천톤
99,174㎡
제 2선거
건설당시
(1974년)
o 안 벽 : 4,274m
o 횡잔교 : 365m
o 수 심 : 7m~13m
5만톤급 : 1기
1만톤급 : 1기
25척
(2,000톤-
50,000톤)
6,270천톤
1,510톤㎡
현
재
선거내
o 안 벽 : 7,426m
o 수 심 : 7m~13m
5만톤급 : 1기
1만톤급 : 1기
36척
(2,000톤-
50,000톤)
20,429천톤
1,510천㎡
선거외
o 안 벽 : 240m
o 잔 벽 : 7기
o 돌 핀 : 7기
o 수 심 : 3m~18m
12척
(1,500톤-
100,000톤)
15,108천톤
(액체화물
12,660천톤
포함)
226,490천㎡
3.3 인천항의 하역능력증가추이
(표3.3 인천항 하역 능력 변화)
단위 : 만톤(1961년까지)
천톤(1966년이후)
연도\구분
전국
인천항
점유율(%)
연도\구분
전국
인천항
점유율(%)
8.15직후
1,000
130
13.0
1966년
14,650
1,420
9.7
6.25직후
450
-
-
1971년
18,781
1,420
7.6
1953년
600
66
11.0
1977년
412,000
8,720
21.3
1954년
670
90
13.4
1981년
87,423
9,728
11.1
1955~56년
780
113
14.5
1985년
118,413
14,730
12.4
1957~58년
870
120
13.8
1987년
168,774
20,877
12.4
1959~61년
902
130
14.4
1988년
184,739
22,877
12.4
3.4 인천항의 화물량과 하역능력에 대한 과부족 변화 추이
(표3.3 인천항 화물량과 하역능력에 대한 과부족 변화)
구 분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화 물 량
105,177
116,001
123,412
93,947
108,227
120,400
시설소요
71,213
78,406
81,418
65,143
73,483
80,505
하역능력
38,678
39,081
45,275
47,971
56,730
56,590
과 부 족
△32,535
△39,325
△36,143
△17,172
△16,753
△23,915
시설확보율
54.3%
49.8%
55.6%
73.6%
77.2%
70.3%
3.5 인천항의 갑거 통과 시간 변화 추이
(표3.5 인천항 갑거 통과 시간 변화)
수위차
10KT 갑거
50KT갑거
공사전
공사후
3m
26분
29분
30분
5m
32분
35분
36분
7m
40분
43분
44분
평균 소요시간
32.7분
35.7분
36.7분
갑문의 증설은 현재보다 선박운항 안전성에는 입출거 안전은 확보 가능하지만 선박운항 효율은 다소 저하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갑문 운영의 효율성에서는 10KT의 갑문 증설시 갑문 내항 측 구간의 동시 입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선박 대기가 발생함으로서 갑문운영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평가 된다.
4.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인천항의 갑문은 계속되는 증설 속에서 이상의 물동량을 비롯한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공사의 기법 면에서는 케이슨 시공방법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에 각 시설 부분에서의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1) 현재의 공사기법을 연구해 본 결과 과거의 케이슨을 이용한 갑문의 시공 기법에서 갑문의 거치상에서의 완성된 갑문을 직접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정밀한 작업 가운데 작은 오차의 범위 내에서 거치시키는 방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획기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갑문의 이용 측면에서도 레일을 이용한 공법과 기타 장비의 사용 측면에서도 별다른 차이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갑문 공사기법 외에 갑문을 예인하여 착공하는 단계에서의 물을 채워 하강시키는 방법과 전체를 한 번에 현장에서 가설하여 예인하는 방법에서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3) 갑문의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유사한 면목을 보이고 있으나 사람이 조작하는 기계이기에 현재 공사에서는 갑문제어센서의 도입을 통한 좀 더 기능적인 측면을 편리하게 시공하였다.
(4) 갑문의 부식을 막기 위한 도장 등의 기법에서는 국내의 기술력으로는 부족하여 프랑스의 기술의 도입하여 물속에서 직접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최초로 도입하고 있다. 수중에 거치하는 위험하면서도 예리한 공사 작업이기에 갑문공사는 과거에서나 현재도 마찬가지로 정밀한 작업이다.
(5) 현재 항만공사의 외국 기술의 도입과 많은 발전을 통하여 갑문의 안착에서의 정밀도가 0.7mm에 달하는 등의 높은 시공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외국의 갑문을 연구해본 결과 설치한곳이 여러 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암스테르담 포트 같은 경우 갑문을 설치함으로써 폐수의 수질개선의 효과를 가져왔고, 프랑스의 르아브루 항이나 벨기에의 엔트워프항의 갑문은 항내 정온도 유지와 공업시설과의 도로 연계로 사용된 것을 비추어 보면 인천항의 발전발향의 답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인천항의 발전 가능성을 비준하여 볼 때 정밀하고 능률적인 시공도 필요하지만 다른 시설과 연계하여 갑문의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앞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참고 문헌>
1. 이광호 (1984) “[공사보고]인천항 갑문유도시설의 설계와 시공” 대한토목학회지 : Vol.32 No.1
2. 조남일 (1997) “항만 개발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대한 토목학회지 :Vol. No10
3. 이상문 (1997) “신항만 개발 계획” 대한 토목학회지 :Vol. No10
4. 최영박 (2000) “해안과 항만공학” 문운당
5. 해양 항만청(2000) “항만 시설물 설계 기준”
6.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항건설 사무소(1998) : 인천항 갑문문짝(10KT)증설 기본 설계 용역 보고서
7.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항건설 사무소(1998) : 인천항 갑문문짝(10KT)증설 실시 설계 용역 보고서
8.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항건설 사무소(1991) : 인천항 갑문(50KT) 갑거 증설 공사지
9. 인천 지방 해운 항만청(1992) “인천항 백서”
10. 인천 상공회의소(1989) “인천항 총람”
둔비간격 :
120m
o 4,500톤급
3선좌
o 2,000톤급
4선좌
1,420천톤
99,174㎡
제 2선거
건설당시
(1974년)
o 안 벽 : 4,274m
o 횡잔교 : 365m
o 수 심 : 7m~13m
5만톤급 : 1기
1만톤급 : 1기
25척
(2,000톤-
50,000톤)
6,270천톤
1,510톤㎡
현
재
선거내
o 안 벽 : 7,426m
o 수 심 : 7m~13m
5만톤급 : 1기
1만톤급 : 1기
36척
(2,000톤-
50,000톤)
20,429천톤
1,510천㎡
선거외
o 안 벽 : 240m
o 잔 벽 : 7기
o 돌 핀 : 7기
o 수 심 : 3m~18m
12척
(1,500톤-
100,000톤)
15,108천톤
(액체화물
12,660천톤
포함)
226,490천㎡
3.3 인천항의 하역능력증가추이
(표3.3 인천항 하역 능력 변화)
단위 : 만톤(1961년까지)
천톤(1966년이후)
연도\구분
전국
인천항
점유율(%)
연도\구분
전국
인천항
점유율(%)
8.15직후
1,000
130
13.0
1966년
14,650
1,420
9.7
6.25직후
450
-
-
1971년
18,781
1,420
7.6
1953년
600
66
11.0
1977년
412,000
8,720
21.3
1954년
670
90
13.4
1981년
87,423
9,728
11.1
1955~56년
780
113
14.5
1985년
118,413
14,730
12.4
1957~58년
870
120
13.8
1987년
168,774
20,877
12.4
1959~61년
902
130
14.4
1988년
184,739
22,877
12.4
3.4 인천항의 화물량과 하역능력에 대한 과부족 변화 추이
(표3.3 인천항 화물량과 하역능력에 대한 과부족 변화)
구 분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화 물 량
105,177
116,001
123,412
93,947
108,227
120,400
시설소요
71,213
78,406
81,418
65,143
73,483
80,505
하역능력
38,678
39,081
45,275
47,971
56,730
56,590
과 부 족
△32,535
△39,325
△36,143
△17,172
△16,753
△23,915
시설확보율
54.3%
49.8%
55.6%
73.6%
77.2%
70.3%
3.5 인천항의 갑거 통과 시간 변화 추이
(표3.5 인천항 갑거 통과 시간 변화)
수위차
10KT 갑거
50KT갑거
공사전
공사후
3m
26분
29분
30분
5m
32분
35분
36분
7m
40분
43분
44분
평균 소요시간
32.7분
35.7분
36.7분
갑문의 증설은 현재보다 선박운항 안전성에는 입출거 안전은 확보 가능하지만 선박운항 효율은 다소 저하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갑문 운영의 효율성에서는 10KT의 갑문 증설시 갑문 내항 측 구간의 동시 입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선박 대기가 발생함으로서 갑문운영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평가 된다.
4.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인천항의 갑문은 계속되는 증설 속에서 이상의 물동량을 비롯한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공사의 기법 면에서는 케이슨 시공방법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에 각 시설 부분에서의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1) 현재의 공사기법을 연구해 본 결과 과거의 케이슨을 이용한 갑문의 시공 기법에서 갑문의 거치상에서의 완성된 갑문을 직접 예인선으로 예인하여 정밀한 작업 가운데 작은 오차의 범위 내에서 거치시키는 방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획기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갑문의 이용 측면에서도 레일을 이용한 공법과 기타 장비의 사용 측면에서도 별다른 차이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갑문 공사기법 외에 갑문을 예인하여 착공하는 단계에서의 물을 채워 하강시키는 방법과 전체를 한 번에 현장에서 가설하여 예인하는 방법에서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3) 갑문의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유사한 면목을 보이고 있으나 사람이 조작하는 기계이기에 현재 공사에서는 갑문제어센서의 도입을 통한 좀 더 기능적인 측면을 편리하게 시공하였다.
(4) 갑문의 부식을 막기 위한 도장 등의 기법에서는 국내의 기술력으로는 부족하여 프랑스의 기술의 도입하여 물속에서 직접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최초로 도입하고 있다. 수중에 거치하는 위험하면서도 예리한 공사 작업이기에 갑문공사는 과거에서나 현재도 마찬가지로 정밀한 작업이다.
(5) 현재 항만공사의 외국 기술의 도입과 많은 발전을 통하여 갑문의 안착에서의 정밀도가 0.7mm에 달하는 등의 높은 시공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외국의 갑문을 연구해본 결과 설치한곳이 여러 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암스테르담 포트 같은 경우 갑문을 설치함으로써 폐수의 수질개선의 효과를 가져왔고, 프랑스의 르아브루 항이나 벨기에의 엔트워프항의 갑문은 항내 정온도 유지와 공업시설과의 도로 연계로 사용된 것을 비추어 보면 인천항의 발전발향의 답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인천항의 발전 가능성을 비준하여 볼 때 정밀하고 능률적인 시공도 필요하지만 다른 시설과 연계하여 갑문의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앞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참고 문헌>
1. 이광호 (1984) “[공사보고]인천항 갑문유도시설의 설계와 시공” 대한토목학회지 : Vol.32 No.1
2. 조남일 (1997) “항만 개발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대한 토목학회지 :Vol. No10
3. 이상문 (1997) “신항만 개발 계획” 대한 토목학회지 :Vol. No10
4. 최영박 (2000) “해안과 항만공학” 문운당
5. 해양 항만청(2000) “항만 시설물 설계 기준”
6.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항건설 사무소(1998) : 인천항 갑문문짝(10KT)증설 기본 설계 용역 보고서
7.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항건설 사무소(1998) : 인천항 갑문문짝(10KT)증설 실시 설계 용역 보고서
8.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항건설 사무소(1991) : 인천항 갑문(50KT) 갑거 증설 공사지
9. 인천 지방 해운 항만청(1992) “인천항 백서”
10. 인천 상공회의소(1989) “인천항 총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