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나라와 같은 유교문화권으로 화장보다는 명당을 찾아 분묘하는 토장을 선호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화장이 증가해 도심지에서는 사원납골당에 안치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장묘의 폐해를 줄이고자 갖가지 방법을 도모하고 있다. 친환경적 매장방식인 수장(樹葬) 방식의 도입은 그중의 하나이다. 수장은 시멘트나 대리석이 아닌 나무 밑에 유골함을 안치함으로써 자연을 훼손시키지 않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중국의 일부지방에서도 행해지고 있다.
중국은 우리와 같은 문화권으로 오랜시간동안 토장문화를 고수해왔다. 그러나 우리가 좁은 국토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아둥바둥거리며 좁은 땅에서 어떻게든 토장을 하려는 반면에 중국은 넓은 국토를 가지고서도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토장문화를 버리고 화장문화를 선택했다. 중국의 화장문화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무려 사십여년이라는 긴 시간에 걸친 변화였다. 우리나라의 토장문화는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산은 자락마다 듬성듬성 묘지를 드러내보이고 버려진 묘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매년 여의도의 면적만큼 묘지가 늘어나고 있다고 하니 가히 놀라운 수준이다. 이제 우리도 장묘문화의 변화가 시급한 때다.
중국은 우리와 같은 문화권으로 오랜시간동안 토장문화를 고수해왔다. 그러나 우리가 좁은 국토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아둥바둥거리며 좁은 땅에서 어떻게든 토장을 하려는 반면에 중국은 넓은 국토를 가지고서도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토장문화를 버리고 화장문화를 선택했다. 중국의 화장문화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무려 사십여년이라는 긴 시간에 걸친 변화였다. 우리나라의 토장문화는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산은 자락마다 듬성듬성 묘지를 드러내보이고 버려진 묘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매년 여의도의 면적만큼 묘지가 늘어나고 있다고 하니 가히 놀라운 수준이다. 이제 우리도 장묘문화의 변화가 시급한 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