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간여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할지라도 바이러스가 퍼지고 세계 인구의 99%가 죽은 과거를 바꿀 수 없다는 운명결정론적 설정은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래도 문제는 남는데, 그것은 앞에서도 잠깐 지적했던 것과 같이 제임스 콜이 반복적으로 과거의 여러 시점으로 여행을 하면서 하는 행적들이 미치는 영향과 관계된 것이다. 이 영화는 12원숭이의 아이디어가 어디에서 나온 것인지에 대해서 불분명하게 처리하고 있다. 또 만약 제임스가 과거로 여행을 하지 않았다면 라일리 박사가 자신의 본래 업무를 제쳐두고 볼티모어와 필라델피아를 오가며 12원숭이에 관심을 가지게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요소들은 제임스가 죄수로 있던 2035년이 되기까지의 역사를 만들어 가는데 큰 변화를 주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제임스가 미래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시간여행을 해서 과거에 개입하지 않았으면 제프리가 12원숭이에 대해서 생각하거나 라일리 박사가 납치를 당하거나 하지 않았을 것이며, 버려진 극장 안에서 사람을 죽이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 전과자는 제임스가 미래에서 오지 않았더라면 바이러스에 의해 죽지 않고 살아남은 1%의 인류에 속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결국 제임스가 시간여행을 통해서 인류의 파멸을 막을 의도도 없었고 실제로 막지도 못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시간여행을 해서 과거의 사람들과 만났다는 바로 그 사실 때문에 그가 여행한 이후의 세계는 그가 여행한 이전의 원래의 세계와는 다른 세계가 되어 버렸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제임스의 여행 역시 시간여행의 패러독스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추천자료
미국 테러를 통해본 『영화가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좋아하는 감독 김기덕 감독의 영화들
2000년대 한국사회 모성 인식: 영화, 드라마 분석을 통해
개혁의 확산이론을 통한 영화의 확산 연구
씨네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Bound의 분류와 그 의의
한국 경제 전망 -한국 영화 산업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취화선 - 카메라기법 등으로 영화 설명하기
공간 속의 심상(영화와 시, 그리고 포스터 엿보기)
[대중문화의이해A+] 남성 투톱영화와 흥행률의 상관관계 분석
가족의 문제가 나타나는 영화나 드라마를 한 편 선택, 극 중 대상 가족을 복지적으로 접근하...
[독후감] 영화속에 과학이 쏙쏙 _ 최원석 저
고전 음악의 이해 - 영화 \'아마데우스\'를 보고
[방송론] 영화 프로그램의 현실과 기대
[한국어교육] 영화 ‘설국열차’ 패러디서사의 담론 읽기(SNL 설국열차, 학교열차, 야자열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