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강남달」과 식민지 가요의 출발(30)
#2. 「황성옛터」로 풀어내고자 했던 망국의 한
#3. 웃음 속에 감춰진 눈물 - 만요(漫謠)
#4 최초의 금지곡이었던 <아리랑>
#5. 누가 그들을 떠돌이로 내몰았는가?
#6. 황금광시대의 탐욕과 반민족성에 대한 풍자
#7 항구, 그 영원한 출발과 귀환의 분기점
#2. 「황성옛터」로 풀어내고자 했던 망국의 한
#3. 웃음 속에 감춰진 눈물 - 만요(漫謠)
#4 최초의 금지곡이었던 <아리랑>
#5. 누가 그들을 떠돌이로 내몰았는가?
#6. 황금광시대의 탐욕과 반민족성에 대한 풍자
#7 항구, 그 영원한 출발과 귀환의 분기점
본문내용
라만 보라 내 또 오마
따라만 보라 내 또 오마.
아니 온다고 아니
아니 올 리가 있겠느냐.
있어야 하겠기 따르겠지만
있고 보니 네로구나.
있어야 한다고 따르지만
있어 보면 네로구나.
#7 항구, 그 영원한 출발과 귀환의 분기점
■ 함께 풀어볼 과제
1. 우리 가요에서 항구 테마의 노래는 매우 그 분량이 많다. 왜 그럴까?
항구는 다양한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다. 종착지로 볼 수도 있고, 방황의 시작점이 될 수도 있다. 이별의 이미지일 수도 있지만. 만남의 이미지도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항구로 여러 가지 주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항구 테마의 노래의 분량이 많을 것이다.
2. 항구, 마도로스, 포구, 바다 등을 테마로 한 가요의 종류를 조사하여 그 의미를 분석해 보라.
항구마다 괄세더라 (남인수)
항구마다 여자도 많더라
항구마다 술집도 많더라
하건만 하건만 시들한 내청춘
버림받은 내 가슴에
가도가도 바다더라 구름이더라
항구마다 이별도 많더라
항구마다 눈물도 많더라
하건만 하건만 뿔 빠진 내 청춘
벙어리된 내 가슴에
자나 깨나 술이더라 한숨이더라
항구에서 온갖 희노애락을 느끼지만 결국 술과 한숨만 남았다는 ‘인생무상’을 노래한 거 같다.
따라만 보라 내 또 오마.
아니 온다고 아니
아니 올 리가 있겠느냐.
있어야 하겠기 따르겠지만
있고 보니 네로구나.
있어야 한다고 따르지만
있어 보면 네로구나.
#7 항구, 그 영원한 출발과 귀환의 분기점
■ 함께 풀어볼 과제
1. 우리 가요에서 항구 테마의 노래는 매우 그 분량이 많다. 왜 그럴까?
항구는 다양한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다. 종착지로 볼 수도 있고, 방황의 시작점이 될 수도 있다. 이별의 이미지일 수도 있지만. 만남의 이미지도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항구로 여러 가지 주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항구 테마의 노래의 분량이 많을 것이다.
2. 항구, 마도로스, 포구, 바다 등을 테마로 한 가요의 종류를 조사하여 그 의미를 분석해 보라.
항구마다 괄세더라 (남인수)
항구마다 여자도 많더라
항구마다 술집도 많더라
하건만 하건만 시들한 내청춘
버림받은 내 가슴에
가도가도 바다더라 구름이더라
항구마다 이별도 많더라
항구마다 눈물도 많더라
하건만 하건만 뿔 빠진 내 청춘
벙어리된 내 가슴에
자나 깨나 술이더라 한숨이더라
항구에서 온갖 희노애락을 느끼지만 결국 술과 한숨만 남았다는 ‘인생무상’을 노래한 거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