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동양의 식사예절
II. 서양의 식사예절
Ⅲ. 동·서양 식사예절을 작성하면서 느낀점
II. 서양의 식사예절
Ⅲ. 동·서양 식사예절을 작성하면서 느낀점
본문내용
처해한다. 왜냐하면 그 좌석이 예약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손님이 한곳에 집중이 되어 한 웨이터에게 일이 과도해져 서비스에 지장이 생기기 때문이다. 결국은 손님이 피해를 보게 된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안내원의 안내가 꼭 필요하며 안내받은 테이블이 마음에 들지 않아 "저쪽은 어떨까요?"라고 말하면 안내원이 알아서 처리해 준다. 그러나 정식 접대인 경우에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가만히 있어도 초대 측에서 좌석을 안내해 준다.
④ 좌석을 정할 때는 손님 중에서 누가 제일 중요한 분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식사할 때 좌석은 어느 곳에 앉느냐에 따라 기분이 달라지기도 한다. 보통 주빈은 가장 나이가 많은 부인이다. 호스트와 초면인 손님이나 사회적인 지위가 높은 사람, 유명한 사람이 주빈이 될 수도 있다. 주빈의 친척, 친구, 가족은 말석에 앉아야 한다. 남자와 여자는 좌석을 섞어서 앉는다. 가장 중요한 여자 주빈은 남자주인의 좌측에 앉고 그 다음 중요한 여자 주빈은 우측에 앉는다. 가장 중요한 남자 주빈은 여자 주빈의 우측에, 다음 남자 주빈은 여자주인의 좌측에 앉게 된다. 세 번째로 중요한 여자는 주빈 남성의 우측, 세 번째 중요한 남자는 주빈 여성의 우측에 앉게 된다. 부부가 초대를 받았을 때는 보통 대각으로 마주 앉게 된다.
⑤ 웨이터가 맨 먼저 빼 주는 의자가 상석이다.
웨이터가 없을 때는 남자가 주빈 또는 여자들의 의자를 뒤로 빼줘야 한다.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통로 쪽이나 출입문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말석이다. 상석을 지정 받았을 때 지나칠 정도로 사양하는 것은 오히려 실례가 될 수도 있다.
⑥ 여성이 착석할 때는 남성이 도와준다.
여성을 먼저 앉게끔 남성이 도와주는 이유는 여성을 될 수 있는 한 편히 해 주려는 배려이다. 참석자 가운데 노령의 어른이나 윗사람 또는 여성이 있으면 그들이 앉을 때는 좌측으로 들어서야 한다.
⑦ 옆 사람과는 주먹 두 개정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앉는다.
식사가 시작 될 때 의자의 거리를 고치는 행동은 좋지 않다. 테이블에서 한사람이 차지하는 거리는 대략 60cm-70cm가 기준이다. 따라서 식사 중 몸을 움직이는 범위는 72c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⑧ 여성의 핸드백은 등과 의자 사이에 놓아둔다.
식당에 들어갈 때는 가방, 모자, 외투 등은 가지고 들어가지 않고 코트 룸에 맡겨야 한다. 식당은 어디까지나 식사하는 곳이므로 식사하는데 지장이 되는 것을 가지고 들어갈 수는 없다. 그러나 여성은 핸드백이 있을 경우 의자와 허리사이에 놓아두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⑨ 냅킨은 모두가 착석한 뒤 무릎 위에 편다.
식탁에 앉자마자 성급하게 냅킨을 펴는 것은 좋지 않다. 테이블 전체를 보고 전원이 안정된 상태에 들었으면 냅킨을 펴지 않은 상태로 무릎위에 가져와 조용하게 별후 반으로 접어진 쪽을 자기 앞으로 놓는다.
⑩ 메뉴를 천천히 보는 것도 매너이다.
일반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메뉴의 구성은 전채, 스프, 생선요리, 육류요리, 샐러드, 디저트, 음료 순으로 되어 있다. 대개 이러한 순서에 입각하여 각 한 가지씩 선택하면 좋은 식단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일품요리인 생선요리와 고기요리가 중복되면 너무 과중한 식단이 되므로 두 가지가 겹치지 않는 것이 좋다.
⑪ 웨이터는 고객의 손과 발이다.
웨이터는 고객을 위하여 존재하며 고객의 식사를 즐겁게 도와주기 위해 근무한다. 그러므로 웨이터가 옆에 있는 것을 거북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웨이터를 부를 때 손가락을 튕겨 "탁" 소리를 내는 것은 좋은 매너가 아니다. 웨이터를 부를 때는 손가락만 들어도 된다.
⑫ 고급식당에서는 중급 가격 선으로 주문한다.
최근에는 가정보다 식당으로 초대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초대한 사람이 대부호라든가 비싼 요리나 제일 값이 싼 요리를 강권하였을 때는 예외지만 초대받은 쪽은 초대한 사람의 경제적 사정도 다소 고려하는 것이 예의이다. 제일 비싼 요리나 제일 값이 싼 요리를 주문하여 천덕스럽다는 인식을 받지 않도록 중간정도의 가격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⑬ 당신이 알고 있는 서양요리는 메뉴에 없다.
같은 중국요리라 할지라도 미국에서 맛보는 중국요리와 한국, 일본, 홍콩에서 맛보는 중국요리는 이름이 같을 지라도 요리내용과 맛이 현격히 다르다. 우리가 일상 잘 알고 있는 중국요리가 그 지역의 기호에 맞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서양요리도 마찬가지므로 요리가 맛이 있다, 없다 하는 것은 좋은 매너가 아니다. 우리의 한국요리인 김치도 같은 명칭이고 요리도 비슷하나 지역에 따라 맵고, 짜고, 싱거울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바로 이점이 그 지역의 기호인 것이다.
Ⅲ. 동·서양 식사예절을 작성하면서 느낀점
사람이 태어나서 제일 먼저 배우는 것이 음식 예절 이므로 그 사람이 음식을 마시고 먹는 모습을 보면 다른 생활 예절도 금방 알아차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사람을 볼 줄 아는 사람은 그 사람과 식사를 같이 해본다고 한다. 그 만큼 식사예절은 우리의 생활을 대변해주는 예절과 같다.
중국에서는 짝수를 길하게 여기는 습관 때문에 식사할 때 요리 수나 객석수를 항상 짝수로 맞춰놓는 다고 하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음식을 남기는 것이 예의라고 알았는데 이번 기회에 예의이긴 예의이지만 음식이 너무 많아 어쩔 수 없이 남기는 것이라고 알게 되었다. 일본의 식사예절 중에서 절대 금해야 되는 것 중에 우케스이, 네바리바시, 센고시노하시, 카라바시 등등… 이 있는데 이런 것들만 안한다면 식사에서 천대 받지는 않을 것 같았다.
뷔페 예절도 조사하려 했으나 접시를 들고 음식들을 담을 때 사람들이 도는 방향으로 돌아야 한다던가, 6번 이상 담아오지 않아야 하는 것 밖에 자료가 없어서 적지 못하였다.
거의 5시간이 넘는 시간동안 힘들게 보고서를 작성하여 마침내 완성했지만 그 시간동안 새롭고 쓸만한 것들을 배울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몇 주후면 우리 신일중 3학년 들은 중국으로 여행을 가는데 그 때 지금 배운 중국의 식사예절을 쓸 수 있을까 기대가 되고 나중에 일식 음식점이나 양식 레스토랑에 갔을 때 요번에 배운 식사예절을 복습해 보고 싶다. 보람 있는 시간이 되었다.y
④ 좌석을 정할 때는 손님 중에서 누가 제일 중요한 분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식사할 때 좌석은 어느 곳에 앉느냐에 따라 기분이 달라지기도 한다. 보통 주빈은 가장 나이가 많은 부인이다. 호스트와 초면인 손님이나 사회적인 지위가 높은 사람, 유명한 사람이 주빈이 될 수도 있다. 주빈의 친척, 친구, 가족은 말석에 앉아야 한다. 남자와 여자는 좌석을 섞어서 앉는다. 가장 중요한 여자 주빈은 남자주인의 좌측에 앉고 그 다음 중요한 여자 주빈은 우측에 앉는다. 가장 중요한 남자 주빈은 여자 주빈의 우측에, 다음 남자 주빈은 여자주인의 좌측에 앉게 된다. 세 번째로 중요한 여자는 주빈 남성의 우측, 세 번째 중요한 남자는 주빈 여성의 우측에 앉게 된다. 부부가 초대를 받았을 때는 보통 대각으로 마주 앉게 된다.
⑤ 웨이터가 맨 먼저 빼 주는 의자가 상석이다.
웨이터가 없을 때는 남자가 주빈 또는 여자들의 의자를 뒤로 빼줘야 한다.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통로 쪽이나 출입문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말석이다. 상석을 지정 받았을 때 지나칠 정도로 사양하는 것은 오히려 실례가 될 수도 있다.
⑥ 여성이 착석할 때는 남성이 도와준다.
여성을 먼저 앉게끔 남성이 도와주는 이유는 여성을 될 수 있는 한 편히 해 주려는 배려이다. 참석자 가운데 노령의 어른이나 윗사람 또는 여성이 있으면 그들이 앉을 때는 좌측으로 들어서야 한다.
⑦ 옆 사람과는 주먹 두 개정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앉는다.
식사가 시작 될 때 의자의 거리를 고치는 행동은 좋지 않다. 테이블에서 한사람이 차지하는 거리는 대략 60cm-70cm가 기준이다. 따라서 식사 중 몸을 움직이는 범위는 72c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⑧ 여성의 핸드백은 등과 의자 사이에 놓아둔다.
식당에 들어갈 때는 가방, 모자, 외투 등은 가지고 들어가지 않고 코트 룸에 맡겨야 한다. 식당은 어디까지나 식사하는 곳이므로 식사하는데 지장이 되는 것을 가지고 들어갈 수는 없다. 그러나 여성은 핸드백이 있을 경우 의자와 허리사이에 놓아두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⑨ 냅킨은 모두가 착석한 뒤 무릎 위에 편다.
식탁에 앉자마자 성급하게 냅킨을 펴는 것은 좋지 않다. 테이블 전체를 보고 전원이 안정된 상태에 들었으면 냅킨을 펴지 않은 상태로 무릎위에 가져와 조용하게 별후 반으로 접어진 쪽을 자기 앞으로 놓는다.
⑩ 메뉴를 천천히 보는 것도 매너이다.
일반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메뉴의 구성은 전채, 스프, 생선요리, 육류요리, 샐러드, 디저트, 음료 순으로 되어 있다. 대개 이러한 순서에 입각하여 각 한 가지씩 선택하면 좋은 식단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일품요리인 생선요리와 고기요리가 중복되면 너무 과중한 식단이 되므로 두 가지가 겹치지 않는 것이 좋다.
⑪ 웨이터는 고객의 손과 발이다.
웨이터는 고객을 위하여 존재하며 고객의 식사를 즐겁게 도와주기 위해 근무한다. 그러므로 웨이터가 옆에 있는 것을 거북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웨이터를 부를 때 손가락을 튕겨 "탁" 소리를 내는 것은 좋은 매너가 아니다. 웨이터를 부를 때는 손가락만 들어도 된다.
⑫ 고급식당에서는 중급 가격 선으로 주문한다.
최근에는 가정보다 식당으로 초대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초대한 사람이 대부호라든가 비싼 요리나 제일 값이 싼 요리를 강권하였을 때는 예외지만 초대받은 쪽은 초대한 사람의 경제적 사정도 다소 고려하는 것이 예의이다. 제일 비싼 요리나 제일 값이 싼 요리를 주문하여 천덕스럽다는 인식을 받지 않도록 중간정도의 가격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⑬ 당신이 알고 있는 서양요리는 메뉴에 없다.
같은 중국요리라 할지라도 미국에서 맛보는 중국요리와 한국, 일본, 홍콩에서 맛보는 중국요리는 이름이 같을 지라도 요리내용과 맛이 현격히 다르다. 우리가 일상 잘 알고 있는 중국요리가 그 지역의 기호에 맞게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서양요리도 마찬가지므로 요리가 맛이 있다, 없다 하는 것은 좋은 매너가 아니다. 우리의 한국요리인 김치도 같은 명칭이고 요리도 비슷하나 지역에 따라 맵고, 짜고, 싱거울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바로 이점이 그 지역의 기호인 것이다.
Ⅲ. 동·서양 식사예절을 작성하면서 느낀점
사람이 태어나서 제일 먼저 배우는 것이 음식 예절 이므로 그 사람이 음식을 마시고 먹는 모습을 보면 다른 생활 예절도 금방 알아차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사람을 볼 줄 아는 사람은 그 사람과 식사를 같이 해본다고 한다. 그 만큼 식사예절은 우리의 생활을 대변해주는 예절과 같다.
중국에서는 짝수를 길하게 여기는 습관 때문에 식사할 때 요리 수나 객석수를 항상 짝수로 맞춰놓는 다고 하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음식을 남기는 것이 예의라고 알았는데 이번 기회에 예의이긴 예의이지만 음식이 너무 많아 어쩔 수 없이 남기는 것이라고 알게 되었다. 일본의 식사예절 중에서 절대 금해야 되는 것 중에 우케스이, 네바리바시, 센고시노하시, 카라바시 등등… 이 있는데 이런 것들만 안한다면 식사에서 천대 받지는 않을 것 같았다.
뷔페 예절도 조사하려 했으나 접시를 들고 음식들을 담을 때 사람들이 도는 방향으로 돌아야 한다던가, 6번 이상 담아오지 않아야 하는 것 밖에 자료가 없어서 적지 못하였다.
거의 5시간이 넘는 시간동안 힘들게 보고서를 작성하여 마침내 완성했지만 그 시간동안 새롭고 쓸만한 것들을 배울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몇 주후면 우리 신일중 3학년 들은 중국으로 여행을 가는데 그 때 지금 배운 중국의 식사예절을 쓸 수 있을까 기대가 되고 나중에 일식 음식점이나 양식 레스토랑에 갔을 때 요번에 배운 식사예절을 복습해 보고 싶다. 보람 있는 시간이 되었다.y
추천자료
유아기의 예절지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것이 좋은가?
일본의 문화와 예절
독일의 문화 및 예절
서양예절
서양의 예절조사
[사이버대학, 관광경영학과] 올바른 인사예절
[가정교육][가정생활][가정지도][가정생활지도][가정예절]가정생활지도의 중요성, 가정생활지...
미국의 음식 및 식탁예절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가치관과 사상, 동서양(동양과 서양)의 가치관과 아름다움, 동서양(동...
[몸가짐, 인사예절교육, 전화예절교육, 안내예절교육]몸가짐과 인사예절교육, 몸가짐과 전화...
한국문화의 장단점과 예절덕목
아랍인을 만날을때 지켜야 할 예절
[중국문화] 중국의 문화와 예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