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시각공해의 정의
[2]특히 간판에 의한 시각공해의 현상황
★본론- 시각공해가 주는 영향 및 문제점
[1]시각공해가 인간에게 주는 문제점
(1)눈에 미치는 영향
(2)수면장애
(3)교통사고 유발
(4)스트레스 유발
[2]시각공해의 부정적 영향?
(1)밤새 깜빡이는 조명과 네온싸인들은 에너지 낭비
(2)도시의 경관을 해친다
★결론
[1]현재의 간판 규제법에 대해 간략히 알기
[2]간판규제법이 엄격한 외국사례들
[3]현재 우리나라에서 간판에 의한 시각공해를 막기위한 노력들
[4]해결책은 어디에
[1]시각공해의 정의
[2]특히 간판에 의한 시각공해의 현상황
★본론- 시각공해가 주는 영향 및 문제점
[1]시각공해가 인간에게 주는 문제점
(1)눈에 미치는 영향
(2)수면장애
(3)교통사고 유발
(4)스트레스 유발
[2]시각공해의 부정적 영향?
(1)밤새 깜빡이는 조명과 네온싸인들은 에너지 낭비
(2)도시의 경관을 해친다
★결론
[1]현재의 간판 규제법에 대해 간략히 알기
[2]간판규제법이 엄격한 외국사례들
[3]현재 우리나라에서 간판에 의한 시각공해를 막기위한 노력들
[4]해결책은 어디에
본문내용
기도 다 제거되어야 하지만, 예전모습 그대로이다. 이렇게 종로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사업이 지지부진한 큰 이유는 개별 업무들이 여러부서로 흩어진채 통합관리 되지 못한점과, 시 고위간부들이 청계천 복원과 주변개발에만 너무 신경을써서 종로거리에는 소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주일전에 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사업과 관련한 가로등 정비와 관련해서 가로등을 소등하고, 가로등시설에 대한 점검과 상가주변의 불빛 실태현황조사를 했다고 하니 아직 손을 놓고 절망하기에는 이르다고 본다. 여기에 개인적인 느낌을 써도 될지 모르겠지만 외국인이 자주 다니는 거리인 ‘인사동’ 과 가깝기도 하고, 옛 탑골 공원의 잔재가 남아있는 서울의 중심지인 종로거리가 프로젝트로 인해 국제적으로 걷고 싶은 거리로 되살아났으면 한다. 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글쓴이 나타나지 않았음/“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수면위로 떠올라”
/http://blog.naver.com/april0422/80004876723
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박중현기자/“걷고 싶은 종로, 물 건너 갔나?/조선일보/2005.07.20
종로거리 가로등 소등- 황태훈 기자/“캄캄한 종로거리… 3일 밤 가로등 일시 소등/동아일보/2005.12.03
(2)경기도 용인시 간판 규제지역 첫 지정 추진
경기도 용인시는 2004년 9월부터,용인,죽전,동백,신갈등4개 신규 택지 개발지구를 ‘광고물표시제한 특정구역’으로 지정하고, 신도시 지역전체에 광고물을 제한시켰다. 구체적으로, 한 가게당 2개 이내로 간판을 달아야만 하고, 붉은색과 검은색이 간판전체 색깔중에 50%이내에서만 사용할수 있게 하였고, 고층건물일 경우 가로 간판은 2층이하에만 설치할수 있고, 창문을 이용한 광고물은 금지하게 했다. 또한 옥상간판과 건물기둥을 이용한 세로형 간판설치도 금지시키게 했다. 경기도 용인시 간판규제-정찬민 기자/경기도, ‘아름다운 특구’지정“/
http://blog.naver.com/nampar/40008979012
(3)통영의 도시 이미지 창조 노력
최근 통영도 건물 채색을 통해 도시고유의 이미지를 만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통영의 새로 짓는 건물들을 살펴보면, 흰색과 주황색을 적절히 조화시켜 깔끔하고, 정돈된 느낌을 주고 있다. 통영의요즘 짓는 아파트는 지붕쪽(윗부분)은 주황색을 사용, 몸체 부분은 흰색을 사용케 하고 있다. 통영의 사례-kbs 환경스폐셜/ “심층보고,도시의시각공해”
/http://www.kbs.co.kr/1tv/sisa/environ/index.html( 동영상)
(4)우리나라에서 깨끗이 정리된 간판사진 개선간판사진-이 사진은 원래 찾았을땐 있었는데,출처 조사를 위해 다시 몇십번을 찾아도 없어요
[4]해결책은 어디에?
(1)각도시마다 도시 나름대로의 입지 특성과 역사성, 그리고 그 도시의 이미 만들어져 있는 색채환경조건에 따라서 , 그 도시의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찾아야 하고, 그렇게 찾아진 이미지에 따라서 색채를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유지함으로써 그도시 전체 경관의 통일감을 유지할수 있어야 한다. 위의 방법을 토대로, 현행관련법과 조례에 미흡한점이 없는지, 꼼꼼히 따져서 제도를 완비하고, 그에 따른 처벌규정도 엄격히 해야한다. 해결책(1)도시이미지찾기-kbs 환경스폐셜/ “심층보고,도시의시각공해”
/http://www.kbs.co.kr/1tv/sisa/environ/index.html( 동영상)
(2)간판문화의 인식의 변화필요(개개인의..)-일본은 ‘간판’을 사유재산이 아니라,‘공공재’로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간판의 크기와 개수, 색채디자인까지 관리하는 일본의 제도는 나보다는 보행자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일본인들의 간판문화까지 숨어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정 반대이다.저마다 자기가게와 회사의 상호를 여러곳에 내걸고 크기와 현란함을 자랑하며 , 혹시라도 옆가게의 간판이 커지고, 많아지면, 덩달아서 바꾸려고 한다. 원래 간판의 기능은 제공자들에게 자신의 가게를 효과적으로 광고하는 것이고, 사용자에게는 원하는 곳을 효과적으로 찾고 기억하는곳 이라고 생각한다. 겉으로 크고 화려한것만이 많은 사람들에게 홍보효과가 높다는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간판은 자신의 인격과 능력을 담은 전정한 표지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우리나라도 찾기 쉽고 아름다운 간판으로, 쾌적하고, 미관상 좋은 거리가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간판의 인식변화 필요-저자표시안되어있음/“간판얼굴나라?”/http://kr.blog.yahoo.com/touratlier/2756.html
/http://blog.naver.com/april0422/80004876723
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박중현기자/“걷고 싶은 종로, 물 건너 갔나?/조선일보/2005.07.20
종로거리 가로등 소등- 황태훈 기자/“캄캄한 종로거리… 3일 밤 가로등 일시 소등/동아일보/2005.12.03
(2)경기도 용인시 간판 규제지역 첫 지정 추진
경기도 용인시는 2004년 9월부터,용인,죽전,동백,신갈등4개 신규 택지 개발지구를 ‘광고물표시제한 특정구역’으로 지정하고, 신도시 지역전체에 광고물을 제한시켰다. 구체적으로, 한 가게당 2개 이내로 간판을 달아야만 하고, 붉은색과 검은색이 간판전체 색깔중에 50%이내에서만 사용할수 있게 하였고, 고층건물일 경우 가로 간판은 2층이하에만 설치할수 있고, 창문을 이용한 광고물은 금지하게 했다. 또한 옥상간판과 건물기둥을 이용한 세로형 간판설치도 금지시키게 했다. 경기도 용인시 간판규제-정찬민 기자/경기도, ‘아름다운 특구’지정“/
http://blog.naver.com/nampar/40008979012
(3)통영의 도시 이미지 창조 노력
최근 통영도 건물 채색을 통해 도시고유의 이미지를 만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통영의 새로 짓는 건물들을 살펴보면, 흰색과 주황색을 적절히 조화시켜 깔끔하고, 정돈된 느낌을 주고 있다. 통영의요즘 짓는 아파트는 지붕쪽(윗부분)은 주황색을 사용, 몸체 부분은 흰색을 사용케 하고 있다. 통영의 사례-kbs 환경스폐셜/ “심층보고,도시의시각공해”
/http://www.kbs.co.kr/1tv/sisa/environ/index.html( 동영상)
(4)우리나라에서 깨끗이 정리된 간판사진 개선간판사진-이 사진은 원래 찾았을땐 있었는데,출처 조사를 위해 다시 몇십번을 찾아도 없어요
[4]해결책은 어디에?
(1)각도시마다 도시 나름대로의 입지 특성과 역사성, 그리고 그 도시의 이미 만들어져 있는 색채환경조건에 따라서 , 그 도시의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찾아야 하고, 그렇게 찾아진 이미지에 따라서 색채를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유지함으로써 그도시 전체 경관의 통일감을 유지할수 있어야 한다. 위의 방법을 토대로, 현행관련법과 조례에 미흡한점이 없는지, 꼼꼼히 따져서 제도를 완비하고, 그에 따른 처벌규정도 엄격히 해야한다. 해결책(1)도시이미지찾기-kbs 환경스폐셜/ “심층보고,도시의시각공해”
/http://www.kbs.co.kr/1tv/sisa/environ/index.html( 동영상)
(2)간판문화의 인식의 변화필요(개개인의..)-일본은 ‘간판’을 사유재산이 아니라,‘공공재’로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간판의 크기와 개수, 색채디자인까지 관리하는 일본의 제도는 나보다는 보행자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일본인들의 간판문화까지 숨어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정 반대이다.저마다 자기가게와 회사의 상호를 여러곳에 내걸고 크기와 현란함을 자랑하며 , 혹시라도 옆가게의 간판이 커지고, 많아지면, 덩달아서 바꾸려고 한다. 원래 간판의 기능은 제공자들에게 자신의 가게를 효과적으로 광고하는 것이고, 사용자에게는 원하는 곳을 효과적으로 찾고 기억하는곳 이라고 생각한다. 겉으로 크고 화려한것만이 많은 사람들에게 홍보효과가 높다는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간판은 자신의 인격과 능력을 담은 전정한 표지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우리나라도 찾기 쉽고 아름다운 간판으로, 쾌적하고, 미관상 좋은 거리가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간판의 인식변화 필요-저자표시안되어있음/“간판얼굴나라?”/http://kr.blog.yahoo.com/touratlier/2756.html
키워드
추천자료
문제해결이론 및 문제해결모델에 대한 이해와 사회복지에서의 적용
노인 학대의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노인 학대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의 하나...
의사결정과 창조적 문제해결과정) 의사결정모형과 집단의사결정의 장단점과 문제해결기법
문제해결중심상담 사례 - 30대 가장으로 술로 인해서 가정에 어려움, 유치원에 다니는 딸 문...
사회사업실천의 통합적모델과 문제해결중심모델(통합적방법모델, 체계이론, 문제해결모델)
최근 증가추세인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생태체계...
[사회복지실천론] 자선조직협회 (문제해결대상 및 문제해결방법, 발전과정)
본인 가족 스트레스 중 하나를 선정하여 원인분석 및 문제해결을 조사하고 그에 대한 문제해...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성(創意性) - 창의성의 의의, 창의성발현의 과정, 문제해결(의사결정)...
[생명과환경 2016] 인류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지 자신의 견해를 A4용지 5장...
사회복지실천론)1. 문제해결모델의 주요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2. 사례를 들어 Compton &a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