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과 조선시대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진왜란과 조선시대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임진왜란이 갖는 의의
(2) 참담한 조선의 모습
(3) 비판의 목소리
(4) 조국수호의 의지와 새로운 영웅들

Ⅲ. 결론

본문내용

<임진록>(壬辰錄)이다. 이는 이본이 50여 종이나 되는 작품군이며, 모두 작자 미상이다. 사실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한문본에서부터 가공적인 인물의 활약상을 크게 다룬 국문본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이를 나타내면서, 왜적을 물리칠 후 있는 힘이 있었으나 운세가 따르지 않거나 방해자가 있어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하는 공통된 주제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현했다. 이 속에는 국왕에게 충성해야 한다는 내용 이면에 민중영웅에 대한 부당한 억압에 대한 항의도 들어있다. 한국문학통사3, 조동일, (주) 지식 산업사, 제 4 판 p.47
이러한 인물들에 대한 내용은 전란이 끝난 다음 실기로도 편찬되었는데 곽재우의 <망우당선생집>(忘憂堂先生集), 김덕령의 <김충장공유사>(金忠壯公遺事), 사명당(泗溟堂) 유정(惟政)의 <분충서난록>(奮忠難錄) 같은 것들이 바로 그것이다.
Ⅲ. 결론
7년간 계속된 임진왜란에 대한 글들은 후에 일제에 의해 다시 국권이 침탈되던 시기에 이르러서 재등장하였다. 일제에 국권을 빼앗겼을 때 우리는 임진왜란 때 큰 공적을 세웠던 위인들의 전기를 써내려감으로 인해 민족에 대한 자긍심과 애국정신을 고취하였다. 임진왜란은 조선에게 있어 분명 커다란 재앙이었다. 임진왜란으로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잃어버렸으며 그 당시 조선인들에게 임진왜란은 씻을 수 없는 전쟁의 상처를 남겼다. 전쟁이 끝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일어난 병자호란은 조선사에 있어 커다란 위기의 시간이었다. 그러나 조선은 이런 위기의 시간을 꿋꿋이 이겨내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쟁을 통해 새로운 발전과 도약을 모색했다. 상층부는 스스로의 잘못으로 인해 국토가 유린당하는 것을 바라보며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해야했고 하층부와 함께 전란의 고통을 겪으며 그들의 고난과 애환을 직접 몸으로 체험하게 되었다. 하층부 역시 크나큰 위기 속에서도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몸을 바쳐 저항하였다. 잘못이 누구에게 있건 상하층부가 위기로부터 나라를 지키기 위해 합심하고 단결한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임진왜란은 오늘날에 우리에게도 많은 것을 시사한다. 그 당시의 영웅들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깊은 감명과 감동을 주며 그 때의 애환이 어린 글들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을 준다.
◎ 참고서적
『한국문학통사 3』,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임진왜란과 한국문학』, 김태준 外, 民音社, 1992
『임진왜란의 문학적 형상화』, 장경남, 아세아문화사, 2002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