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이론
1)비평적 담화(펠드먼식 모델)에 의한 학습의 특징
2)펠드먼식 모델에 대한 문제점(김창식)
3)게히건의 '비평적탐구'와 '비평적 담화'의 차이점
4)비평적 담화의 문제점,
2. 미술비평 학습의 모델로서의 '비평적 탐구'
1)탐구단계와 비평적 탐구 단계
2)비평적 탐구 교수 모델의 세 가지 유형의 교육적 활동
3.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질문
4. 비평적 탐구를 위한 학급토론의 방법
5.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에서 작품의 예술적 의도로 이동
6. 학급 토론에 대하여 결론 내리기
7. 비형식적인 짧은 글과 에세이 쓰기
1)비평적 담화(펠드먼식 모델)에 의한 학습의 특징
2)펠드먼식 모델에 대한 문제점(김창식)
3)게히건의 '비평적탐구'와 '비평적 담화'의 차이점
4)비평적 담화의 문제점,
2. 미술비평 학습의 모델로서의 '비평적 탐구'
1)탐구단계와 비평적 탐구 단계
2)비평적 탐구 교수 모델의 세 가지 유형의 교육적 활동
3.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질문
4. 비평적 탐구를 위한 학급토론의 방법
5.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에서 작품의 예술적 의도로 이동
6. 학급 토론에 대하여 결론 내리기
7. 비형식적인 짧은 글과 에세이 쓰기
본문내용
들이 알지 못하는 사항이나 이해가 미흡한 것에 대한 고찰을 새롭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로서 새로운 연구 프로젝트를 정해 발전 학습을 전개시키는 일(p.246 발문)
③또 하나의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토론을 효과적으로 종결짓는 일
비형식적인 짧은 글과 에세이 쓰기
1.목적: 작품에 대한 자기 반응이나 비평적 사고를 촉진하고 심화시킴
2.글쓰기 형식
①개인적 반응을 비형식적으로 자유롭게 짧게 쓰는 방법
②작품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고찰을 바랄 때 에세이를 작성하게 하는 방법
3.에세이의 교실 현장에서의 사용
-학생들에게 작품의 일부 중 교실 토론에서 간과된 것이 있는지 생각하게 함.
-학생들에게 미술작품에 관한 자신의 사고가 어떤 발전 과정을 거쳤는지 추적하도록 함.
-미술작품에 대해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에 관해 고찰해 보도록 요구할 수 있음
-학생들이 저널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한 개인적 직관력을 계발하도록 만듦.
-학생에게 두 개 이상의 작품을 비교해 보도록 함.
-학생들에게 학급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자신들이 수집한 작품들에 대하여 개인적인 견해를 제시하도록 만듦.
-학생들에게 미학적 개념이나 주제에 관한 짧은 글을 작성해보도록 요구함.
③또 하나의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토론을 효과적으로 종결짓는 일
비형식적인 짧은 글과 에세이 쓰기
1.목적: 작품에 대한 자기 반응이나 비평적 사고를 촉진하고 심화시킴
2.글쓰기 형식
①개인적 반응을 비형식적으로 자유롭게 짧게 쓰는 방법
②작품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고찰을 바랄 때 에세이를 작성하게 하는 방법
3.에세이의 교실 현장에서의 사용
-학생들에게 작품의 일부 중 교실 토론에서 간과된 것이 있는지 생각하게 함.
-학생들에게 미술작품에 관한 자신의 사고가 어떤 발전 과정을 거쳤는지 추적하도록 함.
-미술작품에 대해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에 관해 고찰해 보도록 요구할 수 있음
-학생들이 저널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한 개인적 직관력을 계발하도록 만듦.
-학생에게 두 개 이상의 작품을 비교해 보도록 함.
-학생들에게 학급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자신들이 수집한 작품들에 대하여 개인적인 견해를 제시하도록 만듦.
-학생들에게 미학적 개념이나 주제에 관한 짧은 글을 작성해보도록 요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