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화학 전지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설명
(2)전지의 원리 및 기본 구조에 대해 설명
(3)Li 2차 전지의 종류와 그 특징에 대해 설명
(4)Li polymer전지가 Li ion 2차전지에 비해 안정한 이유를 자세히 설명
(2)전지의 원리 및 기본 구조에 대해 설명
(3)Li 2차 전지의 종류와 그 특징에 대해 설명
(4)Li polymer전지가 Li ion 2차전지에 비해 안정한 이유를 자세히 설명
본문내용
수 있어 종이처럼 얇게 만드는 일도 가능하다.(리튬이온 배터리는 두께 4mm까지가 한계)
배터리 성능으로 보면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의 평균전압은 단위면적(셀)당 3.7V이며,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방전되는 비율은 20˚C에서 한 달에 약 5% 미만이다. 이는 리튬이온 배터리 이전 1세대 배터리였던 니켈 카드뮴 배터리나 니켈 수소 배터리의 평균 전압(1.2V)보다 약 3배정도 공간절약 효과가 있으며, 방전율은 약 1/3 수준으로 줄어든셈이다.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는 이처럼 많은 장점이 있지만 과충전과 과방전에 취약한 점 등 제품 검증이 아직 진행 중이다. 때문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안정성이 높고 모양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는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의 보급이 활성화되면, 향후 발표될 디지탈 기기들의 휴대성과 디자인에도 많은 발전이 있을것으로 보인다.
(4) Li polymer전지는 Li ion 2차 전지와 비교했을 때,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다. Li polymer전지가 Li ion 2차전지에 비해 안정한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시오.
리튬이온 배터리와의 차이점은 액체 전해질 대신 젤 형식인 고분자 폴리머(Polymer)가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구성하며, 전해질의 역할까지 수행.
따라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인 누액과 폭발 위험성을 없다.
리튬이온전지는 액체로 된 전해액이 들어있다. 문제는 이 전해액은 유기성인데 휘발유보다 더 잘타는 물질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폭발의 위험이 있다. 반면 리튬폴리머는 바로 이점을 개선한 것입니다. 전해액 대신에 고분자물질이 젤형태로 채워서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도 구성하며 전해액의 안정성(Safety)을 높인 것이다. 여기서 안정성을 높였다 하는 것은 고온에서의 폭발위험(90℃정도에서도)과 누액위험이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온에서의 폭발은 액체 전해질이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에 폭발위험에 노출된다.
또 리튬이온은 각형 알루미늄 캔에 기반해 모형이 정해진 상태로 생산되기 때문에 알 수 없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폭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 폭발로 인한 피해 사례가 알려져 있다.
Reference
Steven S. Zumdahl Chemistry
드림전자 www.dream-elec.co.kr/
코리아 파워셀 www.dream-elec.co.kr/
배터리 성능으로 보면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의 평균전압은 단위면적(셀)당 3.7V이며,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방전되는 비율은 20˚C에서 한 달에 약 5% 미만이다. 이는 리튬이온 배터리 이전 1세대 배터리였던 니켈 카드뮴 배터리나 니켈 수소 배터리의 평균 전압(1.2V)보다 약 3배정도 공간절약 효과가 있으며, 방전율은 약 1/3 수준으로 줄어든셈이다.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는 이처럼 많은 장점이 있지만 과충전과 과방전에 취약한 점 등 제품 검증이 아직 진행 중이다. 때문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안정성이 높고 모양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는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의 보급이 활성화되면, 향후 발표될 디지탈 기기들의 휴대성과 디자인에도 많은 발전이 있을것으로 보인다.
(4) Li polymer전지는 Li ion 2차 전지와 비교했을 때,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다. Li polymer전지가 Li ion 2차전지에 비해 안정한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시오.
리튬이온 배터리와의 차이점은 액체 전해질 대신 젤 형식인 고분자 폴리머(Polymer)가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구성하며, 전해질의 역할까지 수행.
따라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인 누액과 폭발 위험성을 없다.
리튬이온전지는 액체로 된 전해액이 들어있다. 문제는 이 전해액은 유기성인데 휘발유보다 더 잘타는 물질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폭발의 위험이 있다. 반면 리튬폴리머는 바로 이점을 개선한 것입니다. 전해액 대신에 고분자물질이 젤형태로 채워서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도 구성하며 전해액의 안정성(Safety)을 높인 것이다. 여기서 안정성을 높였다 하는 것은 고온에서의 폭발위험(90℃정도에서도)과 누액위험이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온에서의 폭발은 액체 전해질이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에 폭발위험에 노출된다.
또 리튬이온은 각형 알루미늄 캔에 기반해 모형이 정해진 상태로 생산되기 때문에 알 수 없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폭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 폭발로 인한 피해 사례가 알려져 있다.
Reference
Steven S. Zumdahl Chemistry
드림전자 www.dream-elec.co.kr/
코리아 파워셀 www.dream-elec.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