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배경
1.이혼사유별 이혼
2.이혼율의 변화와 경제지표의 관계
1)이혼건수와 혼인건수의 관계
2)이혼건수와 실업률의 관계
3)이혼건수와 소비자 물가지수와의 관계
4)이혼건수와 GDP와의 관계
5)이혼건수와 여성경제 활동인구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연구 자료
2.분석 방법 ·
Ⅳ. 실증 분석
1.실증분석 결과
2.실증분석의 해석
Ⅴ. 결론
참고 문헌
< 표 1 > 이혼사유별 이혼
<그림 1> 이혼사유별 이혼 <그림 2> 이혼건수와 이혼건수
<그림 3> 이혼건수와 실업률 <그림 4> 이혼건수와 소비자물가 지수
<그림 5> 이혼건수와 GDP <그림 6> 이혼건수와 여성경제 활동인구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배경
1.이혼사유별 이혼
2.이혼율의 변화와 경제지표의 관계
1)이혼건수와 혼인건수의 관계
2)이혼건수와 실업률의 관계
3)이혼건수와 소비자 물가지수와의 관계
4)이혼건수와 GDP와의 관계
5)이혼건수와 여성경제 활동인구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연구 자료
2.분석 방법 ·
Ⅳ. 실증 분석
1.실증분석 결과
2.실증분석의 해석
Ⅴ. 결론
참고 문헌
< 표 1 > 이혼사유별 이혼
<그림 1> 이혼사유별 이혼 <그림 2> 이혼건수와 이혼건수
<그림 3> 이혼건수와 실업률 <그림 4> 이혼건수와 소비자물가 지수
<그림 5> 이혼건수와 GDP <그림 6> 이혼건수와 여성경제 활동인구
본문내용
균
F 비
유의한 F
회귀
1
2.78E+10
2.78E+10
64.75459
1.54E-07
잔차
19
8.16E+09
4.29E+08
계
20
3.6E+10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하위 95%
상위 95%
하위 95.0%
상위 95.0%
Y 절편
-170223
31516.58
-5.40107
3.27E-05
-236188
-104258
-236188
-104258
여성경제
31.34382
3.895082
8.047024
1.54E-07
23.19132
39.49632
23.19132
39.49632
여성경제활동과 이혼건수로 회귀분석해보면 식이 Y=-170223+31.34382X로 나타난다.여성경제활동인구의 증가는 이혼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 또는 배우자의 실직으로 이혼에 직면해 있던 가정이 여성의 취업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하고 경제적 사유로 인한 이혼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아 진다. 결정계수 0.773147로 꽤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Ⅴ.결론
이 연구논문에서는 이혼과 경제지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앞서 연구한 우리나라 이혼의 양상분석(남은자,2001)과 경제 위기 때문에 가족 갈등이 늘었다는 언론 보도와 대규모 정리 해고로 인한 실업자가된 사람들이 가족과 사회에서 소외되어 가고 있다는 연구보고(함인희,2001;김승원 외 1999,이재혁)을 뒷받침할 만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이혼사유에서 경제적문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제적 문제는 앞에서 언급한 모형으로 어느 정도 객관적인 설명이 되었다고 본다. 이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혼인건수,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 GDP, 여성경제 활동인구 등이 있었다. 혼인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혼인이 증가하면 이혼이 줄어들고 혼인이 줄어들면 이혼이 감소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실업률의 경우는 실업의 증가는 이혼의 증가로 이어지며, 특히 1997년 IMF구조금융 사태에서 이러한 결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계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혼 또한 소비자 물가지수와 같이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 주었다. GDP의 경우 GDP상승이 이혼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는 이혼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 이처럼 여러 가지 변수들과 이혼과의 관계는 실업률이 늘어나고 소비자 물가지수가 증가하고GDP가 증가하면 이혼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혼인건수가 증가하고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면 이혼은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 있어서 직관적으로 혼인이 늘어나면 이혼도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을 하였지만 시계열 Data의 부족과 혼인 정련기 연령의 감소와 인구의 감소로 인한 혼인의 감소현상을 설명하지 못했다. 혼인의 관한 또한 이혼의 구조변화에 있어서도 IMF 구제금융이 일어난 후 어느 정도 구조의 변화가 일어났고 모형의 기울기가 어떻게 변화 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좀더 많은 Data가 축적된다면 이러한 이혼과 경제지표와의 관계를 더욱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 고 문 헌
1) 남은자, "우리나라 이혼의 양상분석" ,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 2001
2) 원충연, " 지역 경제의 위기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 , 한림대학교 석사논문 , 2001
3) 한성현, 최민자, 이진석 , "우리나라 여성 이혼율의 최근 변화추세" , 한국보건학회학회지, 제25권 제 1호, p1-10, 2001
4)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 1990
5)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1996
F 비
유의한 F
회귀
1
2.78E+10
2.78E+10
64.75459
1.54E-07
잔차
19
8.16E+09
4.29E+08
계
20
3.6E+10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하위 95%
상위 95%
하위 95.0%
상위 95.0%
Y 절편
-170223
31516.58
-5.40107
3.27E-05
-236188
-104258
-236188
-104258
여성경제
31.34382
3.895082
8.047024
1.54E-07
23.19132
39.49632
23.19132
39.49632
여성경제활동과 이혼건수로 회귀분석해보면 식이 Y=-170223+31.34382X로 나타난다.여성경제활동인구의 증가는 이혼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 또는 배우자의 실직으로 이혼에 직면해 있던 가정이 여성의 취업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하고 경제적 사유로 인한 이혼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아 진다. 결정계수 0.773147로 꽤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Ⅴ.결론
이 연구논문에서는 이혼과 경제지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앞서 연구한 우리나라 이혼의 양상분석(남은자,2001)과 경제 위기 때문에 가족 갈등이 늘었다는 언론 보도와 대규모 정리 해고로 인한 실업자가된 사람들이 가족과 사회에서 소외되어 가고 있다는 연구보고(함인희,2001;김승원 외 1999,이재혁)을 뒷받침할 만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이혼사유에서 경제적문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제적 문제는 앞에서 언급한 모형으로 어느 정도 객관적인 설명이 되었다고 본다. 이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혼인건수,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 GDP, 여성경제 활동인구 등이 있었다. 혼인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혼인이 증가하면 이혼이 줄어들고 혼인이 줄어들면 이혼이 감소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실업률의 경우는 실업의 증가는 이혼의 증가로 이어지며, 특히 1997년 IMF구조금융 사태에서 이러한 결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계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혼 또한 소비자 물가지수와 같이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 주었다. GDP의 경우 GDP상승이 이혼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는 이혼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 이처럼 여러 가지 변수들과 이혼과의 관계는 실업률이 늘어나고 소비자 물가지수가 증가하고GDP가 증가하면 이혼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혼인건수가 증가하고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면 이혼은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 있어서 직관적으로 혼인이 늘어나면 이혼도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을 하였지만 시계열 Data의 부족과 혼인 정련기 연령의 감소와 인구의 감소로 인한 혼인의 감소현상을 설명하지 못했다. 혼인의 관한 또한 이혼의 구조변화에 있어서도 IMF 구제금융이 일어난 후 어느 정도 구조의 변화가 일어났고 모형의 기울기가 어떻게 변화 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좀더 많은 Data가 축적된다면 이러한 이혼과 경제지표와의 관계를 더욱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 고 문 헌
1) 남은자, "우리나라 이혼의 양상분석" ,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 2001
2) 원충연, " 지역 경제의 위기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 , 한림대학교 석사논문 , 2001
3) 한성현, 최민자, 이진석 , "우리나라 여성 이혼율의 최근 변화추세" , 한국보건학회학회지, 제25권 제 1호, p1-10, 2001
4)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 1990
5) 통계청, "인구동태통계연보", 199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