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선도 시조에 나타난 자연관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윤선도 시조에 나타난 자연관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윤선도의 생애와 사상
1. 윤선도의 생애
2. 윤선도의 사상
Ⅲ. 윤선도의 시조에 나타난 자연관
1. 안빈낙도의 지향과 자연
2. 벗으로서의 자연
3. 자연합일과 흥취
Ⅳ. 문학적 의의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리말로 바꾸고 갈고 닦아 뛰어난 작품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는 자연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과 합일 된 경지를 개척하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詩)에 활용하여 성공한 작가이다.
Ⅴ. 결 론
지금까지 본고에서는 고산의 생애와 사상을 살피고, 이 연구들을 바탕으로 그의 시조 작품에 나타난 자연관을 살펴보았다. 고산 윤선도의 생애를 보면, 고산은 조선조 명문 사대부 집안의 후손으로 자라나 어려움 없이 유년시절을 보냈고 어린 시절 생부모(生父母)를 떠나 양부모(養父母) 밑에서 지냈으며 학문으로 20세 때 처음《소학(小學)》을 대하고 그를 중시하였다. 벼슬길에도 들어섰으나 관료로서의 생활은 평탄하지 못하여 당파 싸움에 휩쓸리거나 유배 생활을 하는 등 불우한 삶을 겪었다. 그후 병자호란(丙子胡亂)을 당하여 보길도(甫吉島)에 들어가 은거하였고, 유배지에서 자연을 벗하다 85세 로 생을 마감했다.
고산의 사상은, 어렸을 때부터 접했던《소학(小學)》의 영향으로 유교 의식이 항상 내재해 있었다. 그리고 고산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마음의 여유를 찾고자 도교의 영향도 은연중에 입었는데 자연시조에서 혼탁한 정치 현실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심산유곡이나 산수간에 들어가 모옥을 짓고 안분지족하려는 현실도피사상을 보였다. 이렇게 고산의 사상적 배경은 유교사상이 기본 바탕으로 되어 있으며 도교사상이 여러 시조에 나타나 이중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하겠다. 그리고 이 고산의 유가사상은 현실과 강호자연에서 배타적인 선택의 사상이 아닌 상황에 따라 상호 넘나드는 공존의 사상이다
고미숙, 「격변기에 산출된 강호미학의 정점-고산 윤선도」,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편,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 1998, p.346
라고 말할 수 있다.
고산은 사화와 당쟁으로 인해 자연과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았으며, 고산은 그 속에서 자연을 노래하였다. 고산은 은거생활을 하면서부터 자연에서 받은 감동이 너무도 컸다. 그리하여 자연 속에서 하나 되어 뛰어난 국문시가들을 탄생시켰는데 《산중신곡(山中新曲)》의 <만흥>에서는 세속과 교섭을 끊고 자연과 친화하며 만족하는 안빈낙도의 자부심을 보여주었다. <오우가>에서는 자연에서 수(水) 석(石) 송(松) 죽(竹) 월(月)을 다섯 벗으로 삼아, 자연이야말로 고산 자신과 생각을 같이 하는 참 다운 벗임을 나타내고, 변하지 않는 영원성을 참다운 아름다움으로 꼽았다. 그리고 <어부사시사>에서는 현실정치에서의 실패로 대신 찾은 강호자연 속에서 고산이 자연과 일체감과 흥취를 느끼며, 은둔하는 세련된 경지를 노래하고 있다.
앞서 살펴보았던 시조작품에서 고산의 자연은 사회에서의 피난처가 아니라 삶의 최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인식되었으며, 그는 현실 세계 속에서 발견 할 수 없었던 참다운 자아를 자연 속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고산은 자연과 완전한 합일을 이루며 그 속에서 윤리적 가치와 인생의 참모습까지 찾기에 이르게 되었다.
고산 윤선도는 자연을 문학의 제재로 채택한 시조작가 가운데 가장 탁월한 역량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당시 이 나라의 선비들이 대부분 한문문학과 경직된 사회구조의 틀 속에 갇혀 있을 때 그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려 섬세하고 미려한 시조들을 지어냈기 때문인데, 고산의 생애는 유배와 은둔의 생활이 거듭된 굴곡 많은 삶이었고, 정치적으로는 불우한 삶이었지만, 고산이 자신의 삶의 시름과 흥과 연군을 뛰어난 시문(詩文)으로 풀어냈기에 그가 문학사에 남긴 조선시대 사대부 시조 작가로써의 발자취는 다른 누구보다 큰 것으로 보인다. 이상 본고에서는 고산에게 있어서 자연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연구해 보았다. 사회에서의 실패를 경험한 고산은 대신 찾은 강호속의 자연속에서 친화되어 안빈낙도의 자부심을 나타냈고, 자연을 자신의 사상과 꼭 맞는 벗이라 하였으며, 자연 속에서 풍류를 만끽하고, 탈속을 지향하며, 일체감과 흥취를 느끼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결국에는 내가 자연이고 자연이 곧 나로서, 서로 하나 되는 세련된 경지를 노래하고 있다 하겠다.
□ 참 고 문 헌
Ⅰ. 단행본 및 서적
강만길 외, 『한국 인물 탐사기. 4 : 조선의 인물2』, 오늘, 1996.
문영오, 『고산문학상론』, 태학사, 2001.
박성의, 『송강, 노계, 고산의 시가문학』, 현암사, 1966.
박성의, 『韓國文學 背景硏究』, 예그린출판사, 1978
박준규. 『(고산 윤선도)유배지에서 부르는 노래』, 중앙M&B, 1997.
元容文, 『尹善道 文學硏究」, 國學資料院』, 1989.
孤山 尹善道, 『孤山遺稿』.
조동일, 『문학연구방법 』, 지식산업사, 1980.
정병헌 ; 이지영,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1998.
정운채, 『윤선도』, 서울 :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정용선, 『한국의 사상』, 한샘출판사, 1994.
고산연구회,『고산연구』, 창간호, 전남대학 출판부, 1987.
『한국위인 특대전집 (32) 한국 인물 사전』,학원출판공사, 1996.
Ⅱ. 논문
고미숙, 「격변기에 산출된 강호미학의 정점-고산 윤선도」,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편,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 1998.
고정희, 「윤선도와 정철 시가의 문체시학적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金元東, 「孤山 尹善道 詩歌文學 硏究」, 暻園大學校:박사학위논문, 1999
金庸鎭, 「尹善道의 魚父四侍詞 硏究」,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1994.
都七龍, 「尹善道 詩歌에 나타난 思想 硏究 : 儒佛道 思想의 傾向的인 面에서」, 建國大學校 : 석사학위논문, 1994.
元容文, 「尹善道 文學의 思想的 背景」, 고산연구회, 1990.
全福奎, 「孤山의 自然觀」, 인하대학교 : 석사학위논문, 1981.
鄭雲采, 「윤선도의 시조와 한시의 대비적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정운채,「윤선도의 한시와 시조에 나타난 흥의 성격」,『제1집』, 전남고시가연구회, 1993.
鄭雲采, 「孤山 尹善道論」, 이종찬. 김갑기 공편,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 1』,이회문화사, 1998.
程惠珍, 「孤山 文學에 나타난 自然觀 硏究」, 漢陽大學校:석사학위논문, 1998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