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서론
2. ‘두시언해’의 문헌적 특징
가. 초간본의 문헌적 특징
나. 중간본의 문헌적 특징
3. ‘두시언해’의 국어학적 특징
가.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나. ‘두시언해’의 문법적 특징
다. ‘두시언해’의 표기법 특징
라. ‘두시언해’의 음운론적 특징
마. ‘두시언해’의 어휘 표기상 특징
4.결론
※ 참고문헌
1. 서론
2. ‘두시언해’의 문헌적 특징
가. 초간본의 문헌적 특징
나. 중간본의 문헌적 특징
3. ‘두시언해’의 국어학적 특징
가.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나. ‘두시언해’의 문법적 특징
다. ‘두시언해’의 표기법 특징
라. ‘두시언해’의 음운론적 특징
마. ‘두시언해’의 어휘 표기상 특징
4.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 이후 150여년 뒤인 1632년(인조10년) 경상도의 여러 고을에서 관찰사와 대구부사의 지시와 감독으로 판각하여 간행되었다.
2.중간본에는 본문내용에 차이를 보이는 이본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주로 雙邊인 계통과 단변인 계통으로 나누고 그것을 匡郭의 크기 등에 따라 나누어 모두 4종의 이본이 존재한다고 하나 한편으로는 2종의 이본이 존재 한다고도 주장한다.
3. 체재는 초간본과 같으나 초간본과 비교하여 행이 바뀐 장도 많으며 언해를 아예 삭제하거나 원시를 뒤바꾼 데도 있다. 초간본을 교정한 改刊本이므로 초간본에서 잘못된 부분을 수정한 부분이 있는 반면 誤刻에 의한 잘못도 있다.
3.중간본의 간행 경위에 대해서는 張維의 序가 이용될 뿐 여타 관련 기록이 없고 張維의 序에서는 간행 경위와 간행 의의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이것만으로 초간본만큼 간행경위를 알기 어렵다. 단지 현존하는 중간본들을 통해 정황을 추정해볼 수 있을 뿐이다. 중간본은 초간본을 복각(覆刻)한 것이 아니라 교정(校正)한 것이므로 15세기 국어를 보여주는 초간본과는 달리 17세기 국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국어사적인 가치를 지닌다.
4.‘중간본 두시언해’는 초간본을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지만 초간본을 그대로 복각한 것이 아니라 성조의 소멸과 부분적인 언어변화 등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 이다. 위 책. p.p. 216-217
결국 중간본의 성격은 원전을 충실히 반영한 복각본도 아니고 온전한 의미에서의 개간본도 아닌 그 중간적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호권,『두시언해 중간본의 판본과 언어에 대한 연구』,진단학보, 2003 p.151
5.두시언해 중간본의 이본에 대하여는‘두시언해 중간본’ 판본은 1632년 초각본, 1차 보판본, 2차 보판본의 3종이 있다 위 논 문 p.158
‘두시언해’중간본은 목판본(慶尙道大丘刊) 四周單邊에 반기왕곽(半葉匡郭)은 세로 20㎝ 가로 14.5㎝, 8행 17자 이며,版心은 上下內向白魚尾로 注와 諺解는 雙行(두시원문을 大文으로 싣고 주석문과 언해문을 쌍행의 小文으로 싣고 있다) 으로 되어있다. 위 책 p.104 ‘표’ 조선후기의 두시집 간행 상황
3. ‘두시언해’의 국어학적 특징
가.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1632년(인조10)에 간행된‘두시언해’중간본이 국어사 연구에서 차지하는 가치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특히 중간본은 1481년(성종12) 을해자로 간행된 원간본의 覆刻本이 아닌 改刊本이란 점에서 150여 년 간의 국어 변화를 반영하는 자료로 중시되었다. ‘두시언해’는 불경언해가 주종을 이루던 당시 최초의 시가 언해서 라는 점과 초중간본이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언어 변화를 비교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학계의 주목을 받아온 문헌이다. 또한 지금은 사라져 버린 순수 고유어를 풍부하게 구사하고 있고 문체에 있어 운문의 성격을 최대한 살리고 있다는 점에서 국문학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문학과 지성사, 1993, p.173
두시언해의 초간본과 중간본을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구 분
초 간 본
중 간 본
비 고
간행 년대
1481년12월(성종12)
1632년2월(인조10)
약 150년 차이
역주자(발행인)
유윤겸, 조위, 의침
오 숙, 김 상 복
오숙, 김상복은 발행인
서 문
조 위
장 유
자체(字體)와판본
강희안의을해자
활자본
목 판 본
표
기
및
음
운
방 점
있 음
없 음
철 자 법
연 철
간혹 분철이 있음
이스른> 이슬은
씌 었 음
없어 졌음
구개음화현상
나타나지 않음
간혹 나타남
모음조화현상
모음조화현상에서
약화된 것이 적음
모음조화현상에서
약화된 것이 많음
삽입모음사용
규 칙 적임
불 규칙적임
자음 동화
자음이 동화된대로
기록된 것이 비교적적음
자음이 동화된 대로
기록된 것이 많음
현 전 본
1,2,4,12권은 전하지
않고 나머지는 전함
전 15권이 다 전함
나. ‘두시언해’의 문법적 특징
1) ‘두시언해’의 체재와 언해문의 성격
두시언해의 초간본은 성종12년에 乙亥字로 간행한 것이다. 중간본은 인조10년에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중간본에 실려있는 장유의 서문에 의하면 중간본의 간행 목적과 동기 및 간행 경위 등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두시언해’의 체재는 漢文의 原詩와 주석문 그리고 諺解文으로 되어있다. 주석문과 諺解文은 쌍행으로 되어 있다. 漢詩 원시는 漢詩 그대로 제시하고 諺解文에 나타나는 한자어에는 讀音을 달지 않았다. 두시언해는 시를 번역한 방대한 자료로 시적 표현에 중점을 두고 언해 하였다.
2) ‘두시언해’ 주석문의 체재와 형식
두시언해 주석문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데, 한문에 懸吐한 문장으로 작성된 경 우, 주석문이 한문으로 작성된 경우, 언해문으로 만 작성된 경우, 한문에 현토한 문 장과 언해문, 또는 현토한 문장과 한문 등이 혼용된 문장으로 주석문이 작성된 경우 가 있는데 이중 한문에 懸吐한 문장으로 작성된 경우 가장 많다.
3) ‘두시언해’ 언해문의 성격
두시언해는 두시를 번역한 방대한 자료로 15세기 일반 산문 언해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어휘와 다양한 구문이나 문형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15세기 후반의 국어사 자 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중세어의 다른 산문 자료와는 문체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杜詩諺解는 두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두시의 문체를 우 리말로 잘 살려서 번역하고 있기 때문이다. 杜詩諺解는 漢詩의 원문인 杜詩를 일반 적으로 直譯하고 있다. 한문의 축자역에 충실하다보니 의미상 생략할 수 있는‘是’를 그대로‘이’로 언해하는 등 직역체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다.
4).‘두시언해’ 초간본의 문법적 특징
□‘두시언해’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명사구 형성
‘두시언해‘는 시를 번역한 문체이기 때문에 서술적으로 길게 번역하지 않고 한시 원문을 고려하여 간단한 명사구로 번역하였기 때문에 중세어의 일반적인 산문 문체에서 보기 힘든 특이한 명사구 표현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인문연구실, 「두시와 두시언해연구」, 태학사, 1998,p.229-231
ㄱ. 프르니란 밧
2.중간본에는 본문내용에 차이를 보이는 이본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주로 雙邊인 계통과 단변인 계통으로 나누고 그것을 匡郭의 크기 등에 따라 나누어 모두 4종의 이본이 존재한다고 하나 한편으로는 2종의 이본이 존재 한다고도 주장한다.
3. 체재는 초간본과 같으나 초간본과 비교하여 행이 바뀐 장도 많으며 언해를 아예 삭제하거나 원시를 뒤바꾼 데도 있다. 초간본을 교정한 改刊本이므로 초간본에서 잘못된 부분을 수정한 부분이 있는 반면 誤刻에 의한 잘못도 있다.
3.중간본의 간행 경위에 대해서는 張維의 序가 이용될 뿐 여타 관련 기록이 없고 張維의 序에서는 간행 경위와 간행 의의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이것만으로 초간본만큼 간행경위를 알기 어렵다. 단지 현존하는 중간본들을 통해 정황을 추정해볼 수 있을 뿐이다. 중간본은 초간본을 복각(覆刻)한 것이 아니라 교정(校正)한 것이므로 15세기 국어를 보여주는 초간본과는 달리 17세기 국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국어사적인 가치를 지닌다.
4.‘중간본 두시언해’는 초간본을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지만 초간본을 그대로 복각한 것이 아니라 성조의 소멸과 부분적인 언어변화 등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 이다. 위 책. p.p. 216-217
결국 중간본의 성격은 원전을 충실히 반영한 복각본도 아니고 온전한 의미에서의 개간본도 아닌 그 중간적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호권,『두시언해 중간본의 판본과 언어에 대한 연구』,진단학보, 2003 p.151
5.두시언해 중간본의 이본에 대하여는‘두시언해 중간본’ 판본은 1632년 초각본, 1차 보판본, 2차 보판본의 3종이 있다 위 논 문 p.158
‘두시언해’중간본은 목판본(慶尙道大丘刊) 四周單邊에 반기왕곽(半葉匡郭)은 세로 20㎝ 가로 14.5㎝, 8행 17자 이며,版心은 上下內向白魚尾로 注와 諺解는 雙行(두시원문을 大文으로 싣고 주석문과 언해문을 쌍행의 小文으로 싣고 있다) 으로 되어있다. 위 책 p.104 ‘표’ 조선후기의 두시집 간행 상황
3. ‘두시언해’의 국어학적 특징
가.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1632년(인조10)에 간행된‘두시언해’중간본이 국어사 연구에서 차지하는 가치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특히 중간본은 1481년(성종12) 을해자로 간행된 원간본의 覆刻本이 아닌 改刊本이란 점에서 150여 년 간의 국어 변화를 반영하는 자료로 중시되었다. ‘두시언해’는 불경언해가 주종을 이루던 당시 최초의 시가 언해서 라는 점과 초중간본이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언어 변화를 비교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어학계의 주목을 받아온 문헌이다. 또한 지금은 사라져 버린 순수 고유어를 풍부하게 구사하고 있고 문체에 있어 운문의 성격을 최대한 살리고 있다는 점에서 국문학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문학과 지성사, 1993, p.173
두시언해의 초간본과 중간본을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구 분
초 간 본
중 간 본
비 고
간행 년대
1481년12월(성종12)
1632년2월(인조10)
약 150년 차이
역주자(발행인)
유윤겸, 조위, 의침
오 숙, 김 상 복
오숙, 김상복은 발행인
서 문
조 위
장 유
자체(字體)와판본
강희안의을해자
활자본
목 판 본
표
기
및
음
운
방 점
있 음
없 음
철 자 법
연 철
간혹 분철이 있음
이스른> 이슬은
씌 었 음
없어 졌음
구개음화현상
나타나지 않음
간혹 나타남
모음조화현상
모음조화현상에서
약화된 것이 적음
모음조화현상에서
약화된 것이 많음
삽입모음사용
규 칙 적임
불 규칙적임
자음 동화
자음이 동화된대로
기록된 것이 비교적적음
자음이 동화된 대로
기록된 것이 많음
현 전 본
1,2,4,12권은 전하지
않고 나머지는 전함
전 15권이 다 전함
나. ‘두시언해’의 문법적 특징
1) ‘두시언해’의 체재와 언해문의 성격
두시언해의 초간본은 성종12년에 乙亥字로 간행한 것이다. 중간본은 인조10년에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중간본에 실려있는 장유의 서문에 의하면 중간본의 간행 목적과 동기 및 간행 경위 등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두시언해’의 체재는 漢文의 原詩와 주석문 그리고 諺解文으로 되어있다. 주석문과 諺解文은 쌍행으로 되어 있다. 漢詩 원시는 漢詩 그대로 제시하고 諺解文에 나타나는 한자어에는 讀音을 달지 않았다. 두시언해는 시를 번역한 방대한 자료로 시적 표현에 중점을 두고 언해 하였다.
2) ‘두시언해’ 주석문의 체재와 형식
두시언해 주석문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는데, 한문에 懸吐한 문장으로 작성된 경 우, 주석문이 한문으로 작성된 경우, 언해문으로 만 작성된 경우, 한문에 현토한 문 장과 언해문, 또는 현토한 문장과 한문 등이 혼용된 문장으로 주석문이 작성된 경우 가 있는데 이중 한문에 懸吐한 문장으로 작성된 경우 가장 많다.
3) ‘두시언해’ 언해문의 성격
두시언해는 두시를 번역한 방대한 자료로 15세기 일반 산문 언해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어휘와 다양한 구문이나 문형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15세기 후반의 국어사 자 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중세어의 다른 산문 자료와는 문체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杜詩諺解는 두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두시의 문체를 우 리말로 잘 살려서 번역하고 있기 때문이다. 杜詩諺解는 漢詩의 원문인 杜詩를 일반 적으로 直譯하고 있다. 한문의 축자역에 충실하다보니 의미상 생략할 수 있는‘是’를 그대로‘이’로 언해하는 등 직역체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다.
4).‘두시언해’ 초간본의 문법적 특징
□‘두시언해’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명사구 형성
‘두시언해‘는 시를 번역한 문체이기 때문에 서술적으로 길게 번역하지 않고 한시 원문을 고려하여 간단한 명사구로 번역하였기 때문에 중세어의 일반적인 산문 문체에서 보기 힘든 특이한 명사구 표현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인문연구실, 「두시와 두시언해연구」, 태학사, 1998,p.229-231
ㄱ. 프르니란 밧
추천자료
심층수의 특징 및 개발 적용분야
한국정치의 특징과 과제
1950년대 시의 특징
[무속][무속신][샤머니즘][무당][무속의 유형][무속의 역사][무속의 구조][무속의 지역적 특...
특수고용의 특징과 의의, 특수고용의 도입과 전환, 특수고용의 구조조정, 특수고용노동자의 ...
주택유형별 특징
노숙자의 특징과 노숙자의 삶
현대여가의 특징과 과제 및 여가정책
중상주의의 의미와 특징 및 형성 배경
인적 판매의 특징과 중요성 및 과정
건축공간 특징, 기능적 구성, 동선, 공간 구성 방법, 형태 심리, 설계적 측면, 특성, 필요성,...
[선(禪), 선(禪) 의미, 선(禪) 분류, 선(禪) 특징, 선(禪) 기원, 선 갈래, 선 역사적 전개]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특징,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분야별 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침체, 대한...
무선인터넷의 특징, 무선인터넷의 역사, 무선인터넷의 의의, 무선규격과 WAP규격(무선인터넷...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