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심리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포심리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포의 정의

2. 공포의 종류
  (1) 광장 공포
  (2) 대인 공포
  (3) 단순 공포
  (4) 기타 공포

3. 공포의 원인

4. 공포의 극복방법

  ※ 참고자료: 불안극복 방법

본문내용

계로 세분해 놓고 낮은 단계, 즉 불안반응이 약한 수준부터 강한 수준의 순서로 자극을 제시해 나가는 방법이다. 자극제시 방법은 실제 물체, 그림이나 영상, 상상, 실제 상황에의 노출 등이 있다. 단 이때 불안반응과 상대하는 정서 혹은 신체 생리적인 상태 예컨대 근육이완, 쾌감 혹은 자신감 등을 연결시켜야 한다. 이것을 역조건화라고 부른다.
체계적 둔감법은 1) 긴장이완, 2) 불안위계표 작성 3) 체계적 둔감화의 세 가지 절차로 구분된다.
긴장이완: 환자는 치료자의 지시에 따라서 온몸의 근육군을 점차적으로 긴장했다가 푼다. 긴장이완에서 지켜져야 할 점은 첫째, 근육군을 긴장시켜서 풀 때까지 그 근육군에 온 정신을 집중시킬 것, 둘째 긴장을 풀 때 갑자기 풀 것, 셋째 근육을 긴장시켰을 때와 풀 때의 기분의 차이를 생생하게 감상할 것 등이다.
불안위계표 작성: 긴장이완이 되었을 때 상상하게 할 불안야기 상황을 표로 작성한다. 환자가 불안을 일으키는 모든 상황을 빠짐없이 검토하고 이를 약한 불안을 일으키는 항목부터 순차적으로 강한 불안을 일으키는 항목순으로 정렬한다.
체계적 둔감화: 긴장이완을 하게 한 뒤 환자로 하여금 조금이라도 긴장, 불쾌, 불안을 느끼면 그것을 신호하게 한다. 불안위계 중 불안을 가장 약하게 일으키는 자극상황을 환자가 충분히 상상하도록 잠시 시간을 준 다음 불안상황의 상상을 중단하게 하고 계속해서 긴장을 풀게 한다. 감각이 불안자극에 의하여 훼손되지 않으면 위계의 다음 단계로 올라간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바로 아래에 있는 상황이 불안을 일으키지 않고 상상될 때까지는 그 위의 상황을 제시하지 않는 것이다. 만일 어떤 자극이 불안을 일으키면 곧 그 상황을 상상하지 말도록 하고 다시 긴장이완을 시킨다.
인지요법
불안문제에 대한 인지요법은 위험에 대한 잘못된 인식, 인지적, 행동적 회피나 도피, 방어기제 등을 주로 다룬다. 잘 알려진 인지요법으로는 합리적-정서치료, 인지치료가 있다. RET는 Ellis에 의해 발표된 치료법인데 불안반응은 몇 가지의 잘못된 인식내용 때문에 발생한다고 한다. 그 잘못된 인식이란 절대화된 신념으로서(예: 타인으로부터 반드시 인정을 받아야 한다) 극단적 겨로가를 예견케 하여 불안정한 감정을 느끼게 한다(예: 인정을 받지 못했으니 내 인생은 이것으로 끝장이다). RET치료자는 내담자의 이런 비합리적 신념을 정면으로 직면시키면서 그것을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는 시도를 한다.
인지치료는 Beck(1976)에 의해 발표된 치료법으로서 여러 면에서 RET와 유사하지만, RET는 불안의 원인으로 몇 가지의 비합리적 절대 신념을 들고 있는데 비해서 CT는 좀더 다양한 인지적 왜곡 현상을 원인으로 제안하고 있다(예: 극단적 사고, 결과에 대한 과장된 예견, 선택적인 인식, 잘못된 귀인, 부정적 사고방식, 기타 생물학적인 요인들). 인지변화를 위해 RET는 논리적인 논박을 많이 쓰는데 비해서 CT는 행동실험과 체험의 결과로 인식변화가 생기도록 하는 전략을 많이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1.2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